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호소의 영양상태 분류에 관한 제언
Suggestion for Trophic State Classification of Korean Lakes 원문보기

한국물환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v.35 no.3, 2019년, pp.248 - 256  

공동수 (경기대학교 바이오융합학부) ,  김범철 (강원대학교 환경융합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st of the lakes in Korea are artificial, and their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natural lakes in other countries. In this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trophic state parameters was investigated, based on summer average data of the upper layer, in 81 lak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제안된 영양상태 분류기준치에서 총인의 기준치는 기존에 제안된 범위의 상위 값에 해당하고 투명도의 기준치는 범위 밖의 값을 보이는데 이는 비조류성 물질에 의한 탁수 영향이 큰 우리나라의 지역특이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국내 호소의 영양상태 판정에서 투명도를 제외하고 총인과 Chl.a의 기준만을 적용할 것을 권고한다.
  • 본 연구는 환경부의 물환경측정망 대상의 81개 호소의 2013 ~ 2017년 월간 및 주간의 수층별 수질 자료를 기반으로 영양상태의 지표항목 간 관계를 외국 호소의 경향과 비교 분석하고 영양상태에 대한 우리나라의 분류기준치를 새로이 설정하여 제시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수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데 주로 적용되는 항목은 무엇인가? 호수의 영양상태를 평가하는데 주로 적용되고 있는 항목은 조류증식의 잠재적 요인인 영양물질(인, 질소)과 조류 현존량(Chl.a) 및 그 결과와 관련된 것(투명도)으로 구분된다.
환경부는 물환경측정망을 통해 무엇을 주관하고 있는가? 환경부는 물환경측정망을 통해 우리나라의 호소 중 규모가 크거나 이수 또는 환경적으로 중요한 81개 호소의 수질에 대한 모니터링을 주관하고 있다. 수질 측정결과는 국립환경과학원의 물환경정보시스템(http://www.
우리나라의 호소가 외국의 자연호에 비해 같은 인 농도에서 Chl.a 농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같은 Chl.a농도에서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이유는? a 농도에서 투명도가 상대적으로 낮다. 이는 국내 호소의 대부분은 인공호로서 강우 시 비조류성 물질의 유입으로 투명도가 낮고, 현탁물과 함께 인의 농도가 증가하는 반면 짧은 체류시간과 빛 제한으로 조류성장에 대한 인의 이용성이 낮기 때문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izaki, M., Otsuki, A., Fukushima, T., Kawai, T., Hosomi, M., and Muraoka, K. (1981). Application of modified Carlson's trophic state index to Japanese lakes and its relationships to other parameters related to trophic state, Research Report from the National Institute for Environmental Studies, 23, 13-31. [in Japanese]. 

  2. An, K. G. (2000). Monsoon inflow as a major source of in-lake phosphorus,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3(3), 222-229. 

  3. Carlson, R. E. (1977). A trophic state index for lakes, Limnology and Oceanography, 22(2), 361-369. 

  4. Carlson, R. E. (1991). Expanding the trophic state concept to identify non-nutrient limited lakes and reservoirs, Enhancing the States' Lake Management Programs, 59-71. 

  5.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FAO). (1992). The use of saline waters for crop production, FAO Irrigation and Drainage Parer 48, 1-133. 

  6. Forsberg, C. and Ryding, S. O. (1980). Eutrophication parameters and trophic state indices in 30 Swedish waste-receiving lakes, Archiv fur Hydrobiologie, 89(1/2), 189-207. 

  7. Japanese Ministry of the Environment (JMOE). (1971). Enforcement regulations, water pollution control law, http://elaws.e-gov.go.jp/search/elawsSearch/elaws_search/lsg0500/detail?lawId346M50000402002 (accessed on Feb. 2019). [Japanese Literature] 

  8. Kim, B. and Jung, S. (2007). Turbid storm runoffs in lake Soyang and their environmental effect, Journal of Korean Society Environmental Engineers, 29(11), 1185-1190. [Korean Literature] 

  9. Kim, B. and Kim, Y. (2004). Phosphorus cycle in a deep reservoir in Asian monsoon area (lake Soyang, Korea) and the modeling with a 2-D hydrodynamic water quality model [CE-QUAL-W2],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2), 205-212. [Korean Literature] 

  10. Kim, B., Ahn, T. S., and Cho, K. S. (1988). A comparative study of the eutrophication in reservoirs of the Han rive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21(3), 151-163. [Korean Literature] 

  11. Kim, B., Park, J. H., Choe, K., and Hwang, G. (2001). Eutrophication of reservoirs in South Korea, Limnology, 2(3), 223-229. 

  12. Kim, H. S. and Hwang, S. J. (2004). Seasonal variation of water quality in a shallow eutrophic reservoir,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7(2), 180-192. [Korean Literature] 

  13. Kong, D. (1997a). Limnologic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a river-reservoir (Paldang), Korea, Korean Journal of Limnology, 30(Supplement), 524-535. 

  14. Kong, D. (1997b). Review on trophic state standards of Korean lakes, Joint Seminar of Korea and Japan on Water Quality Preservation and Watershed Management of Streams and Lakes, 251-266. [Korean Literature] 

  15. Kong, D. (2019). Statistical analysis on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of large lak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35(2), 165-180. [Korean Literature] 

  16. Kwon, Y. H., Seo, J. K., Park, S. W., and Yang, S. Y. (2006). Evaluation of diatom growth potential in midstream and downstream Nakdong river, Algae, 21(2), 229-234. [Korean Literature] 

  17. Lorenzen, C. J. (1967). Determination of chlorophyll and phaeophytin;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Limnology and Oceanography, 12(2), 343-346. 

  18.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06). A study on the comprehensive assessment methods of water environment - Eutrophication -, NIER, 1-282. [Korean Literature] 

  19.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NIER). (2018). 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system, http://water.nier.go.kr (accessed May. 2018). [Korean Literature] 

  20. Park, H. K., Lee, M. H., and Ryu, J. K. (1992). Identification of algal growth limiting nutrient in some artificial lakes of Korea by algal growth potential spike test, Journal of Korean Society on Water Environment, 8(3), 159-166. [Korean Literature] 

  21. Rast, W. and Lee, G. F. (1978). Summary analysis of the North American (US Portion) OECD eutrophication project: Nutrient loading - lake response relationship and trophic state indices, EPA-600/3-78-008, US EPA, Corvallis Environmental Research Laboratory, Corvallis, OR. 1-455. 

  22. Sakamoto, M. (1966). Primary production by phytoplankton community in some Japanese lakes and its dependence on lake depth, Archiv fur Hydrobiologie, 62, 1-28. 

  23. United Nations Educational, Scientific and Cultural Organization (UNESCO). (1966). Determination of photosynthetic pigments in sea-water, UNESCO, Paris, 1-69. 

  24. US EPA. (1974). The relationships of phosphorus and nitrogen to the trophic state of Northeast and North-Central lakes and reservoirs, National Eutrophication Survey Working Paper no 23, US EPA, 1-28, Appendix A and B. 

  25. Vollenweider, R. A. and Kerekes, J. (1982). Eutrophication of waters. monitoring, assessment and control, OECD Cooperative Programme on Monitoring of Inland Waters, OECD, 1-1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