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임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분석
Analysis on Components of Conflict between Mentor Teachers and Mentee Teachers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 원문보기

과학교육연구지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43 no.1, 2019년, pp.119 - 135  

정도준 (부산대학교) ,  이임일 (부산대학교) ,  남정희 (부산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및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갈등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연수에 참가한 30명의 교사 중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 및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갈등이 있었다고 응답한 3팀(6명)을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실시한 5차례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본과 전사본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요소를 살펴보면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중 수업 전략에 관한 갈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 요소 중 학생특성에 적합한 교과내용지식 측면과 교과내용지식 요소 중 과학개념에 대한 지식 측면에서 갈등이 나타났다. 또한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와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로부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역할, 서로 다른 교육관, 멘티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및 노력 부족 등의 원인으로도 갈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멘토링의 횟수가 거듭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의도를 멘티교사가 잘 이해하고 받아들여 결국에는 멘티교사의 인식 변화를 가져와 대부분의 갈등이 감소되었지만, 멘티교사의 요청에도 멘토교사가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갈등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omponents of conflicts and investigate causes of them between mentor teachers and mente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to improve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The most often occurring component of conflict ...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에서 초임교사가 발령받으면 무슨 일을 하나요? 우리나라에서 초임교사는 학교에 발령받은 첫날부터 수업뿐만 아니라 행정 처리에 관한 업무, 담임으로서의 업무, 학생 생활지도에 관한 업무 등 경력교사와 동일한 업무를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하는 경우 초임교사는 다른 교사에게 도움을 구하지 못하고 혼자서 해결하려는 경향을 지니고 있으며(Ryu, 2002; Nam, 2005), 그 결과 교사양성과정에서 배운 내용이 실제 현장에서 적용되는 방법과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고 반복되는 문제의 발생 원인을 자신의 능력 부족으로 돌리게 된다(Fogarty, Wang & Creek, 1982).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갈등 요소에는 뭐가 있을까요? 첫째, 협력적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멘토교사와 멘티교사 사이의 PCK 구성 요소 별 갈등 발생 빈도를 분석한 결과 수업 전략과 관련한 갈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멘토교사가 학생끼리의 상호작용을 중요시하는 구성주의 교육관을 수업에 적용하도록 멘티교사에게 요구하였으나 멘티교사가 이를 받아들이지 않거나(멘토교사 MT1- 멘티교사 BT1), 멘티교사의 수업 준비에 관한 요청에도 불구하고 멘토교사가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했기 때문이었다(멘토교사 MT2 - 멘티교사 BT2). 그러나 지속적인 멘토링이 수행되면서 수업 전략과 관련된 갈등이 점차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는 멘토링의 횟수가 거듭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의도를 멘티교사가 잘 이해하고 받아들여 멘티교사의 인식 변화를 가져왔기 때문이다. 따라서 멘토교사는 멘토링 과정에서 갈등이 발생할 수 있음을 인식하고, 갈등 발생 시 멘티교사와 함께 구체적인 논의를 통해 갈등의 발생 원인과 해결 방안을 찾아간다면 더욱 효과적인 멘토링이 될 것이다. 둘째, 멘티교사의 요청에도 멘토교사가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거나 멘티교사의 멘토링에 대한 성의 없는 태도(멘토교사 MT3 - 멘티교사 BT3)는 멘토링 진행 과정에서 갈등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공적인 멘토링을 위해서는 교수기술 지원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고 전달하는 멘토교사의 능력(Lee, 2015) 뿐만 아니라 멘티교사 개인의 교육관과 함께 멘토링에 참여하고자 하는 의지 또한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초임교사들이 현장에서 받게 될 다양한 영향(Kim et al., 2006) 중에서 멘토링과 같이 동료 교사와의 협력과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하는 전문적 관계 형성은 초임교사들의 교수기법 향상과 함께 효과적인 수업 발달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Eills, 1993; Hudson, Skamp & Brooks, 2005; Huling-Austin, 1992) 성공적인 멘토링을 위해 멘티교사 또한 적극적인 자세를 갖출 필요가 있다.
협력적 멘토링이란 무엇인가? 협력적 멘토링은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상호협력을 강조한 새로운 체계의 멘토링 프로그램으로(Nam et al., 2012), 학교나 교육청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기존의 수업 장학보다 실제 학교 현장의 맥락을 반영하고 멘티교사의 수업 전문성 변화를 지속적으로 도울 수 있는 전략적인 지원 체계이다(Nam et al., 2012; Jung & Nam, 2018). 협력적 멘토링에서 멘토교사는 멘토링을 실시하기 전 멘티교사가 작성한 수업 지도안, 학습지 및 수업 동영상을 바탕으로 멘티교사의 수업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일대일 멘토링을 실시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0)

  1. Appleton, K., & Kindt, I. (1999). Why teach primary science? Influences on beginning teachers' practic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1(2), 155-168. 

  2. Bianchini, A., & Solomon, M. (2003). Constructing views of science tied to issues of equity and diversity: A study of beginning science teacher.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1), 53-76. 

  3. Cho, H. (2011). The development of a mentor training program model for experienced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centers.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31(6), 331-352. 

  4. Ellis, N. (1993). Collegiality from the teacher's perspective: Social context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on in Teacher Education, 15(1), 42-48. 

  5. Feiman-Nemser, S. (1996). Teacher Mentoring: A Critical Review. Washington, DC: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97 060) 

  6. Feiman-Nemser, S. (2001). Heping novices learn to teach: Lessons from an exemplary support teacher.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52(1), 17-30. 

  7. Feiman-Nemser, S., & Parker, M. B. (1990). Making subject matter part of the conversation in learning to teach.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2-43. 

  8. Fogarty, J. L., Wang, M. C., & Creek, R. (1982). A descriptive study of experienced and novice teachers' interactive instructional decision process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New York, NY.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216007). 

  9.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ordrecht,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0. Go, M., & Nam, J. (2013).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collaborative mentor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3(1), 94-113. 

  11. Go, M., Lee, S., Choi, J., & Nam, J. (2009). The effect of cooperative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reflective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5), 564-579. 

  12. Guskey, T. R. (1994). Results-oriented professional development: In search of an optimal mix of effective practices. Journal of Staff Development, 15(4), 42-50. 

  13. Han, H., Lee, S., Kim, C., Lee, G., Kim H., Oh, P., & Maeng, S. (2009). A case study on changes in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s using the biographical approach.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1), 22-42. 

  14. Hiiffman, G., & Leak, S. (1986). Beginning teachers' perceptions of mentor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1), 22-25. 

  15. Hobson, A. J., Ashby, P., Malderez, A., & Tomlinson, P. D. (2009). Mentoring beginning teachers: What we know and what we don't.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5(1), 207-216. 

  16. Hudson, P., Skamp, K., & Brooks, L. (2005).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Mentoring for effective primary science teaching. Science Teacher Education, 89(4), 657-674. 

  17. Huling-Austin, L. (1992). Research on learning to teach: Implications for teacher induction and mentoring program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3(3), 173-180. 

  18. Joe, H., & Kim, H. (2005). Exploration of the meaning of group mentoring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 Early Childhood Education, 12(1), 227-263. 

  19. Jung, D., & Nam, J. (2018). Analysis of mentor teachers' mentoring type and type changes in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62(6), 441-452. 

  20. Jung, M., Lee, S., & Nam, J. (2013).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rception change in their teaching performan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57(6), 778-788. 

  21. Kang, H., & Kim, Y. (2003).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student teachers' teaching skills through self-reflection. BIOLOGY EDUCATION, 31(1), 72-86. 

  22. Kim, C., Maeng, S., Cha H., Park Y., & Oh P. (2006). A case study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novice science teacher and an experienced teacher: Priorities about science teaching and motivational ZPD.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3), 425-439. 

  23. Kim, H., Kim, H., & Yang, M. (2007). A preliminary study of developing an introduction programme for beginning kindergarten teachers. Journal of Young Child Studies, 10, 103-127. 

  24. Kwak, Y. (2006). Defini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ays of raising teaching professionalism as examined by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6(4), 527-536. 

  25. Ko, M., Nam, J., & Lim, J. (2009). Two case studies of the development of beginn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9(1), 54-67. 

  26. Lee, M. (2006). Study on the state of mentoring and mentoring needs of teachers by developmental stage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Korea. 

  27. Lee, S. (2015). Analysis of the effect on collaborative mentoring program for development of mentor standards in secondary science teaching(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Pusan, Korea. 

  28. Lee, S., Go, M., Nam, J., & Lee, S. (2016) Investigation of a mentor-teacher qualification standard through the analysis of interaction in mentoring conversation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6), 877-893. 

  29. Lieberman, A. (1995). Practices that support teacher development. In F. Stevens(Ed.), Innovating and evaluating science education : NSF evaluation forums, 1992-94(pp. 67-78). USA: NSF, Division of Research. Evaluation and Dissemination. 

  30. Lim, J., & Yang, I. (2008). A study on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process of elementary teacher. ELEMENTARY CCIENCE EDUCATION, 27(2), 93-101. 

  31. Little, J. W. (1994).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in a climate of educational reform.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5(2), 129-151. 

  32. Luft, J. A. (2009). Beginning secondary science teachers in different induction programmes: The first year of teaching.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17), 2355-2384. 

  33. Marks, R. (1990).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rom a Mathematical case to modified concep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1(3), 3-11. 

  34. Nam, J., Kim, H., Go, M., & Ko, M. (2010). The change in beginning science teachers' inquiry-oriented teaching practice through mentoring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0(5), 544-556. 

  35. Nam, J., Ko, M., Lee, S., Go, M., & Sung, H. (2012). Development of mentoring program model for in-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 32(10), 1613-1626. 

  36. Nam, K. (2005). Development of Initial Stage for Beginning Teachers. CNU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26(2), 105-126. 

  37. Odell, S. J., & Ferraw, D. P. (1992). Teacher mentoring and teacher retention. Journal of Teacher Eduction, 43(3), 200-204. 

  38. Osborne, H. D. (1998). Teacher as knower and learner: Reflections on situated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5(4), 427-439. 

  39. Park, K. (2008). A structural analysis of effect factors on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6(2), 49-74. 

  40. Park, H., & Lee, J. (2007). A study for the perception of mentors about mentors' roles and requirements. Early Childhood Education Research & Review, 11(3), 103-122. 

  41. Park, H., Seong, S., & Jeong, D. (2011). The effect of mentoring on beginning chemistry teacher's teaching practice.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1(8), 1055-176. 

  42. Park, Y. (1992). Characteristics of good science teachers and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perceived by secondary teache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2(1), 103-118. 

  43. Rovegno, I. (1992). Learning to teach in a field-based methods course: The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8(1), 69-82. 

  44. Ryu, B. (2002). An analysis of the adjustment of novice middle school teachers. The Journal of Korean Education, 29(1), 59-86. 

  45.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3. 

  46. Sim, J. (2006). Secondary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about professionality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experiment. BIOLOGY EDUCATION, 34(1), 27-37. 

  47. Smith, T. M., & Ingersoll, R. (2004). What are the effects of induction and mentoring on beginning teacher turnover?.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41(3), 681-714. 

  48. Strike, K. A., & Posner, G. I. (1992). A revisionist theory of conceptual change. In R. A. Duschl, & R. J. Hamilton(Eds.), Philosophy of science, cognitive psychology,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49. Supovitz, J. A., & Turner, H. M. (2000). The effects of professional on science teaching practice and classroom cultu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9), 963-980. 

  50.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