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소규모 저수지 대상 비상대처계획 수립 선정기준 연구
Study on Selection Criteria of Small-Scales Reservoirs for Emergency Action Plan(EAP) Establishment 원문보기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61 no.3, 2019년, pp.101 - 112  

박기찬 (Head Office,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  최경숙 (Department of Agricultural Civil Engineering,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veloped selection criteria of small-scales reservoirs, having under $300,000m^3$ storage capacity, for the Emergency Action Plan(EAP) establishment in order to reduce the disaster risks of the reservoir's failures. Those reservoirs are out of ranges of Korean EAP establishmen...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지진인자’ 지표는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역대 지진발생 현황(KMA, 2017) 및 한국수자원학회의 댐 설계기준 (KWRA, 2011)을 바탕으로 정량화 하였다. 2016년 9월 경주에 서 발생한 규모 5.8 지진과 2017년 11월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4 지진 이후 공공 시설물 안정성 확보에 대한 관심이 증대함 에 따라, 호우인자와 마찬가지로 지진인자에서도 저수지 붕괴 가능성을 지진발생위험지역을 기준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 EAP 수립은 시설물 붕괴 혹은 위험 발생 시 주변지역의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그 지역의 물리적⋅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비상상황 발생 모의 결과에 따른 사전 대피계획 수립과 주민 대피 모의 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EAP 수립 법적기준 이하 소규모 댐⋅저수지의 재해위험성을 경감하고 비상상황 발생시 체계 적인 대응체계 구축하기 위해 법적 기준인 저수용량 30만톤 이하 저수지를 대상으로 EAP 수립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EAP 수립 선정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법적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에 대 한 EAP 수립 선정지표로서 앞에서 언급한 최근 댐⋅저수지 붕괴사례 원인 분석 결과와 국내외 EAP 수립 지침 관련 댐 하류부 피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들을 고려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EAP 수립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에 대해 EAP 수립이 필요한 대상저수지를 선정할 지표를 개발하기 위해 먼저 최근 댐 저수지 붕괴사례에 대한 원인을 분석하고, 기존의 EAP 수립지침을 검토하여 소규모 저수지의 EAP 수립 필요성이 있는 대상 저수지 선정지표를 개발한 후, 선정지표 별 기준의 정립을 통한 정량화를 실시하고, 이를 실제 적용해 보았다.
  • 본 연구에서는 EAP 수립 법적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의 붕괴 발생에 대한 재해위험을 경감시키고 시설물의 안정 적 관리를 도모하고자 이들 저수지에 대한 EAP 수립 선정 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외 지침(CDA, 2017)을 검토하여 저수용량 및 높이에 따른 댐의 분류(Table 1), 댐 규모 및 설계홍수량에 따른 위험도(Table 2), 위험도 에 따른 피해현황(Table 3)을 통해 하류부 피해에 영향을 주는 주요 요소로써 저수용량, 제체높이 및 호우인자가 파악되었다.
  • ‘경과연수’ 지표는 시설물의 노후화와 관련 있으며, 국내의 경우 사회간접자본 시설물의 노후화 정도는 시설물 준공 이 후 30년 이상의 사용연수를 기준으로 하고 있다(KISTEC, 2015). 본 연구에서는 경과연수 지표의 정량화를 위해 우리나 라 전체 저수지의 경과연수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전체 저수지 17,310개 중 30년 이상에서 50년 미만의 저수지는 22.
  • 본 연구에서는 법적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에 대한 EAP 수립 대상을 선정하기 위해 고려한 5개 지표의 정량화를 통해 실무적용에서 의사결정이 용이하도록 객관적 기준을 제시하 고자 하였다. ‘저수용량’ 지표는 현재 EAP 수립 법적기준에 “30만톤 이상”으로 명시된 유일한 정량적 지표로써 댐⋅저수 지 붕괴 시 하류부 인명 및 재산 피해 규모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지표이다.
  • 본 연구에서는 최근 기상이변의 영향 및 지진 발생과 저수 지 노후화 등으로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있는 소규모 저수지 붕괴에 의한 재해 위험성을 경감하고자 댐⋅저수지 EAP 수 립 기준 이하 소규모 저수지를 대상으로 EAP 수립 대상여부를 판단할 선정지표를 개발하였다.
  • 연구는 과거 붕괴사례 원인 분석, 기존의 EAP 수립 지침 검토 및 관련분야 선행 연구 등을 분석하여 저수용량, 제체 높이, 경과연수, 호우인자 및 지진인자를 포함하는 5개 선정 지표를 개발하고 정량화하여 실무적용을 용이하게 하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지진과 저수지 붕괴사례의 연관 성을 검토하기 위해 과거 지진발생 현황을 바탕으로 역대 지 진발생 20위권 내에 해당하는 규모 4.0이상 지진 발생지역을 과거 저수지 붕괴사례에 중첩시켜 보았다. 그 결과, 규모 4.
  • 다음으로 ‘호우인자’의 정량화는 행전안전부 재해연보 상 의 우심피해지역(MOIS, 2014)을 기준으로 설정하였다. 호우 인자의 경우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과거 저수지 붕괴사례 에서 저수지 붕괴의 주요 원인인 태풍 및 집중호우에 의한 피해지역을 파악함으로써 호우인자와 관련된 저수지 붕괴 가능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EAP 수립의 역할은? 이러한 피해를 최소화 하고 자 최근 댐⋅저수지를 대상으로 비상대처계획(EAP: Emergency Action Plan)을 수립하고 있다. EAP 수립은 시설물 붕괴 혹은 위험 발생 시 주변지역의 인명피해 및 재산손실을 최소화하 기 위해 그 지역의 물리적⋅지형적 특성을 반영한 비상상황 발생 모의 결과에 따른 사전 대피계획 수립과 주민 대피 모의 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국내 댐⋅저수지 EAP 수립은 언제 시행되었는가? 국내의 경우 댐⋅저수지 EAP 수립은 2001년 12월 수해방 지종합대책의 일환으로 시행되었다. 댐⋅저수지 EAP 추진 법 적근거는 하천법 제26조, 자연재해대책법 제37조, 농어촌정 비법 제20조에 의한다.
우리나라 전체 저수지의 경과연수를 조사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경과연수 지표의 정량화를 위해 우리나 라 전체 저수지의 경과연수를 조사해 보았다. 그 결과, 전체 저수지 17,310개 중 30년 이상에서 50년 미만의 저수지는 22.6%, 50년 이상 저수지는 73.6%, 30년 이상 저수지는 96.1% 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MAFRA, 2016a, MAFRA 2016b).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DA, 2017. Canadian dam safety guideline. Canadian Dam Association, Toronto, Canada. 

  2. Choi, B. H., and C. H. Ryu, 2017. Preparing the failure forecast for the reservoir (fill dam) for doubling the performance utilization of the reservoir disaster prevention measurement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0(3): 36-44. 

  3. Choi, H. S., 2009. Research trend analysis of flood from the reservoir failures. Journal of the Korean National Committee on Irrigation and Drainage 16(1): 30-33. doi:10.5391/JKIIS.2006.16.1.030. 

  4. DESW (Department of Ecology State of Washington), 2013. Guidelines for developing dam emergency action plans. Washington, USA. 

  5. FEMA, 2013. Federal government guidelines for dam safety. The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of Washington, USA. 

  6. ICOLD, 1998. Dam-break flood analysis. Bulletin of International Commission on Large Dam, 111. Paris, France. 

  7. Kim, J. G., J. Y. Kim, and H. H. Kwon, 2017. Introduction of hydrologic dam risk assessment technique.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0(3): 28-35. 

  8. KISTEC, 2015. 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and improvement of vulnerable factors through analysis of diagnosis results of dams and reservoir facilities. Korea Infrastructure Safety & Technology Corporation. 

  9. KMA, 2017. The records of over 4 magnitude earthquake occurrence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10. KRC Gangleung Branch, 2012. Water disaster prevention business plan. Korea Rural Community Cooperation, Gangleung Branch. 

  11. KRC, 2017. Accident records and management status of irrigation facilities. Korea Rural Community Cooperation. 

  12. K-water, 2011. Research report of Emergency Action Plan (EAP) establishment for Gunwi multipurpose dam.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1-7. 

  13. KWRA, 2011. Dam design standard and commentary.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609-617. 

  14. Lee, J. T., 1987. Destruction of dam. Journal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20(3): 186-188. 

  15. MAFRA, 2016a. Statistical yearbook of agricultural infrastructure maintenance project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6. MAFRA, 2016b. Status of national agricultural infrastructure facilities.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17. MOIS, 2009. Guidelines of emergency action plan (EAP) establishments for dam and reservoirs' failure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18. MOIS, 2014. Annual report of disaster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13-24. 

  19. MOIS, 2016. Disaster risk reservoir and dam management guideline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 MOIS, 2015. Annual business report in 2015.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1. MOLIT.K-water, 2016. Research report of emergency action plan (EAP) establishment for Four-major rivers multifunctional weir.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3-1-3-31. 

  22. MOLIT.K-water, 2017. Water and futur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Water Resources Corporation, 40-62. 

  23. OPM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Prime Minister's Secretariat), 1999. Water disaster prevention report. Sejong, Kore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