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다운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평가항목 개발 및 중요도 분석 - 네트워크 분석과 AHP 분석 활용 -
Development and importance analysis of evaluation factors for formation of future-oriented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using network analysis and AHP analysis 원문보기

농촌계획 : 韓國農村計劃學會誌, v.25 no.2, 2019년, pp.89 - 98  

이차희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임정언 (서울대학교 환경계획연구소) ,  이상문 (협성대학교) ,  윤상헌 (한국농어촌공사 농어촌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evaluation factors for formation of the future - oriented rural residential environment and to derive the importance of this evaluation factors. The main research methods are network analysis using Net-miner, AHP analysis and importance analysis for exper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지역의 과소화를 완화하고 귀농귀촌과 같은 새로운 인구유입을 위해 미래지향적인 농촌다운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평가항목을 개발하고, 평가항목에 대한 중요도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기존문헌 분석을 통해 농촌다운 주거환경의 주요 개념과 개념별 평가항목을 도출한다.
  • 본 연구는 미래 수요를 반영한 농촌다운 주거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평가항목 개발이 시급하다고 보고 이에 대한 체계적인 평가체계를 정립하고 평가항목을 개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또한 최근 주목받고 있는 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하여 지난 10여년 간의 주거환경의 물리적 시설과 관련된 누적된 다량의 데이터에 대한 중심성 분석 등을 실시하여 물리적 시설을 도출하여 평가항목에 반영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 따라서 농촌의 인구 구성(고령화, 귀농귀촌 등)과 여러 기능(문화, 여가, 교육, 서비스 등), 농촌생활권에 대한 신규수요 등 변화하는 농촌의 현실을 반영하기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미래지향적인 농촌다운 주거환경 조성을 위한 평가항목을 도출하기 위해 농촌다운 주거환경의 개념과 농촌지역의 공간위계(중심지-마을)에 따라 적합한 물리적 시설의 유형을 분류하고 이에 대한 중요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최근 ‘농촌다움’ 개념은 어떻게 확장되었는가? 최근 ‘농촌다움’ 개념은 과거 농촌의 본 모습을 찾고자 하는 농촌성(Rurality) 측면에서 자연기반, 커뮤니티기반의 지속가능한 ‘정주공간’으로서 농촌이 가지는 가치와 계획 방향성으로서의 농촌다움(ruralism)으로 확장되고 있다. 특히 2018년 OECD가 발표한 농촌정책3.
농촌 주민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던 주거환경과 공공시설의 쓰임새와 선호에 영향을 주는건 무엇이 있는가? 특히 기존 논의에서 제대로 다루어지지 못하고 있는것 중의 하나는 귀농·귀촌 인구 유입과 이에 따른 농촌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최근 농촌에서 급속한 고령화현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2000년 이후 귀농·귀촌 인구유입, 다문화 가정 확대, 농촌체험관광 등 도농교류의 확산으로 마을의 인구 구성이 다양화되고 전통적 농촌의특성이 변화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농촌 주민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던 주거환경과 공공시설의 쓰임새와 선호에 영향을 미친다.
농촌다움이란 무엇인가? 0)에서는 새로운 농촌다움(Newruralism)이라는 패러다임을 농촌의 다원적 기능에 초점을 두어 제안하였는데, 이는 2000년대 Kraus(2006)와Moffat(2006) 등이 제시한 도시 근교의 농촌지역이 가지는 가치를 담은 계획방향으로 농촌다움 개념을 반영한것이다. 이 때 농촌다움이란 모범적인 전통 농촌의 이미지를 추구하는 농촌성의 개념이 아니고, ‘지속가능한 정주공간’으로서 농촌이 가지는 원칙으로서 난개발로 훼손된 도시 근교지역을 대상으로 적용하고자 하는 과정에서제시된 개념이다. Vivier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urholt, V., 2006, 'Adref': theoretical contexts of attachment to place for mature and older people in rural North Wales, Environment and Planning A, 38(6), 1095-1114. 

  2. Paquette, S., Domon, G., 2003, Changing ruralities, changing landscapes: exploring social recomposition using a multi-scale approach, Journal of rural studies, 19(4), 425-444. 

  3. Sibella Kraus, 2006, A Call for New Ruralism, Frameworks. 

  4. David Moffat, 2006, New Ruralism: agriculture at the Metropolitan Edge, Places, 18(2), 72-75. 

  5. Viviers, J., Cornelius, S., Cilliers, E. J., 2017, Considering New Urbanism, New Ruralism And Green Urbanism In Response To Multifunctionality: The Case Of Verkykerskop, South Africa, WIT Transactions on Ecology and The Environment, 223(-), 73-87. 

  6. Lee, H. J., 2013, The Social Characteristics and Roles of the Alternative Value Oriented Rural In-migrants, Rural Sociological Society, 23(2), 49-90. 

  7. Kim, H. S., Park, H. J., 2014, A Study of the Pre-Retirees' Perception on Housing Environment: The Case of Daegu,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5(1), 73-80. 

  8. Kim, D. S., Kim, J. H., Kwon, Y., D., 2010, A Study on Residents Needs Survey and Analysis for Rural Village Development Planning: With Villages on Surrounding Area of Daecheong,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37(3), 523-534. 

  9. Park, M. L., Kim, D. S., Lim, S. B., Choi, Y. L., Park, W. L., 2017,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indicators of house and living environment infrastructure vulnerability in rural villages, Rural Research Institute. 

  10. Yoon, S. H., Lee, S. M., Yoon, W. K., Jeon, Y. O., Son, Y. H., Lee, C. H., Lim, J. E., Yoon, S. Y., Kim, Y. J., Kim, Y. J., Lee, Y. S., Park, J. H., Choi, I. S., 2018,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he technology elements for residential environment in rural area, Rural Research Institute. 

  11. Shin, S. Y., Lee, J. I., Lee, S. W., Kang, B. S., Kim, H. Y., Ahn, J. G., Lee, I. S., Cho, S. H., Choi, K. M., 2008, Indicators and Evaluations of the Quality of Residential Environments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12. Suh, J. H., Choi, H. S., Kim, J. P., Song, B. H., Yang, H. S., Yeo, H. S., Lee, J. W., Kim, J. O., Choi, Y. N., 2016, Development of Rural Public Space and Facilities Arrangement Manual,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13. Kim, C. H., Park, J. T., Park, K. H., 2007, Development and policy applications of indicators for identifying rural problems, Korea Research Institute.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