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낙상위험도와 균형 및 보행능력에 대한 안정 지면과 불안정 지면에서의 과제지향적 균형운동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Task-oriented Balance Training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for Fall Risk, Balance, and Gait Abilities of Patients with Stroke 원문보기 논문타임라인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4 no.2, 2019년, pp.89 - 95  

강태우 (우석대학교 보건복지대학 물리치료학과) ,  김범룡 (대자인병원 재활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ask-oriented balance training on stable and unstable surfaces in terms of the fall risk, balance, and gait abilities in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Twenty patients with stroke were divided randomly into a stable surface group (SSG, N=10) or unst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와 같이 선행연구들은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과제지향적 균형운동 또는 안정과 불안정한 지면을 병행하여 과제지향적 균형운동을 진행하였으며, 과제지향적 접근법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근거는 많이 제시되고 있지만 안정과 불안정한 지면이란 변화를 줌으로써 지면에 따른 차이를 비교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만성뇌졸중 환자들을 대상으로 낙상위험도와 균형 및 보행능력에 대한 안정한 지면과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과제지향적 균형운동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이란 무엇인가? 균형은 감각계, 안뜰계, 시각계를 포함한 다양한 감각계를 동원하여 자세를 조절하는 것으로 자세조절을 위한 정위반응과 안정은 과제와 환경에 따라 변하기 때문에 알맞은 조절을 하기 위해서는 운동전략이 상황과 과제에 맞춰 적응되어야 한다[7]. 자세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발에서부터 오는 체성감각의 정보가 중요하다.
뇌졸중 이후 환자들은 어떠한 어려움을 겪게 되는가? 뇌졸중 이후 대부분의 환자들은 시각정보와 고유수용성 감각의 손상으로 인하여 시각 및 공간 지각이 상실되어, 균형과 보행의 어려움을 겪게 된다[1]. 특히, 일반적으로 발생되는 편마비 증상은 환측으로 체중지지와 균형능력을 조절하는데 장애를 보이고, 비대칭적인 기립자세를 갖게 한다[2,3].
뇌졸중 환자의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운동전략 중 불안정한 지면에서 하는 운동의 긍정적인 영향은? 불안정한 지면에서 수행하는 운동은 신경근 동원 패턴(neuromuscular recruitment pattern)을 잠재적으로 바꿀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9]. 불안정한 지면에서의 운동은 안정한 지면에서의 운동보다 발목관절의 다양한 움직임을 유발하여 더 많은 근력을 요구한다[10]. 또한, 다양한 움직임의 변화를 통한 고유수용성감각의 증가는 만성뇌졸중환자의 발목 근력과 균형 및 보행능력의 향상에 효과적이다[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Kim CM, Eng JJ. The relationship of lower-extremity muscle torque to locomotor performance in people with stroke. Phys Ther. 2003;83(1):49-57. 

  2. Johannsen L, Broetz D, Karnath HO. Leg orientation as a clinical sign for pusher syndrome. BMC Neurol. 2006;6(1):30. 

  3. Laufer Y, Dickstein R, Resnik S, et al. Weight-bearing shifts of h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pping on stairs of various heights. Clin Rehabil. 2000;14(2):125-9. 

  4. Patterson KK, Parafianowicz I, Danells CJ, et al. Gait asymmetry in community-ambulating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8;89(2):304-10. 

  5. Lee DJ, Kim SY, Song CH.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balance test, functional movement, visual perception test and functional independent measure in stroke patients. J Korean Phys Ther. 2009;21(2):39-45. 

  6. Ahn W. The training effect of balance pad in stroke. J Sport Leis Stud. 2008;32(1):803-11. 

  7. Horak FB, Macpherson JM. Postural orientation and equilibrium. Handbook of physiology. 1996;1(1):255-92. 

  8. Shumway-Cook A, Woollacott MH. Motor control: translating research into clinical practice. Lippincott Williams and Wilkins. 2007. 

  9. Franklin DW, Osu R, Burdet E, et al. Adaptation to stable and unstable dynamics achieved by combined impedance control and inverse dynamics model. J Neurophysiol. 2003;90(5):3270-82. 

  10. Lee K, Lee S, Lee S. The effect of low extremity strengthening enhanced gait mat training on unstable surface on gait parameter and low extremity strength in elderly. J Spec Educ Rehabil Sci. 2011;50(4):419-35. 

  11. Park YH, Kim YM, Lee BH. An ankle proprioceptive control program improves balance, gait ability of chronic stroke patients. J Phys Ther Sci. 2013;25(10):1321-4. 

  12. Kizony R, Levin MF, Hughey L, et al. Cognitive load and dual-task performance during locomotion poststroke: a feasibility study using a functional virtual environment. Phys Ther. 2010;90(2):252-60. 

  13. Canning CG. The effect of directing attention during walking under dual-task conditions in Parkinson's disease. Parkinsonism Relat Disord. 2005;11(2):95-9. 

  14.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Butterworth-Heinemann Medical. 2003. 

  15. Bae SC, Kim KJ, Yoon HI. The effects of the balancing training on the unstable surface for the CVA patients. J Korean Acad Orthop Man Phys Ther. 2001;7(2):5-22. 

  16. Smania N, Picelli A, Gandolfi M, et al. Rehabilitation of sensorimotor integration deficits in balance impairment of patients with stroke hemiparesis: a before/after pilot study. Neurol Sci. 2008;29(5):313-9. 

  17. Park JH, Kwon YC. Modificat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use in the elderly in a non-western society. Part 1.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t J Geriatr Psychiatry. 1990;5(6):381-7. 

  18. Kang TW, Kim BR. The effects of task-oriented exercise program on balance ability in patients with acute stroke. J Korean Phys Ther. 2018;30(4):112-6. 

  19. Lee NH, Lee J, Lee KN.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a TETRAX on balance and mobility in acute stroke patients. Phys Ther Korea. 2010;17(3):11-9. 

  20. Laufer Y, Sivan D, Schwarzmann R, et al. Standing balance and functional recovery of patients with right and left hemiparesis in the early stages of 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3;17(4):207-13. 

  21.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The Balance Scale: reliability assessment with elderly residents and patients with an acute stroke. Scand J Rehabil Med. 1995;27(1):27-36. 

  22. Berg KO, Wood-Dauphinee SL, Williams JI,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 J Public Health. 1992;83(2):7-11. 

  23. Visintin M, Barbeau H, Korner-Bitensky N, et al. A new approach to retrain gait in stroke patients through body weight support and treadmill stimulation. Stroke. 1998;29(6):1122-8. 

  24. Green J, Forster A, Young J. Reliability of gait speed measured by a timed walking test in patients one year after stroke. Clin Rehabil. 2002;16(3):306-14. 

  25. Horak FB. Assumptions underlying motor control for neurologic rehabilitation. In Contemporary management of motor control problems. Proceedings of the II STEP conference. Foundation for Physical Therapy Alexandria. 1991. 

  26. Wu CY, Trombly CA, Lin KC. A kinematic study of contextual effects on reaching performance in persons with and without stroke: influences of object availability. Arch Phys Med Rehabil. 2000;81(1):95-101. 

  27. Gruber M, Gollhofer A. Impact of sensorimotor training on the rate of force development and neural activation. Eur J Appl Physiol. 2004;92(1-2):98-105. 

  28. Granacher U, Gollhofer A, Strass D. Training induced adaptations in characteristics of postural reflexes in elderly men. GaitPosture. 2006;24(4):459-66. 

  29. Jung K. Effects of the weight shifting training on an unstable surface on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 balance, and proprioception in the persons with stroke. Master's Degree. Sahmyook University. 2009. 

  30. Jeong TG, Park JS, Choi JD, et al. The effects of sensorimotor training on balance and muscle activation during gait in older adults. J Korean Soc Phys Ther. 2011;23(4):29-3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