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리듬꼴에 따른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 비교
Reproducing Rhythmic Idioms: A Comparison Between Healthy Older Adults and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6 no.1, 2019년, pp.73 - 88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이화뮤직웰니스연구센터) ,  이은지 (이화여자대학교 예술교육치료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건강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자는 S시 및 A시 소재의 경로당, 치매안심센터, 노인 복지관 등 노인이용기관을 이용하는 만 60세 이상 85세 미만으로 자발적으로 참여를 원하는 건강 노인 30명과 경도인지장애로 진단받은 노인 27명으로 총 57명이다. 모든 검사는 개별적으로 진행되었고 리듬수행과제는 Beat Processing Device(BPD) 앱이 설치된 아이패드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BPD에는 6가지 리듬꼴이 저장되어 있으며 참여자는 무작위로 재생된 리듬꼴을 듣고 동일하게 2회 재산출하였다. 재산출된 리듬은 전산적으로 저장되었으며 결과 분석을 위해 박간의 간격 비율(R)을 계산하였다. 연구 결과,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의 평균값에는 차이가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박 간의 간격 비율(R)에서 두 집단 모두 <♩ ♩>에서 일치도가 가장 높았으며, <♩. ♪>에서 그 일치도가 가장 낮았다. 수행력 전반에서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노인 집단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리듬과제 수행 반복에 따라 두 번째 수행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아진 수행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건강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에 차이는 없었지만 리듬꼴에 따른 난이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추후 노인 대상 음악치료에서 리듬 연주를 구성할 시 참고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compare the rhythm reproduction abilities between older adults with and without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and analyze the abilities depending on the rhythm idiom. Participants between 60-85 years of age were recruited from senior community centers, dementia prev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이 재산출한 리듬의 박 간격 비율 일치도(R)를분석하여 리듬 재산출 수행력을 확인하고, 두 대상 간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결과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BPD에 저장된 정보를 박 간의 간격 비율 일치도(R)를 점수로 산출하여 인지노화 수준에 차이가 있는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을 살펴보고 그 차이를 분석하였다.
  • 건강 노인에 비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경우 일상수행능력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지만(Morris, 2005) 작업 기억이 특히 저하되며, 그 이외에도 시공간 구성능력, 주의력, 회상력 등의 인지기능에서 유의하게 저하된다고 보고되고 있다(Han, 2017; Ryu, 2010).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기본 박, 하위분할, 점음표 등을 조합하여 구성된 6개의 리듬꼴을 제시하여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개별 리듬꼴 수행에 대한 재산출 능력의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2. 시도별 건강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리듬 재산출 수행력의 차이는 있는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PD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정확하고 객관적인 자료의 처리를 위해 아이패드 기반 어플리케이션 비트프 로세스 디바이스(Beat Process Device: BPD)를 사용하였다. BPD에는 기본 박, 하위분할, 점음표 등을 조합하여 구성된 6개의 리듬꼴이 재생될 수 있도록 입력되어 있고 이를 무작위로 제시한 후, 대상자가 아이패드 화면을 손가락으로 탭핑하면 소리 자극이 전산적으로 기록되는 장치이다. 대상자가 탭핑한 시점의 시간 및 유지 길이 등 시간적 정보가 저장된다.
박 간격 비율 일치 분석의 결과는 어떠하였는가? 첫째, 리듬 재산출 시 박의 비율을 유지하는 박 간격 비율 일치도 분석 결과, 건강 노인과 경도인지장애 노인 모두 유사한 수준의 수행력을 보여주었다. 첫 번째 시도와 두 번째 시도에서 일정한 간격의 정박 진행을 가진 리듬꼴 1의 경우 건강 및 경도인지장애 노인 모두에서 높은 수행력을 보인 반면, 첫 박의 길이가 긴 형태의 리듬꼴 4와 5에서는 낮은 수행력을 나타 냈다. 선행연구에서도 기본 박으로 구성된 리듬꼴은 대상군이 기억하고 수행하기에 난이도가 가장 낮았던 것을 알 수 있으며, 박 간의 간격 변화가 없는 2박 구조를 가진 일정한 리듬에서 가장 리듬 재산출이 용이함을 알 수 있다(Wolf, 2004).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는 무엇인가? 추후 연구에서는 연령의 차이에 따른 비교가 추가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의 인지노화 정도가 심각한 수준의 인지저하가 일어나기 전 단계에서는 리듬 수행력에 큰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으며, 향후 음악치료 임상에서 노인의 리듬 수행력을 평가하는 기준설정과 리듬과제 구성에 대한 기초자료가 도출된 것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Biasutti, M., & Mangiacotti, A. (2018). Assessing a cognitive music training for older participants: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International Journal of Geriatric Psychiatry, 33(2), 271-278. 

  2. Duerksen, G., & Chong, H. J. (2013). Preliminary study on developing protocol for music therapy assessment for cognitive and emotional-behavioral domain using rhythm (MACED-Rhythm).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0(1), 67-83. 

  3. Fitch, W. T., & Rosenfeld, A. J. (2007). Perception and production of syncopated rhythms. Music Perception: An Interdisciplinary Journal, 25(1), 43-58. 

  4. Fitzgibbons, P. J., & Gordon-Salant, S. (2015). Age effects in discrimination of intervals within rhythmic tone sequences. The Journal of the Acoustical Society of America, 137(1), 388-396. 

  5. Freigang, C., Schmidt, L., Wagner, J., Eckardt, R., Steinhagen-Thiessen, E., Ernst, A., & Rubsamen, R. (2011). Evaluation of central auditory discrimination abilities in older adults.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3, 6. 

  6. Grassi, M., & Borella, E. (2013). The role of auditory abilities in basic mechanisms of cognition in older adults. Frontiers in Aging Neuroscience, 5, 59. 

  7. Han, S. W. (2017). Difference of cognitive function with general characteristics in normal elderly subjects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elderly. The Journal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 8(4), 255-266. 

  8. Iannarilli, F., Pesce, C., Persichini, C., & Capranica, L. (2013). Age-related changes of rhythmic ability in musically trained and untrained individuals. Sport Science for Health, 9, 43-50. 

  9. Iannarilli, F., Vannozzi, G., Iosa, M., Pesce, C., & Capranica, L. (2013). Effects of task complexity on rhythmic reproduction performance in adults. Human Movement Science, 32(1), 203-213. 

  10. Jerde, T. A., Childs, S. K., Handy, S. T., Nagode, J. C., & Pardo, J. V. (2011). Dissociable systems of working memory for rhythm and melody. NeuroImage, 57(4), 1572-1579. 

  11. Konoike, N., Kotozaki, Y., Miyachi, S., Miyauchi, C. M., Yomogida, Y., Akimoto, Y., ... Nakamura, K. (2012). Rhythm information represented in the fronto-parieto-cerebellar motor system. NeuroImage, 63(1), 328-338. 

  12. Krampe, R. T., Mayr, U., & Kliegl, R. (2005). Timing, sequencing, and executive control in repetitive movement production.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Human Perception and Performance, 31(3), 379-397. 

  13. Lee, Y. K. (1998). A review of the related literature concerning the psychological principles of rhythmic response and the perception of musical rhythms. Society for Pentecostal Studies in Korea, 17, 45-94. 

  14. Longuet-Higgins, H. C., & Lee, C. S. (1982). The perception of musical rhythms. Perception, 11(2), 115-128. 

  15. Morris, J. C. (2005).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preclinical Alzheimer's disease. Geriatrics, 60(Suppl.), 9-14. Retrieved from http://search.ebscohost.com/login.aspx?directtrue&dba9h&AN18889206&langko&siteeds-live 

  16. Oh, S. Y., & Chong, H. J. (2016). Correlation between rhythm reproduction task performance and cognitive function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3(1), 1-18. 

  17. Park, Y. J. (2015).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executive function and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8. Petersen, R. C., Smith, G. E., Waring, S. C., Ivnik, R. J., Tangalos, E. G., & Kokmen, E. (1999). Mild cognitive impairment: Clinical characterization and outcome. Archives of Neurology, 56(3), 303-308. 

  19. Ragot, R., Fernandez, A.-M., & Pouthas, V. (2002). Time, music, and aging. Psychomusicology: A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Cognition, 18(1-2), 28-45. 

  20. Ryu, H. J. (2010). The comparison on SNSB performance among normal aged persons,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early dementia (Unpublished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Gyeongsan. 

  21. Ryu, H. K. (2017). Reproduction ability of rhythm patterns for the elderl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2. Saito, S. (2001). The phonological loop and memory for rhythms: An individual differences approach. Memory, 9(4-6), 313-322. 

  23. Trainor, L. J., & Adams, B. (2000). Infants’ and adults’ use of duration and intensity cues in the segmentation of tone patterns. Perception & Psychophysics, 62(2), 333-340. 

  24. Vanneste, S., Pouthas, V., & Wearden, J. H. (2001). Temporal control of rhythmic performance: A comparison between young and old adults. Experimental Aging Research, 27(1), 83-102. 

  25. Wolf, D. L. (2004). A hierarchy of rhythm performance patterns for kindergarten children. Visions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 4. Retrieved from http://www-usr.rider.edu/-vrme/ 

  26. Won, S. R. (2014). Study on the rhythm performance capabilities of intellectual disability teenag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7. Wu, X., Westanmo, A., Zhou, L., & Pan, J. (2013). Serial binary interval ratios improve rhythm reproduction. Frontiers in Psychology, 4, 5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