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한 초임중등과학교사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Developed by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9 no.2, 2019년, pp.221 - 232  

김유림 (이화여자대학교) ,  최애란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과학 교육에서는 탐구 중심 과학 수업의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교사들의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교육 현장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 그 의미대로 실행되지 못하고 있다고 여러 선행 연구에서 언급되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 참여한 두 명의 교사는 과학 탐구가 과학자 또는 학생이 과학을 하는 과정이라는 이해를 기반으로 과학 탐구를 교수-학습 방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을 수행하는 것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과학 탐구 과정이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pite the continuing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scientific inquiry, research studies have commented that authentic scientific inquiry is not implemented in school science classroom due to a lack of understanding of scientific inquiry by the teach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

주제어

표/그림 (4)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교사들이 인식한 과학 탐구는 무엇이었는가?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사학습공동체에서 과학 탐구 수업이라는 공동의 목표를 자발적으로 설정하고 1년 이상 과학 탐구 수업 계획, 실행 경험 공유, 반성을 함께 한 5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과학 탐구에 대해 어떠한 이해를 갖고 있는지, 과학 탐구에 대한 이해가 어떻게 변화되었다고 인식하는 지를 개방형 설문과 개별 면담 자료를 통해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모든 교사들은 과학 탐구를 '과학자가 하는 일'로 설명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자연 현상에 대한 궁금증을 과학적 탐구 기능을 수행하여 해결하는 과정', '과학 실천을 하여 과학지식을 구성하는 과정'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들이 과학자의 탐구 과정을 수행하는 것이 과학 탐구라고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 탐구이란? 과학 탐구는 과학자들이 자연 현상에 대해 의문을 가지고 다양한 방법으로 얻은 자료와 증거를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고 동료들과 의사소통을 통해 현상을 설명하는 체계를 만드는 활동이다(AAAS, 1993; NRC, 1996). 이러한 탐구 과정을 직접 수행하고 증거에 기반하여 추론하고 비판적으로 사고함으로써 학생들은 진정한 과학 학습을 할 수 있다(NRC, 2000).
교사학습공동체 이후 교사들이 새로 알게 된 과학탐구는 무엇인가? 본 연구의 참여 교사들은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전에는 과학 탐구가 실험과 동일하거나 손으로 조작하는 활동이 필수라는 탐구에 대한 제한적인 이해를 가지고 있었으나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후 다양한 방법의 과학 탐구가 있으며, 실험뿐만 아니라 모형을 개발하거나 사용하여 현상을 설명하고, 학생들 간 증거 기반의 논의에 참여하는 것도 중요한 탐구 과정이라는 발전된 이해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교사들은 학생들이 직접 실험을 수행하여 수집한 자료가 아니더라도 제시된 자료에 대하여 동료들과 논의하고 해석하여 글이나 모형을 사용하여 표현하는 것도 과학 탐구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교사의 탐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다수의 선행 연구들이 교사 연수를 제언하였지만 지식 전달 위주의 단기 연수만으로는 교사의 탐구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보고되어 왔다(Kang, 2017; Yoon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2)

  1. Abd-El-Khalick, F. (2013). Teaching with and about nature of science, and science teacher knowledge domains. Science & Education, 22(9), 2087-2107. 

  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 [AAAS] (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 Anderson, R. D. (2002). Reforming science teaching: What research says about inquiry.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1), 1-12. 

  4. Asay, L. D., & Orgill, M. (2010). Analysis of essential features of inquiry found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Science Teacher, 1998-2007.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1(1), 57-79. 

  5. Bartos, S. A., & Lederman, N. G. (2014). Teachers' knowledge structures for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Conceptions and classroom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9), 1150-1184. 

  6. Capps, D. K., & Crawford, B. A. (2013). Inquiry-based instruction and teaching about nature of science: Are they happening?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4(3), 497-526. 

  7. Cha, G., Ju, E., & Jang, S. (2015). The change process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1), 191-213. 

  8. Cho, E., Kim, C., & Choe, S. (2017). An investigation into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on scientific models and model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5), 859-877. 

  9. Cho, H., Han, I., Kim, H., & Yang, I. (2008). Analysis of elementary teachers' views on barriers in implementing inquiry-based instruc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8(8), 901-921. 

  10. Cho, S. & Baek, J. (2015). A case study on the inquiry guidance experience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solving the dilemmas between cognition and practice of inqui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573-584. 

  11. Choi, A. (2014). Pre-service science teachers' understanding and view of argument-based inquiry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8(6), 658-666. 

  12. Denzin, N. K. (1970). Sociological methods: A sourcebook. London: Butterworths. 

  13. Driver, R., Newton, P., & Osborne, J. (2000). Establishing the norms of scientific argumentation in classrooms. Science Education, 84(3), 287-312. 

  14. DuFour, R., & Eaker, R. (1998).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t work: Best practices for enhancing student achievement. Reston, VA: ASCD. 

  15. Ford, M. (2008). Disciplinary authority and accountability in scientific practice and learning. Science Education, 92(3), 404-423. 

  16. Hord, S. M. (1997).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Communities of continuous inquiry and improvement. Austin, Texas: Southwest Educational Development Laboratory. 

  17. Jang, S. (2006)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with emphasis on students' scientific explanation.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25(1), 96-108. 

  18. Jeon, K. (2015). Investigation of elementary teachers' perspectives on science inquiry teaching,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2), 267-277. 

  19. Jeon, K. (2017). Investigation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 on science inquiry regarding science practices.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 Instruction, 21(6), 644-653. 

  20. Kang, N. (2017). Teachers' conceptions of models and modeling in science and science teach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7(1), 143-154. 

  21. Kim, D. (2014). Science teacher understanding of argumentation, perception on argumentation based science classes, levels of claim and evidence.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2. Kim, Y. (2012). Qualitative research. Paju: Academypress. 

  23. Lederman, J. S., Lederman, N. G., Bartos, S. A., Bartels, S. L., Meyer, A. A., & Schwartz, R. S. (2014a).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understandings about scientific inquiry-the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 (VASI) questionnai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1(1), 65-83. 

  24. Lederman, N. G., Antink, A., & Bartos, S. (2014b). Nature of science, scientific inquiry, and socio-scientific issues arising from genetics: A pathway to developing a scientifically literate citizenry. Science & Education, 23(2), 285-302. 

  25. Lee, H., Cho, H., & Sohn, J. (2009). The teachers' views on using argumentation in school scie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9(6), 666-679. 

  26. Lee, M. & Kim, J. (2004).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of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4(6), 1082-1093. 

  27. Lee, Y., Kim, Y., Lee, H., Kim, Y., Cho, D., & Cho, J. (2005). Action research. Seoul: Hakjisa. 

  28. Louis, K. S., Marks, H. M., & Kruse, S. (1996). Teachers' professional community in restructuring school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3(4), 757-798. 

  29. Luft, J. A. (2001). Changing inquiry practices and beliefs: The impact of an inquiry-based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me on beginning and experienced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3(5), 517-534. 

  30. Ministry of Education. (2015). 2015 revised curriculum-Science. Seoul: Ministry of Education. 

  31. Nam, J., Kim, H., Go, M., & Ko, M. (2010).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through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0(5), 544-556. 

  32.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3.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A Guide for Teaching and Learning.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4.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13).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 For states, by state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ies Press. 

  35. Oh, P. (2014). Characteristics of teacher learning and changes in teachers' epistemic beliefs within a learning community of elementary science teachers.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33(4), 683-699. 

  36. Osborne, J. (2014). Teaching scientific practices: Meeting the challenge of chang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5(2), 177-196. 

  37. Park, G. & Kim, Y. (2007). Analysis of difference between preferences and practice about science teachers' inquiry based instructio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 1-10. 

  38. Park, J., Kim, J., & Park, Y. (2004)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inquiry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5(8), 731-738. 

  39. Park, J., Nam, J., & Kwon, J. (2015) An Analysis on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problems in their teaching practi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35(4), 557-564. 

  40. Park, Y. (2010). Secondary beginning teacher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With the view of hands-on, minds-on, and hearts-on.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1(7), 798-812. 

  41. Park, Y., Park, J., & Park, J. (2010). Analyzing scientific inquiry activities in the content of "Acid-base neutralizing reaction" and beginning teachers' perception of scientific inquiry in the classroom: From the view of authentic scientific inquiry(ASI). Teacher Education Research, 49(3), 281-304. 

  42. Seo, K. (2009).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and professional development. The Journal of Korean Teacher Education. 26(2), 243-276. 

  43. Seo, K. (2015).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Seoul: Hakjisa. 

  44. Simon, S., Erduran, S., & Osborne, J. (2006). Learning to teach argumen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in the science classroom.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2-3), 235-260. 

  45. Son, Y., & Chae, S. (2008). Systematic questionnaire design. Seoul: B&M Books 

  46. Song, M. (2016).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scientific inquiry. Research of Science Math Education, 39, 179-210. 

  47. Strauss, A. L., & Corbin, J. M.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48. Sung, H., Shin, J., Chun, J. (2016). Pre-service biology teachers' understanding about nature of the scientific inquiry-the views about scientific inquiry(VASI) questionnaire-. Biology Education, 44(2), 191-209. 

  49. Tang, X., Coffey, J. E., Elby, A., & Levin, D. M. (2010). The scientific method and scientific inquiry: Tensions in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Education, 94(1), 29-47. 

  50. Windschitl, M. (2003). Inquiry projects in science teacher education: What can investigative experiences reveal about teacher thinking and eventual classroom practice? Science Education, 87(1), 112-143. 

  51. Yoon, H., Kim, H., Lee, K., & Cho, H. (2012). The effect of free inquiry teacher training program on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perception and teaching efficacy.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28(3), 343-363. 

  52. Yu, G., Jeong, J., Kim, Y., & Kim, H. (2012).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eoul: Pakyoungsa.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