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신병원 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Mental Hospital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0 no.5, 2019년, pp.372 - 383  

장경오 (영산대학교 간호학과) ,  이태진 (양산병원) ,  정민영 (양산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정신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연구방법은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지역의 7개 기관의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 153명을 대상으로 한 서술적 조사연구로, 2018년 3월 5일부터 2018년 3월 30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통계방법은 IBM SPSS/win 24.0 프로그램을 t-test, ANOVA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자의 면허나 자격에 따라 낙상태도에 차이가 있었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환자안전문화인식정도가 높았으며, 근무경력이 많을수록 낙상예방활동이 높았다. 그리고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높을수록 낙상간호에 대한 태도가 높았으며, 낙상예방활동이 높을수록 낙상태도와 낙상안전문화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다중회귀분석 한 결과, 낙상예방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12.5%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정신병원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서는 계속적인 교육을 통해 지식을 확장하며 낙상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제공이 요구된다. 또한 병원조직 차원에서 안전에 대한 전반적인 인적, 제도적 환경의 변화 등 다방면의 지원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orts of Knowledge, Attitude and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on Fall Prevention Activities in Mental Hospital Nurses.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study of 153 nurses working in Busan and Gyeongnam mental health hospitals, the dat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신병원 근무 간호사들의 환자 낙상예방활동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정신병원 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문화 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향후 정신병원 의료서비스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간호중재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정신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신병원 간호사의 낙상예방활동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정신병원 간호사의 낙상에 대한 지식, 낙상태도 및 환자안전문화에 대한 인식정도를 알아보고, 이들 변수가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서술적 조사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정신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정신병원 근무 간호사들의 환자 낙상예방활동을 위한 간호중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병원 간호사를 대상으로 낙상에 대한 지식, 태도 및 환자안전문화인식이 낙상예방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으며, 구체적인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정신병원 장기입원 경향이 증가함에 따라 어떤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가? 7일에 비해 우리나라는 2014년 197일로 장기입원 경향을 보이고 있다[2]. 이처럼 긴 입원기간으로 인해 안전사고 노출 기간이 길어지고 환자안전관리의 요구 또한 매우 많은 상황이다[3]. 그래서 정신병원의 경우 입원환자의 특성상 예기치 못한 환자의 공격적 행동으로 인해 안전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이란 무엇인가? 또한 환자안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간호부가 환자안전에 대한 중요성을 강조하고, 부서별 환자안전활동을 활성화하고 자발적인 환자안전 보고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는 결과로도 볼 수 있다[26]. 환자안전문화인식이란 보건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과정에서 발생 가능한 위험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27], 환자를 사고로부터 예방하고 위험한 요소를 제거함으로써 의료사고의 발생을 줄이는 것이 목적이다[28]. 정신의료기관 간호사는 정신병원 특성상 보호자가 없기 때문에 환자안전과 관련된 문제점을 민감하게 인식할 수 있는 전문가 집단으로서 환자의 자살사고 확인, 주기적 순회를 통한 환자안전 확보, 위험한 물품의 반입 제한, 치료진 간의 정보 공유 등의 활동을 통해 환자안전사고 예방에 직접적인 역할을수행하는 중요한 조직 구성원이다[3].
간호사의 낙상예방행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선행되어야 할 연구는 무엇인가? 이에 정신병원에서 간호사의 낙상예방행위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조직적인 요소에서 환자안전문화를 포함한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정신의료기관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에 대해 조사된 자료는 많지 않으며 기존의 자료는 의료분쟁 등에서 밝혀진 안전사고들이 대부분이다[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OECD Health Data, 2015. http://www.oecd-ilibrary.org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National mental health statistics - Pilot study", The National Mental Health Commission, National Center for Mental Health (NCMH), Korean, pp.31-33, 2015. 

  3.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Healthcare accreditation survey standard of mental hospital",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eoul, pp.140, 2012.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10.445 

  4. S. Y. Kim, K. H. Lee,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activities in mental health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vol.24, no.2, pp.82-92,2015. DOI: http://dx.doi.org/10.12934/jkpmhn.2015.24.2.82 

  5. B. McMinn, A. Booth, E. Grist, A. O'Brien, "Falls and fall injury and injury in mental health inpatient units for older people", Clinical Update, vol.24, no.5, pp. 26-29, 2016. 

  6. S. H. Kim, M. H. Kim, M. H. Jung, "The level of elderly fall prevention activities &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mong university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Living Environmental System, vol.20, no.1, pp.81-87, 2013. 

  7. J. H. Yim, H. J. Kim, E. Kim, H. S. Park, J. Choi, "A study on fire protection plan hospital building through case studies",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6, pp.199-204, 2004. 

  8. Ministry of Health & Welfare(MOHW), "Patient Safety and security Commission report", 2018. 

  9. L. T. Kohn, J. M. Corrigan, M. S. Donaldson, "To Err is human: Building a safer health system", National Academy Press, 2000. DOI: https://doi.org/10.17226/9728 

  10. K. L. Shin, S. J. Shin, J. S. Kim, J. Y. Kim, "The effects of fall prevention program on knowledge, self-efficacy, and preventive activity related to fall, and depression of low-income elderly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vol.35, no.1, pp.104-112, 2005. DOI: https://doi.org/10.4040/jkan.2005.35.1.104 

  11. E. J. Lee, I. W. Kang, "Student nurses' knowledge and attitude related to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vol.20, no.2, pp.183-194, 2006. 

  12. J. Y. Hur, H. J. Kim, "relationship of risk factors, knowledge and attitude to falls in elderly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1, no.1, pp.38-50, 2009. 

  13. O. L. Seo, "Effect of knowledge and attitude to falling of inpatients falling of nurse in a university hospital ", Master's thesis, Catholic University, Seoul, 2008. 

  14. M. Y. Cho, "Knowledge, attitude, and preventive activities regarding patient falls among nurses employed at small-to-medium scale hospitals ", Master's thesis, Eulji University, Daegeon, 2017. 

  15. J. H. Jang, S. H. Shin, "Effects of psychiatric nurses' perception of the healthcare accreditation system and safety climate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Mental Health Nursing, vol. 25 no.4, pp.375-385, 2016. DOI: https://doi.org/10.12934/jkpmhn.2016.25.4.375 

  16. G. H. Kim, S. J. Kim, S. S. Kim, "Nurse Staffing, Inpatient's Length of Stay and Safety Accidents in Psychiatric Hospital Setting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9, no.1 (B), pp. 503-511, 2017. 

  17. C. G. Kim, "An analysis of fall incidence rate and the related factors of fall in hospitalized patients", Master'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02. 

  18. Agency for Healthcare Research and Quality, "Hospital survey on patient culture", AHRQ publication, 2004, Retrieved from https://www.ahrq.gov/professionals/quality-patient-safety/index.html 

  19. J. E. Kim, K. E. An, S. H. Yun, "Nurses' percep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 and communication process related to patient safety in Korea", Healthcare Informatics Research, vol.10, no.1, pp.130-135, 2004. 

  20. I. Y. Hwang, "A Study on Knowledge, Attitude, and Implementation of Clinical Nursing Practice Guideline for Fall Prevention among Hospital Nurses Working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Master'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nam, 2011. 

  21. J. Y. Jung, G. H. Jung, "The Affect Factors of Geriatric Hospital Nurse's Falls Prevention Activities",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vol.41, no.2, pp.203-211, 2016. DOI: http://dx.doi.org/10.21032/jhis.2016.41.2.203 

  22. S. H. Kim, J. M. Seo, "Geriatric Hospital Nurses' Knowledge, Attitude toward Falls, and Fall Prevention Activities",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vol.19, no.2, pp.81-89, 2017. DOI: https://doi.org/10.17079/jkgn.2017.19.2.81 

  23. I. K. Lee, J. Y. Choi, "Factors Associated with Nurses' Activities for Hospital Fall Prevention", Korean Academic Society of Rehabilitation Nursing, vol.16, no. 1, pp.55-62, June, 2013. DOI: http://dx.doi.org/10.7587/kjrehn.2013.55 

  24. Y. S. Seo, E. S. Do, "Influence of Safety Culture Perception, Safety Control and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as Perceived for Nurses in Nursing Hom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13, no.9, pp.303-311, 2015. DOI: http://dx.doi.org/10.14400/JDC.2015.13.9.303 

  25. S. D. Cho, S. E. Heo, D. H. Moon, "A Convergence Study on the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Nursing Activ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ol.7, no.1, pp.125-136, 2016. DOI: http://dx.doi.org/10.15207/JKCS.2016.7.1.125 

  26. G. R. Seong. "The relationship between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hospital nurse", Master's thesis,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2018. 

  27.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Health topics patient safety, 2009, Retrieved June 15, 2010, from http://www.who.int/topics//patient_safety/en/ 

  28. S. J. Park, J. Y. Kang, Y. O. Lee, "A Study on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Safety Care Activity",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ol.5, no.1, pp.44-55, June, 2012. 

  29. S. H. Lee, Y. H. Yi,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Culture and Patient Safety Competency of Intensive Care Unit Nurses", Journal of the Korea Data Analysis Society, vol.18, no.4(B), pp.2215-2229, 2016. 

  30. Schubert M, Glass TR, Clarke SP, Aiken LH, Schaffert-Witvliet B, Sloane DM, et al. "Rationing of nursing care and its relationship to patient outcomes: the Swiss extension of the international hospital outcomes study",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vol.20, no.4, pp.227-237, 2008. 

  31. M. J. Kim, "The Effect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Public Hospital Nurses ", Master's thesis, Seonam University, Jeollabuk-do, 2018. 

  32. Nieva VF, Sorra J. "Safety culture assessment: a tool for improving patient safety in healthcare organization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vol.12, no.2, pp.17-23, 2003. DOI: http://dx.doi.org/10.1136/qhc.12.suppl_2.ii17 

  33. K. C. Choi, "A study on fire safety manag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27, no.1, pp.1-7, 2013. 

  3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ccreditation. "Accreditation standards for geriatric hospitals (ver 1.1)", Sejong, pp.21-22, 2014. 

  35. S. H. Lim, G. O. Lee, G. S. Oh, I. A. Park, S. H. Ryu, G. Y. Lee, G. Y. Shin, T. H. Kwon, S. J. Kim, G. H. Kwon, Y. J. Kim, J. H. Seol, S. J. Kim, "The fall prevention education has an effect on the fall-prevention behavior, fall effectiveness, and fall-prevention measures of the elderly", Clinical Nursing Research Site, vol.8, pp.53-88, 2005. 

  36. L. H. Aiken, D. M. Sloane, L. Bruyneel, K. Van den Heede, P. Griffiths, R. Busse, M. Diomidous, J. Kinnunen, M. Kozka, E. Lesaffre, M. D. McHugh, M. T. Moreno-Casbas, A. M. Rafferty, R. Schwendimann, P.A. Scott, C. Tishelman, T. van Achterberg, W. Sermeus, the RN4CAST consortium, "Nurse staffing and education and hospital mortality in nine European countries: A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Lancet, vol.383, no.9931, pp.1824-1830, 2014. DOI: https://doi.org/10.1016/S0140-6736(13)62631-8 

  37. H. J. Lee, "Factors Related to Attitude and Prevention Activity for Patient's Fall among General Hospital's Nurse ", Mater's thesis, Inje University, Gyeongnam, 20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