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의료시설 내 건축공간구성을 통한 치유환경 조성에 관한 연구 - 소우 후지모토 의료시설 사례들의 공간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Healing Environment with Architectural Spatial Composition in Healthcare Facilities - Focused on the Space Analysis of Sou Fujimoto's Healthcare Projects 원문보기

의료·복지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Healthcare Architecture, v.25 no.2, 2019년, pp.17 - 25  

정태종 (Department of Architec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nalysis of spatial composition is required for the creation of healing environment in healthcare facilities. This study has been accomplish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planning and design of hospital architecture. Methods: Literature review of healing environment and investigation ...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의료시설의 공공시설로서의 중요성, 사회문화적 의미, 그리고 공공성 발현을 위한 건축 공간구성을 통한 치유 환경의 형성과 그 사례분석으로 소우 후지모토 의료시설들을 통하여 의료공간에 대한 건축계획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이러한 의료시설의 치유환경과 사회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에서는 치유환경의 관점에서 소우 후지모토 병원작품들의 배경 및 건축 철학적 특징들을 살펴보고, 공간구성을 통한 치유환경 조성의 결과인 건축공간구성 특성을 도출, 의료 시설의 공간구성방법과 치유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병원건축계획에 대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구문론 분석요소 중 SHA사례와 HMH사례의 공간구성의 방법 비교 결과는 어떠했는가? 공간구문론 분석요소 중 통합도 차이가 가장 큰 SHA사례와 HMH사례의 공간구성의 방법은 건축형태, 동선, 복도유형, 실 연결 관계 모두 다르게 나타났다. 두 사례의 비교결과 공간 분할방식보다는 공간첨가방식(Add on)이, 한방향동선보다는 loop동선이, 독립유형보다 통합유형의 복도가, 그리고 선형보다는 방사선형 연결방식의 통합도가 높게 나타났다.
치유환경중 물리적 환경의 정의는 무엇인가? 치유환경은 크게 물리적 환경과 심리적 환경으로 나눌 수 있는데 물리적 환경은 건축 환경을 포함한 물리적 조건과 운영체계 등이며 심리적 환경은 감성공학을 통한 시설 사용자들의 심리 및 행태의 안정을 위한 것으로 정의된다. 치유환경은 기존 의료의 주요 개념인 질병의 치료(Curing)에서 예방과 건강증진 등 포괄적인 건강을 위한 치유(Healing)로 확대되면서 개념화되었다1).
치유환경의 범주는 어떻게 분류 할 수 있는가? 의료시설은 전통적으로 효율적인 동선과 업무적인 기능성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구성으로 인하여 많은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고 최근에는 사용자 중심으로 전환되면서 해결책으로 치유환경 조성의 중요성이 주목받았다. 치유환경의 범주는 온도, 소음, 환기 등 신체적 환경, 자연, 조망, 문화의 표현 등의 물리적 환경, 프라이버시, 쾌적성, 소통 등 심리적 환경 등으로 분류한다(Table 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n, Seyun; Lee, Hyunsoo, 2010, The Sustainable Space Planning of Hospital Design towards the Healing Environment,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stainable Building Asia pp. 199-204. 

  2. Choi, Inae, 2001, Establishment of the Basic Concept for a Hospital Landscape,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3. Choi, Jaepil; Cho, Hyeongkyu; Choi, Hyunchul; Cho Youngjin, 2004, Reinterpretation of ERAM Theory based on a Stochastic Process and its Empirical Test,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Planning & Design 20(11), pp. 115-122. 

  4. Choi, Youngjun, 2015, Construction and Application of Spatial Analysis Framework for Cultural Dimension of Individualism -Collectivism,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5. Fujimoto, Sou, Primitive Future, Lixil 2008, ISBN978-4-86480-306-9. 

  6. Fujimoto, Sou; Jeong, Younghee, Translation. 2012, Kenchiku Ga Umareru Toki, Okokusha Co, Design House, ISBN978-89-7041-594-9. 

  7. Fujimoto, Sou, 2015, Architecture Works 1995-2015, TOTO LTD. 

  8. Guzowski, Mary, 2000, Daylighting for Sustainable Design, 1st ed. McGraw-Hill, New York. 

  9. Hillier, Bill; Hanson, Julienne, 1984, The Social Logic of Spa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GB. 

  10. Hwang, Meeyoung; Lim, Chezinn, 1999, A Study on the Analysis Methods by the Space Syntax,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2, pp. 89-104. 

  11. Kim, Minseok, 2006, The ERAM Model Based on Visiblity of Space : Prediction of Space Use Pattern in Large-Scale Multi-Complex Space, MS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12. Kim, Sumin; Osmond, Paul, 2014, Analyzing Green Building Rating Tools for Healthcare Buildings from the Building User's Perspective. Indoor and Built Environment, pp. 757-766. https://academic.naver.com/search.naver?field0&docType1&queryAnalyzing+Green+Building+rating+tools+for+healthcare+building 

  13. Lee, Jinhwa; Kim, Sungwook; Jeon, Youchang, 2013, A Study on the Reconstitution of the Boundary in Projects of Sou Fujimoto,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nnual Conference 33(1), pp. 121-124. 

  14. Lee, Jongruyl, 2012, A Study on Behavioral Model and Spatial Configuration Analysis Model in the Architectural Space, Journal of the Korean Digital Architecture 12(2), pp. 61-66. 

  15. Oh, Taesung, A Study on the Elements of Healing Function of Hospital Roof Garden, MS Thesis, Hanyang University, 2008. 

  16. Park, Sookyung; Moon, Jeongmin, 2011, A Study on the Space Design Research Tendencies for the Healing Environment- Focused on the Theses of Architecture and Interior Design Institute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20(4), pp. 21-28. 

  17. Sakallaris, Bonnie R.; Macallister, Lorissa; Voss, Megan; Smith, Katherine; Jonas, Wayne B., 2015, Optimal Healing Environments, Global Advances in Health and Medicine 4(3), pp. 40-45. doi: 10.7453/gahmj.2015.043 http://lps3.www.ncbi.nlm.nih.gov.libproxy.snu.ac.kr/pmc/articles/PMC4424933/ 

  18. Son, Jeehye; Yang, Naewon, 2012,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onsidering Healing Environmental Concept in Domestic Healthcare Architectures Schematic Design - Focusing on the Prizewinner of Healthcare Architecture Design Competition Since 2000, Architectural Research 28(07), pp. 125-132. UCI : G704-A00167.2012.28.07.006 

  19. Yoo, Jina; Lee, Jungman, 2005, A Study on the Present State and Principles of Architectural Composition for the Healing Environment of the Urban Type Hospital-Focused on Spatial Composition of the Ward and Public Space, Th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Culture Architecture Annual Conference 7(1), pp. 196-202. 

  20. Yoo, Donggwan; Lee, Youngsoo, 1997, A Study on the Concept and Space Compositional Characteristics of Raumplan, Journal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Annual Conference 17(2), pp. 357-363. 

  21. Zhang, Yufan; Tzortzopoulos, Patricia; Kagioglou, Mike, 2019, Healing Built Environment Effects on Health Outcomes: Environment- occupant-health Framework, Building Research & Information 47(6), pp. 747-76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