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참여형 스마트시티 리빙랩 활성화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Citizen Participation through Living Lab 원문보기

地域硏究 =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v.35 no.3, 2019년, pp.33 - 44  

박준호 (경성대학교 일반대학원 건설환경도시공학과) ,  박정우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도시공학부) ,  남광우 (경성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도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스마트시티는 도시서비스를 다양화하고 그 성능과 품질을 향상하는데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삶의 질 향상 및 도시 활동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지역혁신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어 그 실현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주도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인 리빙랩이 주목받고 있다. 이에 국내 스마트시티의 혁신 환경을 제공하는 리빙랩의 확산 방안 마련을 본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국내 스마트시티 리빙랩과 관련된 정책적 동향을 분석하고 스마트시티 리빙랩 사례들의 개별적 특징과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 스마트시티 리빙랩 선도국가로 평가받는 네덜란드, 핀란드, 덴마크 등의 전문기관 담당자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국내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사업화 및 확산을 위한 지원체계 마련, 중간지원조직체계 조성, 법·제도 개선, 인접지역과의 공동대응체계를 마련하는 것 등의 정책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mart City is the regional innovation platform that actively utilizes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to diversify city services and improve the performance and quality, hence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creating new trends of urban activities. Recently, the importance of citizen p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덴마크 코펜하겐에 위치한 DAC (Danish Architecture Center)를 방문하였다. DAC는 건설 및 도시에 대한 지식의 개발과 보급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공공과 민간의 협력을 통해 운영되고 있으며 2050년까지 태양광, 지열,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확대하여 탄소 제로 도시 구현을 목표로 하고 있다.
  • 개방형 혁신모델을 통한 시민 체감·참여형 서비스 고도화를 위해 시민의 지식과 아이디어로 양질의 사용성 높은 공동창조적 서비스 구현을 목표로 하였다.
  • 개발완료 단계에서는 User Test 프로그램을 통해 실증서비스 구축 현장을 방문하여 직접 체험하는 워크숍을 추진하였다. 서비스에 대한 현장체험을 통해 만족도, 사용성, 지속사용의도 등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수행하고, 서비스의 기능개선 사항에 대한 의견도 새롭게 제시하는 등 서비스의 고도화 및 지속가능한 모델로 발전시키기 위한노력을 하였다. 또한, 운영기관은 월별간담회를 개최하여 스마트시티 관련 교육을 진행하였으며, 지역 문제에 대한 논의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신규 서비스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등 스마트시티 시민전문가 양성을 위한 노력을 하였다.
  • 또한,해외 리빙랩 우수기관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해외 스마트시티 리빙랩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국내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방안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 또한, 공공-민간-연구기관 등 다양한 주체를 중심으로 리빙랩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등 활성화를 위한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국내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국내 스마트시티 관련 정책 동향 및 추진사례와 해외 스마트시티 리빙랩 선도기관의 주요 실무자를 대상으로 심층 면접을 통해 사례별 활성화 요인을 살펴보았다. 국내 스마트시티 리빙랩 추진사례를 살펴본바, 지역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스마트도시서비스의 계획에 참여하는 것을 비롯해 평가위원으로의 활동이나 실증사업 업체를 선정하는 의사결정권을 갖는 등 시민참여의 단계와 권한이 점차 상승하고 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마트시티 리빙랩 관련 동향 및 사례별 특징과 발전과정을 살펴보았다. 또한,해외 리빙랩 우수기관의 전문가 인터뷰를 통해 해외 스마트시티 리빙랩에서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리빙랩은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혁신 방법론으로서 실제 운영을 통해 발생되는 실질적인 이슈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시티 리빙랩 운영과정에서 발생되는 이슈를 중심으로 해외 스마트시티 리빙랩 전문기관의 주요 실무자 심층 인터뷰를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
  • Cui(2017)의 연구에 따르면 중국은 스마트도시 개발을 위해 세 가지 방안을 사용한다. 첫째는 정부주도로 도시종합개발모형을 수립하여 도시변화와 개선을 촉진함으로써 다른 도시가 활용 가능한 사례를 만들어 제공하는 것이다. 두 번째는 특정산업을 유도하는 방안으로 지역경쟁산업을 특화하는 공간을 조성하는데 중점을 두는 전략이다.
  • 두 번째 기관인 덴마크의 DOLL(Danish Outdoor Lighting Lab, Danish Outdoor Living Lab)은 2014년 지방정부와 비영리조직, 대학 등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였다. 현재 Gate 21이라는 비영리 파트너 조직에서 운영 중에 있으며, 지속가능하고 효율적인 자원 및 에너지 사용을 촉진하는 솔루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능형 가로등, 디지털 인프라, 환경 모니터링, 주차 등 다양한 스마트시티 솔루션을 테스트하고 연구하는 유럽 최대 규모의 리빙랩을 진행하고 있다.

가설 설정

  • 실제 스마트도시서비스의 수혜자와 함께 리빙랩을 통해 서비스를 기획함으로써 계획의 완성도를 향상시킨다. 셋째,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된다. 리빙랩 프로세스를 통한 스마트도시서비스 기획 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혁신의 주체로서 수많은 의견을 제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리빙랩의 핵심은 무엇인가? 리빙랩은 공급자와 사용자 등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공동으로 혁신을 만들어가는 개방형 플랫폼으로서, 초기에는 제품개발 중심으로 적용되었으나 점차 새로운 정책, 제도와 기술, 서비스 개발 등으로 확대되고 있다. 리빙랩의 핵심은 다양하고 많은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해 의견을 모으고 이를 정제하여 보다 의미 있는 정보(sensed information)로 가공하거나 전환하는 것이다. 이러한 리빙랩이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면 크게 3가지 측면에서 효과적인 의미가 있다.
스마트시티란 무엇인가? 스마트시티는 도시서비스를 다양화하고 그 성능과 품질을 향상하는데 정보통신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삶의 질 향상 및 도시 활동의 새로운 트렌드를 만들어내는 지역혁신플랫폼이라 할 수 있다. 최근 스마트시티의 성공적인 구축을 위해 시민참여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어 그 실현수단으로서 사용자가 주도하는 개방형 혁신 플랫폼인 리빙랩이 주목받고 있다.
리빙랩이 스마트시티에 적용 시 장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리빙랩이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면 크게 3가지 측면에서 효과적인 의미가 있다. 첫째, 중소기업 또는 스타트업의 빠른 시장 진입을 도와준다. 제품 개발 과정에서 사용자 테스트를 통해 수정 및 보완을 거듭하면서 사용자 맞춤형 제품개발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스마트시티 계획의 실행가능성과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킨다. 스마트시티 계획에 있어 핵심은 어떠한 스마트도시서비스를 어떻게 적용할지에 대한 많은 고민이 필요하다. 실제 스마트도시서비스의 수혜자와 함께 리빙랩을 통해 서비스를 기획함으로써 계획의 완성도를 향상시킨다. 셋째, 사용자에 의해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된다. 리빙랩 프로세스를 통한 스마트도시서비스 기획 시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혁신의 주체로서 수많은 의견을 제시한다. 개인이 다른 환경에서 경험한 지식의 전달 통로로써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 모델과 혁신적 아이디어가 창출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최근 정부는 리빙랩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스마트시티 계획 및 재정지원사업에 리빙랩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권장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고경훈.김보은, 2012, 지방자치 발전을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연구, 한국행정논집, 24(2), pp.323-342. 

  2. 김종수, 2010, 도시 및 지역개발에서의 주민참여확대방안, 한국정책연구, 10(2), pp.51-67. 

  3. 산업통상자원부, 국토계획 표준품셈, 2019. 

  4. 손형섭, 2017, 스마트 주차장 확산을 위한 주차장 조례 연구, 공법학연구, 18(3), pp.375-400. 

  5. 성지은.이유나, 2018, 스마트시티 리빙랩 사례 분석과 과제, 동향과 이슈, 47, pp.1-37. 

  6. 성지은.한규영.박인용, 2016, 국내 리빙랩의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184, pp.1-44. 

  7. 양전성, 2017, 스마트 city 확산을 위한 플랫폼간 연계성 확보방안,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세미나, 2017(6), pp.11-25. 

  8. 유수철, 2010, 도시 재개발사업에서의 주민참여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행정.자치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81. 

  9. 이승종, 2011, 시민참여론, 박영사 

  10. 유지송.박수정.이미숙.신동빈, 2016, 스마트시티 확산을 위한 체험형 테스트베드 구축 전략 연구, 대한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2016(10), pp.170-172. 

  11. 임화영, 2019, 시민참여의 확대방안에 관한 연구: 리빙랩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1-98. 

  12. 임호, 2016, 사회혁신 도구, 리빙랩 이용 활성화 방안, BDI 정책포커스, 315, pp.1-12. 

  13. 탁성숙, 2019, 한국 지방정부의 스마트시티 정책확산에 관한 연구: 스마트시티 서비스 도입을 중심으로, 한국행정학회 학술발표논문집, 2019(6), pp.2244-2254. 

  14. Cui, Y., 2017, Development and Practice of smart City in China. 

  15. Cogan, C., Sharpe, G., 1986, Planning Analysis: The Theory of Citizen Involvement, The Theory of Citizen Participation, University of Oregon, pp.284-298. 

  16. Leminen, S., Westerlund, M., Nystrom, A.G., 2012, Living Labs as Open-Innovation Network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2(9), pp.6-11. 

  17. Morrow, William L., 1975, Public Administration: Politics and Political System, Random House, New York, p.191. 

  18. Wang, L., Guo, B., Yang, Q., 2018, Smart City Development With Urban Transfer Learning, Computer, 51.12(2019), pp.32-41. 

  19. Sotiris Zygiaris, 2012, Smart city reference model: Assisting planners to conceptualize the building of smart city innovation ecosystems, Journal of the Knowledge Economy, 4.2(2012), pp.217-231. 

  20. Zvolska, L., Lehner, M., Voytenko, Y, P., Mont, O., Plepys, A., 2019, Urban sharing in smart cities: the cases of Berlin and London, Local Environment, 24.7(2019), pp.628-64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