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 설정
The Living Lab Model of Smart City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4, 2020년, pp.284 - 294  

최민주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이상호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조성수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정예진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  조성운 (국립한밭대학교 도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역·사회 문제 해결방안으로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적극적인 활용이 점점 더 중요해지고 있다. 지역·사회문제 해결의 답은 시민과 현장에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을 설정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리빙랩 방법론과 사례 분석을 통해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4P-SCLLM)을 설정하였다.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인 4P-SCLLM의 체계성·구체성을 평가하기 위해 최근 스마트시티 리빙랩이 적용된 부산시 리빙랩 프로세스와 비교검토를 하였다. 분석한 결과, 각 단계별 유사한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부산시 리빙랩의 민간부문은 4P-SCLLM과 매우 유사한 진행 프로세스를 보였다. 이와 반면 공공 및 민간부문 협조/지원체계가 4P-SCLLM 모델 보다 미흡한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기술 및 방법론에서는 4P-SCLLM 모델이 신기술을 도입한 리빙랩 프로세스를 갖추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P-SCLLM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첫째, 참여자와 이해관계자들이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과정을 협업하면서 적극적인 참여와 소통이 필요하다. 둘째, 공공기관의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서비스의 지속적인 시민체감 검증이 필요하다. 넷째, 시민들의 지속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이러한 시사점을 통해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실정에 맞는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로 4P-SCLLM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a solution to local and social problems, the active use of smart city living labs is becoming increasingly important. The answer to solving local and social problems lies in the citizen and the fie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mart city living lab model based on citizen partici...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거버넌스 측면은 시민의 잠재된 수요를 이끌어 내고 아이디어의 구상 및 실현을 원활하게 이끌어내기 위해 유연한 프로세스 설계를 목표로 하였다. 기술적 측면은 지속적인 상호작용과 피드백 수행이 가능토록 스마트 기술 기반의 방법론을 설정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4P-SCLLM의 단계별 프로세스에  해당하는 과정, 참여자, 방법론 등이 부산시 리빙랩 단계 별 프로세스에 적용되었는지 비교하는 것이다.
  • 시민과 공무원의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수요자 참여형 리빙랩 기법을 활용하여 시민체감형 서비스 발굴이 목적이다. 운영방식은 분과별 사회문제 도출 → 도출된 사회문제 원인 도출 순서로 진행되었다.
  • 그러나 다양한 분야 및 지자체에서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시티 리빙랩은 활발히 추진되고 있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 적합한 시민참여 기반의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을 설정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형식적인 시민기반의 문제점을 해결함으로써 진정성 있는 시민기반(지속가능 시민모니터 링), 효율적인 시민기반(전문가-시민), 참여적인 시민기반(시민단체-시민), 실현성 있는 시민기반(공공-시민) 등을 함께 추진해 국내를 스마트시티 모델로 만드는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가설 설정

  • 이를 통해 스마트시티 리빙랩 모델인 4P-SCLLM은 첫째, 반복적으로 진행된다. 둘째, 발산적 사고와 수렴적 사고과정이 모든 단계에 포함된다. 셋째, 모든 과정에서 참여자와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함께하며 협업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리빙랩 사례는 어떤 특징이 있으며, 분석 결과는 어떠한가? 국내·외 리빙랩 사례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국외의 경우 공공(Public), 민간(Private), 시민(People) 등이 함께 ICT 기술을 실험·실증해 지역·도시 문제를 해결하였다. 이와 반면 국내는 공공(Public), 시민 (People)주도로 진행되고 있었으며, 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사례는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첫째, 리빙랩 프로세스 별로 3~5단계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리빙랩 프로 세스는 공통적으로 인간 중심의 창의적 문제해결방법을 찾는 디자인사고(Design Thinking)프로세스에 대한 나선형 방법론이 적용 및 추진되고 있었다.
리빙랩의 사전적 의미는 무엇인가? 이러한 변화와 함께 국내·외에서는 사용자가 주도적으로 혁신하는 플랫폼으로서 리빙랩(Living Lab)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리빙랩은 사전적 의미로 ‘일상생활의 실험실’이라는 뜻이다. 실제 삶의 현장에서 사용자(시민)와 생산자(민간)가 공동으로 혁신을 만들어 가는 실증적 실험 방식이다.
스마트시티 리빙랩의 목적은 무엇인가? 스마트시티 리빙랩은 사용자와 생산자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문제를 정의하고 직접 제안한 솔루션으로 ICT 기술과 함께 시민들의 행복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시민들의 실제 생활 현장 (real-life setting)에서 지역·사회 문제를 ICT기술을 활용하여 해결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공동창조 (co-creation)활동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김우용, 김강민, 황태건, 황철수, "사용자 참여 리빙랩 개발 연구-주거환경을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162-163, 2019. 

  2. 성지은, 박인용, "시스템 전환 실험의 장으로서 리빙랩: 사례분석과 시사점," 기술혁신학회지, 제19권, 제1호, pp.1-28, 2016. 

  3. 변태근, "스마트시티 리빙랩," 도시정보, 4월호, pp.20-23, 2019. 

  4. 4차산업혁명위원회, 스마트시티 추진전략, 2018. 

  5. 이상호, 조성수 "스마트시티와 스마트 방재 서비스," 한국방재학회지, 제18권, 제4호, pp.6-11, 2018. 

  6. 조영태, "스마트시티 국내.외 현황," 도시문제, 제52권 제580호, pp.20-21, 2017. 

  7. 강명구, 이창수, "스마트도시 개념의 변화와 비교,"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7권, 제4호, pp.45-63, 2015. 

  8. 성지은, 정서화, 한규영, "사회문제 해결형 기술개발사업에서의 리빙랩 적용 사례 분석," 과학기술학연구, 제18권, 제1호, pp.177-217, 2018. 

  9. 김보연, "지역혁신 방법론, 전북형 '리빙랩'을 찾아서 (4) 세계 리빙랩 포럼-(하)성공 관건은 코크레이션.지속적인 실험과 환류," 전북일보, 2019.10.01. 

  10. 남광우, 임두현, "스마트시티, 시민과 함께 하는 리빙랩," 도시정보, 제412권, pp.17-18, 2016. 

  11. 성지은, 이유나, "스마트시티 리빙랩 사례 분석과 과제," 동향과 이슈, 제47권, pp.1-37, 2018. 

  12. P. Ballon, J. Pierson, and S. Delaere, "Test and Experimentation Platforms for Broadband Innovation: Examining European practice," SSRN, 1331557, 2005. 

  13. A. Folstad, "Living Labs for Innovation and AND Development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Literature Review," The Electronic Journal for Virtual Organization & Networks, Vol.10, pp.99-131, 2008. 

  14. G. Patrycja, Embedding a Living Lab approach at the University of Edinburgh, The university of Edinburgh, 2015. 

  15. S. S. Intille, K. Larson, J. S. Beaudin, J. Nawyn, E. M. Tapia, and P. Kaushik, "A Living Laboratory for the Design and Evaluation of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ies," In CHI'05 Extended Abstracts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ACM, pp.1941-1944, 2005. 

  16. 송위진, "Living Lab: 사용자 주도의 개방형 혁신모델," Issues & Policy, 제59권, 2012. 

  17. 백남철, "스마트시티 서비스 리빙랩," 정보과학회지, 제36권, 제7호, pp.69-73, 2018. 

  18. 4차산업혁명위원회, 스마트시티 국가 시범도시 기본구상 발표, 2018. 

  19. 김상민, "주민자치와 협력적 마을만들기,"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8권, 제1호, pp.181-209, 2016. 

  20. 김상민, 김현호, 하혜수, "대성동 마을만들기의 거버넌스 특성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28권, 제4호, pp.155-183, 2016. 

  21. 최문형, 김인제, 정문기, "주거환경관리사업에서의 협력적 거버넌스,"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7권, 제4호, pp.179-208, 2015. 

  22. 김경화, 백종인, 손철희, 반영운, "마을 만들기의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도출," 도시행정학보, 제28권, 제2호, pp.267-285, 2015. 

  23. Seppo Leminen, Mika Westerlund, and Anna-Greta Nystrom, "Living Lab as Open-Innovation Network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Carleton University, pp.7-11, 2012. 

  24. 성지은, 정병걸, "리빙랩 방법론: 현황과 과제," STEPI Insight, 제208권, 2017. 

  25. Angelo Corallo, Maria Elena Latino, and Neglia Grazia, Methodology for User-Centered Innovation in Industrial Living Lab, ISRN Industrial Engineering, 2013. 

  26. Esteve Almirall, Melissa Lee, and Jonathan Wareham, "Mapping Living Labs in the Landscape of Innovation methodologie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pp.12-18, 2012. 

  27. Anna Stahlbrost and Marita Holst, The Living Lab Methodology Handbook, A Transnational Nordic Smart City Living Lab Pilot, Smart IES, 2012. 

  28. Bernhard Katzy, "Designing Viable Business Models for Living Labs," Technology Innovation Management Review, pp.19-24, 2012. 

  29. 조영태, 박신원, 이상훈, 오명택, 이진희, LH 스마트시티 미래비전 및 추진전략, 한국토지주택공사, 201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