$\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BL 연계 투약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대학생의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System Thinking, Learning Flow,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Performance Ability for Medication in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6 no.8, 2018년, pp.221 - 231  

박민정 (국립군산대학교 간호학과) ,  최동원 (인천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발한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교육을 적용한 후 학생의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전북과 경인지역에 소재한 간호대학생으로 실험군 37명, 대조군 41명이었고, 실험군에게는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 대조군에게는 시뮬레이션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자료수집은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에 측정하였고, SPSS WIN Versio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시스템 사고능력(t=2.14, p=.036), 문제해결 적극성(t=2.07, p=.042) 및 투약간호수행능력(t=5.26, p=<.001)은 유의하게 향상되었으나 학습몰입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따라서 간호대학생의 임상상황에서의 적응을 위하여 교수자들은 문제중심학습 연계 시뮬레이션 교육을 교과과정에 적용하는 것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SIM-PBL) on nursing students. A non-equivalent pre-post test of quasi-experimental design was used. 37 were assigned to an intervention group and 41 to a control group. SIM-PBL was applied to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을 대상으로 SIM-PBL 교육을 적용한 후 학생의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규명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Table 1 참고).
  •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투약간호 SIM-PBL 모듈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시스템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의 적극성 및 투약간호수행능력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 밝힘으로써 간호대학생의 SIM-PBL 교육의 효과를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 이를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설계를 통해 비교하였다.
  • 다양한 임상상황에서 올바른 직관으로 간호문제의 본질을 간파하도록 유도하여 문제해결과 의사결정 능력을 신장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접근방식이 시스템사고이다[7]. 본 연구에서 PBL 수업 중 체계적인 모듈에 따라 간호과정에 접근해 보았던 경험과 이를 시뮬레이션에서 적용해보는 과정에서 시스템사고가 발현되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와 관련하여 Dolansky와 Mary[24]는 간호의 질과 안전교육에 관한 연구에서 시스템사고 능력이 중요한 키가 되고, 간호사가 간호돌봄을 수행함에 있어 건강관리 시스템의 복잡성이 개별 환자들의 간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간호사의 이해와 평가를 가능하게 한다고 하여 본 연구의 결과를 지지하고 있다.
  • 이들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대부분이 수행능력 위주의 자기효능감, 학습동기와 학업성취도, 문제해결과정과 임상수행자신감, 의사소통의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고[2,4,18,19], 대부분이 고학년 대상의 단일군 전후연구로 수행능력에 대한 자가보고식 평가가 대부분으로 객관화된 평가방법을 사용한 대조군 전후설계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자기주도적 학습방법인 PBL과 임상상황을 재현할 수 있는 시뮬레이션을 통합한 수업설계를 적용하여 기본간호학 수업을 듣고 있는 2학년 간호학생의 SIM-PBL 모듈을 개발하고 SIM-PBL 교육을 제공 받은 실험군과 시뮬레이션 교육만을 제공받은 대조군 간에 시스템 사고능력, 학습몰입, 문제해결 적극성 및 투약간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시스템 사고 능력이란? 시스템 사고 능력은 한 부분의 변화가 다른 부분에도 영향을 미치는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되어 있는 복잡한 임상상황 속에서 간호학생들이 관련 지식을 효과적으로 학습하고 의미 있게 받아들이기 위해 함양해야 할 중요한 고등사고 능력이다[7]. SIM-PBL 과정은 간호실무에 대한 학습자의 시스템사고를 함양하여 시스템이라는 틀 안에 상호 작용하도록 지식을 통합하게 한다[8,9].
학습몰입은? 학습몰입은 학습에 깊이 몰두하여 흥미를 수반하는 상태로 간호학생에게 학습 성과를 높여주는 중요한 요인이다[11,12]. 시뮬레이션을 통한 학습몰입은 실제 간호사의 역할에 대한 높은 이해도로 임상에서 요구하는 간호 역량을 키울 수 있고, 단순한 관찰이 아닌 다양한 시뮬레이션 경험을 통한 임상수행능력을 기를 수 있다[13].
간호교육기관에서 다양한 임상상황에 대한 시나리오와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정규 교과목으로서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도하는 이유는? 성과기반교육을 통한 졸업생 역량의 향상이 핵심인 간호교육인증평가가 이미 3주기에 들어섰고, 이러한 역량의 향상을 목적으로 대부분의 간호교육 기관은 이론학습과 교내 및 임상실습의 실무를 통합하여 적용하는 것을 프로그램학습성과에 포함하고 있다[1]. 그러나 간호학생들이 성취해야 할 지식, 기술, 태도의 수준은 높아지고 있는 것에 반해, 대상자 권리와 안전 보장의 강화로 인한 관찰위주의 임상실습으로 이론과 실무의 통합 적용이 점점 어려워지는 것이 현실이다[2]. 이러한 이유로 대부분의 간호교육기관에서 이미 다양한 임상상황에 대한 시나리오와 시뮬레이터를 활용하여 정규 교과목으로서 시뮬레이션 교육을 시도하고 있고, 이를 졸업예정학생의 통합적용 역량에 대한 평가의 도구로 이용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Y. J. Oh & H. Y. Kang. (2013). Metacognition, Learning Flow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Nursing Simulation Learning.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3), 239-247. DOI : 10.7739/jkafn.2013.20.3.239 

  2. O. H. Cho & K. H. Hwang. (2016a). The Effect of Education based on Simulation with Problem-based Learning on Nursing Students' Learning Motivation, Learning Strategy,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7), 640-650. DOI : 10.5392/jkca.2016.16.07.640 

  3. K. O. Park, Y. M. Ahn, N. R. Kang, M. J. Lee & M. Sohn. (2013).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Six Dimension Scale of Nursing Performance and Student Nurse Stress Index Using an Objective Structured Clinical Examination-Modules for Asthma and Type 1 Diabete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9(2), 85-93. DOI : 10.4094/chnr.2013.19.2.85 

  4. M. J. Lee, Y. M. Ahn, I. S. Cho & M. Sohn. (2014). Effectiveness of Simulation Integrated with Problem Based Learning on Clinical Competency and Self-efficacy in Nursing Student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20(2), 123-131. DOI : 10.4094/chnr.2014.20.2.123 

  5. W. H. Jun. & E. J. Lee. (2013) Effects of S-PBL in Fundamental Nursing Practicum among Nursing Students: Comparision Analysis of a Ordinary Least Square and a Quantile Regression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11), 1036-1045. DOI : 10.5392/JKCA.2013.13.11.1036 

  6. S. Y. Liaw, F. G. Chen, P. Klainin, J. Brammer, A. O'Brien & D. D. Samarasekera. (2010). Developing clinical competency in crisis event management: An integrated simulation problem-based learning activity. Advances in Health Sciences Education, 15(3), 403-413. DOI : 10.1007/s10459-009-9208-9 

  7. H. N. Lee, Y. J. Kwon, H. J. Oh & H. D. Lee. (2011).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Educational Program to Increase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Skills Focus on Global Warm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7), 784-797. DOI : 10.5467/jkess.2011.32.7.784 

  8. S. Campbell & K. Daley. (2012). Simulation Scenarios for Nursing Educators: Making It Real, 2nd Edition. New york: Springer Publishing Company. 

  9. O. H. Cho & K. H. Hwang. (2016b).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Education on Nursing Students' Presence in Education, Systems Thinking and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3(2), 147-154. http://uci.or.kr/G704-SER000009889.2016.23.2.003 

  10. O. BenZvi Assaraf & N. Orion. (2005). Development of system thinking skills in the context of earth system education.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5), 518-560. DOI : 10.1002/tea.20061 

  11. I. B. Suk & E. C. Kang. (200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Learning Flow Scale.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23(1), 121-154. DOI : 10.17232/kset.23.1.121 

  12. J. R. Han. (2016). The Effects of Shared Leadership on Team Performance and Team Commitment of Team-Based Learning in Nursing Students : Mediating Effects of Team Trus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4(12), 303-311. DOI :10.14400/JDC.2016.14.12.303 

  13. H. W. Kim & E. Y. Suh. (2012). Nursing Students' Immersion Experience in a Comprehensive Simulation Scenario Using High-Fidelity Human Patient Simulator among Nursing Students : A Phenomenological Study. Journal of military nursing research, 30(1), 89-99. http://uci.or.kr/I410-ECN-0102-2012-510-003214751 

  14. J. H. Kim, K. J. Kwon & S. H. Lee. (2017). Factors Influenc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4), 295-307. DOI : 10.14400/JDC.2017.15.4.295 

  15. M. H. Kang, Y. H. Song, S. H. Park. (2008). Relationships among Metacognition, Flow, Interactions and Problem Solving Ability in Web- based Problem Based Learning.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12(2), 293-315. DOI : 10.24231/rici.2008.12.2.293 

  16. C. A. Rauen. (2004). Simulation as a Teaching Strategy for Nursing Education and Orientation in Cardiac Surgery. Critical Care Nurse, 24(3), 46-51. http://ccn.aacnjournals.org/content/24/3/46.long 

  17. C. A. Oh & H. S. Yoon. (2007).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Medication Errors in Nurses with Less than One Year Job Experience.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4(1), 6-17. https://j.kafn.or.kr/journal/view.php?number439 

  18. Y. A. Song. (2014). Effect of Simulation-based Practiceby apply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Problem Solving Process, Self-confidence in Clinical Performance and Nursing Competence.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20(4), 246-254. DOI :10.4069/kjwhn.2014.20.4.246 

  19. W. S. Lee, K. C. Cho, S. H. Yang, Y. S. Roh & G. Y. Lee. (2009). Effects of problem-based learning combined with simulation on the basic nursing competency of nursing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1), 64-72. https://j.kafn.or.kr/journal/view.php?number552 

  20. H. Y. Lee, H. S. Kwon & K. S. Park. (2013). An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for measuring high school students' systems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5), 995-1006. DOI : 10.14697/jkase.2013.33.5.995 

  21. J. H. Lee. (2010).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school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48(2), 67-92. http://uci.or.kr/G704-000614.2010.48.2.002 

  22. Marshall, L. C. (2003). The relationship between efficacy, teamwork, effort and patient satisfactio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 USA. 

  23. E. M. Kwon. (2009). The correlation among team efficacy, interpersonal understanding, proactivity in problem solving and team performa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4. Dolansky, M. A. & S. M. Moore. (2013). The Key is Systems Thinking. Online Journal of Issues in Nursing, 18(3), 1-12. DOI : 10.3912/OJIN.Vol18No03Man01 

  25. H. R. Kim, E. Y. Choi, & H. Y. Kang. (2011). Simulation module development and team competency evalu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8(3), 392-400. https://j.kafn.or.kr/journal/view.php?number686 

  26. Y. J. Son, & Y. A. Song. (2012). Effects of simulation and problem-based learning courseson student critical thinking,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8(1), 43-52. DOI : 10.5977/jkasne.2012.18.1.043 

  27. J. Y. Kim & E. Y. Choi. (2008). Learning Element Recogn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 Receiving PBL with Simulation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0(5), 731-742. DOI : 10.5977/jkasne.2008.14.1.055 

  28. A. Lathrop, B. Winningham & L. VandeVusse. (2007). Simulation-Based Learning for Midwives: Background and Pilot Implementation. Journal of Midwifery and Women's Health, 52(5), 492-498. DOI : 10.1016/j.jmwh.2007.03.018 

  29. M. S. Kim. & S. Y. Yun. (2015). Factors influencing flow state of cooperative learning among nursing student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3(10), 397-403. DOI : 10.14400/jdc.2015.13.10.397 

  30. Y. J. Yoo & J. M. Kim. (2014). Determinants Influencing Learning Flow of Domestic Adult Learners: An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The Journal of Training and Development, 29, 1-27. http://uci.or.kr/G704-SER000002289.2014..29.003 

  31. M. McEwen & E. M. Wills. (2016). Theoretical basis fornursing. 2nd Edition.. Philadelphia: Wolters KluwerHealth | Lippincott Williams & Wilkin. 

  32.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7). Protocol for core nursing skill. 4.1th Edition. Seoul: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