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악의 화음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정서 지각 연구
A Study on the Listener's Emotional Perception of Music According to Harmonic Progression Level 원문보기

인간행동과 음악연구 =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v.19 no.1, 2022년, pp.93 - 112  

유해인 ,  최진희 (이화뮤직웰니스연구센터) ,  정현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라 감상자가 지각하는 정서 차이를 비교하는 데 있다. 만 19세-29세 사이 음악 전공자 73명, 음악 비전공자 71명의 성인 144명을 대상으로, 조성(장조-단조)과 화음 전개 수준(낮음-높음)이 서로 다른 총 네 가지의 음악을 온라인으로 제공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각 음악에 대해 정서적 역동감, 각성, 화음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의 총 네 가지 항목을 리커트 7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화음 전개 수준과 조성에 따라 감상자가 지각하는 정서적 역동감, 각성, 화음이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전공 배경을 기준으로 하여 음악 전공자와 음악 비전공자로 그룹을 나누고 화음의 전개 수준 차이에 따른 그룹 간 정서 지각을 분석하였을 때, 정서적 역동감에서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각성, 감정에 영향을 미치는 수준, 선호도에서의 그룹 간 상호작용 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조성, 감상자의 외생 변인을 통제하여 제공한 음악에서 화음의 전개 수준에 따른 감상자의 다양한 정서 반응의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는 내담자의 필요에 따른 음악 선곡 시, 화음의 전개 수준을 다르게 제공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rticipants' perceived emotion following harmonic changes in music. In this study, 144 participants, aged 19 to 29 years, listened to music online that included low to high harmonic progression in tonal music (major-minor). After listening to each piece of m...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24)

  1. Bakker, D. R., & Martin, F. H. (2015). Musical chords and emotion: Major and minor triads are processed for emotion. Cognitive, Affective, & Behavioral Neuroscience, 15(1), 15-31. 

  2. Chong, H. J. (2019). Musical behavior and therapy.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3. Chong, H. J., Yoo, G. E., & Kim, S. J. (2013). Affective responses to complexity in harmonic progression between music and nonmusic majors. Journal of Music and Theory, 21, 128-154. 

  4. Cook, N. D., & Fujisawa, T. X. (2006). The psychophysics of harmony perception: Harmony is a three-tone phenomenon. Empirical Musicology Review, 1(2), 106-126. 

  5. Davies, S., Allen, P., Mann, M., & Cox, T. (2011). Musical moods: A mass participation experiment for affective classification of music. 12th International Society for Music Information Retrieval Conference, Miami, USA. 

  6. Eerola, T., & Vuoskoski, J. K. (2011). A comparison of the discrete and dimensional models of emotion in music. Psychology of Music, 39(1), 18-49. 

  7. Eitan, Z., & Rothschild, I. (2011). How music touches: Musical parameters and listeners' audio-tactile metaphorical mappings. Psychology of Music, 39(4), 449-467. 

  8. Jimenez, I., & Kuusi, T. (2018). Connecting chord progressions with specific pieces of music. Psychology of Music, 46(5), 716-733. 

  9. Juslin, P. N., Harmat, L., & Eerola, T. (2014). What makes music emotionally significant? Exploring the underlying mechanisms. Psychology of Music, 42(4), 599-623. 

  10. Juslin, P. N., & Vastfjall, D. (2008). Emotional responses to music: The need to consider underlying mechanisms. Behavioral and Brain Sciences, 31(5), 559-575. 

  11. Kim, C. K., Lee, S. Y., Lee, Y. J., Jeong, J. J., & Choi, W. Y. (2016). Encyclopedia of counseling. Seoul: Hakjisa. 

  12. Kim, H. I. (2010). Harmony (2nd ed.). Seoul: Heanday Music Publishing. 

  13. Kim, H. K. (2015). Harmonic preference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depending on age and musical training. Journal of Music and Human Behavior, 12(1), 23-42. 

  14. Lah, E. H. (2019). A conceptual study on emotion and expressions of emotion. Journal of Counseling Education Research, 2(2), 1-27. 

  15. Lahdelma, I., & Eerola, T. (2016a). Single chords convey distinct emotional qualities to both naive and expert listeners. Psychology of Music, 44(1), 37-54. 

  16. Lahdelma, I., & Eerola, T. (2016b). Mild dissonance preferred over consonance in single chord perception. i-Perception, 7(3), 1-21. 

  17. Marmel, F., Parbery-Clark, A., Skoe, E., Nicol, T., & Kraus, N. (2011). Harmonic relationships influence auditory brainstem encoding of chords. NeuroReport, 22(10), 504-508. 

  18. Matthews, T. E., Witek, M. A. G., Heggli, O. A., Penhune, V. B., & Vuust, P. (2019). The sensation of groove is affected by the interaction of rhythmic and harmonic complexity. PLoS One, 14(1), e0204539. 

  19. Merrill, J., Omigie, D., & Wald-Fuhrmann, M. (2020). Locus of emotion influences psychophysiological reactions to music. PLoS ONE, 15(8), e0237641. 

  20. Meyer, L. B. (2008). Emotion and meaning in music. Chicago, IL: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1. Moon, J. Y. (2008). The study on the relation of gender, age, and musical experience with emotional response to music. Music and Culture, 19, 147-162. 

  22. Osgood, C. E., Suci, G. J., & Tannenbaum, P. H.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No. 47). Champaign,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3. Russell, J. A. (1980).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6), 1161-1178. 

  24. Sears, D. R. W., Spitzer, J., Caplin, W. E., & McAdams, S. (2020). Expecting the end: Continuous expectancy ratings for tonal cadences. Psychology of Music, 48(3) 358-3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