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약인성 간손상 환자에 대한 생간탕(生肝湯)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Efficacy of Saenggan-tang on a Patient with Drug Induced Liver Injury 원문보기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The journal of internal Korean medicine, v.40 no.2, 2019년, pp.201 - 207  

안소연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주성희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허소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장은경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이장훈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  김영철 (경희대학교 대학원 임상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case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on a patient diagnosed with drug-induced liver injury by oral administration of acetaminophen. Methods: A 21-year-old male patient with drug-induced liver injury visited the clinic five times from Januar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21세 남자의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투약 후 발생한 황적색 소변 및 피로감, 그리고 혈청학적 검사상에서의 간 관련 혈청효소 상승에 대하여 生肝湯 엑스산제의 투여를 통해 혈청 아미노전이효소 및 감마-글루타밀펩티드전이효소의 유의미한 감소 및 임상증상의 호전이 관찰된 사례로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증례는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투약 후 발생한 약인성 간손상의 치료를 위해 생간탕을 투약한 사례로, 간손상이 유발된 환자에의 한약 투약이 특이 부작용 없이 안전함을 확인하였고, 또한 혈청학적인 검사 상 간손상의 호전이 관찰된 바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 본 환자의 경우 2018년 부고환염의 치료로 항생제, 소염진통제 투약 후 간기능 관련 혈청효소의 수치 상승이 확인되었던 과거력이 있는 자로서, DILI에 대한 감수성이 높은 것으로 추측되는 자이다. 본 증례에서는 오한, 발열의 치료를 위해 투여한 아세트아미노펜 제제가 간손상을 유발, 그 결과로 尿黃赤, 疲勞등의 증상이 나타난 것으로 판단하여 급성 간손상을 치료하고자 生肝湯 엑스산제를 투약, 濕熱의 제거 및 利尿작용을 통해 간세포를 보호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약인성 간손상(Drug-induced liver injury, DILI)은 어떠한 경우에 내릴 수 있는 진단안가? 약물의 대사 및 배설에는 인체의 다양한 장기들이 관여하지만, 특히 간이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약인성 간손상(Drug-induced liver injury, DILI)은 혈청학적 검사 소견상 간 손상이 관찰되 었고, 약물의 투약이 간손상의 확인 시점 이전에 선행된 사실이 있으며, 투약된 약물 이외에 다른 간손상 유발인자에 대한 노출을 배제할 수 있으나, 조직학적 검사가 동반되지 않아 간염 및 간경변 등으로 확진할 수 없는 경우에 내릴 수 있는 진단이다1 .
급성 간손상과 관련 있는 약물은? 최근 국내의 DILI의 증례보고 중 상당수가 한약 복용 환자를 대상으로 발표되고 있으나, 연구방식에 있어 DILI의 판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거나 한약, 생약, 식물제제의 등 원인물질의 구분이 부정확하지 않아 전반적으로 연구의 질이 좋지 않다5 . 한편, 흔히 쓰이는 양약 중에서도 간손상 유발에 대한 인과관계가 명확히 밝혀진 것들이 많은데, 급성 간손상과 관련 있는 약물로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SAIDs), 항생제 및 심혈관계 작용 약물 등이 대표적이며4 , 그 중에서도 아세트아미노펜 중독은 가장 흔한 급성 간부전의 원인이다3 .
DILI의 병태에 대한 연구들이 설명하는 간손상을 일으키는 주요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DILI의 병태에 대한 연구들에 의하면, 간손상을 일으키는 주요기전은 크게 3가지로 나눠볼 수 있다. 첫째, 약물 또는 그 대사체가 직접적인 세포독성을 나타내 세포손상을 유발한다. 둘째, 내인성 및 외인성의 경로를 통하여 미토콘드리아 내 투과성 변화가 나타난다. 마지막으로 세포의 사멸성 또는 괴사성 파괴가 유발된다. 대개 약물이상반응은 약물을 최종 복용한 후 5~90일 사이에 발생하며, 1/10 정도의 후발성 DILI의 경우에는 해당 약물을 복용하고 12개월이 경과한 시점에 나타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Vuppalanchi R, Liangpunsakul S, Chalasani N. Etiology of new-onset jaundice: how often is it caused by idiosyncratic drug-induced liver injury in the United States? Am J Gastroenterol 2007;102(3):558-62. 

  2. Fisher K, Vuppalanchi R, Saxena R. Drug-Induced Liver Injury. Arch Pathol Lab Med 2015;139(7):876-87. 

  3. Ki TS, Kim DJ. Drug-induced liver injury: present and future. Clin Mol Hepatol 2012;18(3):249-57. 

  4. Shen T, Liu Y, Shang J, Xie Q, Li J, Yan M, et al. Incidence and Etiology of Drug-Induced Liver Injury in Mainland China. Gastroenterology 2019;156(8):2230-41. 

  5. Yun YJ, Shin BC, Lee MS, Cho SI, Park JH, Lee HJ. Systematic Review of the Cause of Drug-Induced Liver Injuries in Korean Literature. J Korean Oriental Med 2009;30(2):30-45. 

  6. Lee BM, Lee WC, Jang JY, Ahn P, Kim JN, Jeong SW, et al. Clinical Features of Drug-induced Liver Injury According to Etiology. J Korean Med Sci 2015;30(12):1815-20. 

  7. Hussaini SH, Farrington EA. Idiosyncratic drug-induced liver injury: an update on the 2007 overview. Expert Opin Drug Saf 2014;13(1):67-81. 

  8. Lee WM. Drug-induced acute liver failure. Clin Liver Dis2013;17(4):575-86. 

  9. Anee M. Acetaminophen Hepatotoxicity. Clin Liver Dis2007;11(3):525-48. 

  10. Caparrotta TM, Antoine DJ, Dear JW. Are some people at increased risk of paracetamol-induced liver injury?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Eur J Clin Pharmacol 2018;74(2):147-60. 

  11. Duan L, Davis JS, Woolbright BL, Du K, Cahkraborty M, Weemhoff J, et al. Differential Susceptibility to Acetaminophen-Induced Liver Injury in Sub-Strains of C57BL/6 Mice: 6N versus 6J. Food Chem Toxicol 2016;98:107-18. 

  12. Gamal W, Treskes P, Samuel K, Sullivan GJ, Siller R, Srsen V, et al. Low-dose acetaminophen induces early disruption of cell-cell tight junctions in human hepatic cells and mouse liver. Sci Rep 2017;7:37541. 

  13. Hu J, Ramshesh VK, McGill MR, Jaeschke H, Lemasters JJ. Low Dose Acetaminophen Induces Reversible Mitochondrial Dysfunction Associated with Transient c-Jun N-Terminal Kinase Activation in Mouse Liver. Toxicol Sci 2016;150(1):204-15. 

  14. Yi SR, Noh HI, Yoon DR, Lee IH, Ryu JH. A Case Report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for Drug-induced Liver Injury by Antiepileptics. Korean J Intern Med 2013;fal:285-9. 

  15. Yoo JY, Lee JH. Effect of saenggantanggami-bang on nonalcoholic fatty liver disease induced by fatty acid. Korean J Intern Med 2010;31(2):331-45. 

  16. Seung HS, Park SM, Han CW, Kim YC, Lee JH, Woo HJ. Two Cases of Hepatitis Treated with Gagamsaenggan-tang. Korean J Intern Med 2002;23(2):228-37. 

  17. Jang EG, Kim BJ, Lee KT, Inn KS, Lee JH. A Survey of Therapeutic Effects of Artemisia capillaris in Liver Diseases.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5;2015:7281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