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릉 굴산사지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제작: 제작기술 및 원료산지
Producing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Gulsansa Temple Site in Gangneung: Technology and Provenance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5 no.3, 2019년, pp.187 - 196  

한우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김소진 (국립문화재연구소 연구기획과) ,  이은우 (국립중원문화재연구소 학예연구실) ,  황진주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릉 굴산사지에서 출토된 청동기 25점은 에너지분광분석기(EDS)와 전자탐침X선분석기(EPMA)를 이용하여 성분분석해준 결과 출토된 청동기가 구리-주석의 2원계 혹은 구리-주석-납의 3원계 합금임을 알 수 있다. 합금 이후 주조 혹은 단조공정이 진행되었으며 청동고리의 경우, 금도금이 되어있음을 알 수 있다. 납 동위원소는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와 레이저삭막 유도결합플라즈마질량분석기(LA-MC-ICPMS)를 이용해 주었으며, 분석결과 출토지와 근거리의 납 원료를 사용한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 데이터가 많지 않은 강릉지역 청동기의 제작기술 및 산지추정에 연구 목적이 있으며, 굴산사 실체의 확인 및 12~13세기 고려시대 청동기의 분석자료 구축에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ronzes excavated from a Gulsansa temple site in Gangneung were investigated in order to study the production of technology and provenance in this area. The bronze artifacts were discovered to consist of copper-tin or copper-tin-lead alloys using chemical analysis(EDS and EPMA). The excavated bronz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강릉지역에서 출토된 청동기의 분석 사례가 없어 굴산사지에서 출토된 청동제유물의 분석을 통해 굴산사 및 12∼13세기 고려시대 청동기의 연구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시대 청동숟가락의 제작기술이 지역과 상관없이 동일했던 것으로 추정하는 이유는? 반면에 941번 청동숟가락의 경우 주석이 높은 함량이지만 취성의 원인이 되는 δ상의 생성을 억제하기 위해 담금질을 통하여 담금질 조직을 출현시켜 잔류하게 함으로써 청동기의 기계적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Jung and Park, 2004). 따라서 941번 청동숟가락은 앞선 924번의 청동다리에 비해 발전된 기술 형태로 보이며 이는 고려시대에 출토된 안동 옥동유적 출토 청동숟가락 2점(Chung and Lee, 2009), 청주 사뇌사지 출토 청동숟가락 1점(Kang et al., 2000), 김해지역 출토 청동숟가락 3점, 상주 청리 출토 청동숟가락 1점, 대전복수동 출토 청동숟가락 2점, 울진 봉산리 출토 청동숟가락 2점(Chung et al., 2004), 태안마도 출토 청동숟가락 7점(Han et al., 2016), 광주 쌍촌동 출토 청동숟가락 1점에서 출토된 청동숟가락과 유사하다. 이를 통해 청동숟가락의 제작기술은 지역에 상관없이 동일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강릉 굴산사란? 강릉 굴산사(사적 제448호)는 통일신라 선종 9산 중 굴산문(崛山門)의 본산으로, 강릉 단오제의 주신인 통효대사(通曉大師) 범일(梵日)이 창건한 것으로 알려진 영동지역의 중심사찰이다. 창건기록은 삼국유사(三國遺事)와 조당집(祖堂集)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창건시기에 차이가 있으나 적어도 851년 이전에는 굴산사가 창건되었음을 알 수 있다.
청동의 특징은? 청동은 구리(Cu), 주석(Sn), 납(Pb)의 배합비에 따라 특성이 달라지며, 동일한 성분 조성이라도 냉각 속도, 열처리, 가공 등의 제작방법에 따라 다양한 미세조직을 보인다. 불순물로 포함된 미량원소의 분석을 통해서도 원료 물질의 정련 정도를 파악할 수 있으며 이들의 함량 분포는 납동위원소를 이용한 산지추정과 더불어 청동기의 분류 및 산지를 추정하는데 도움을 준다(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oi, M.R., Cho, N.C., Kim, D.M. and Yun, S.Y., 2013,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and lead provenance of bronze Bodhisattva from Pangyo-dong sites in Seongnam.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9(3), 231-2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ung, K.Y., Kang, H.T., Chong, D.C., Yun, Y.H. and Lee, H., 2004, Study on quantitative & trace element analysis of metal objects. The Korean Society of Conservation Science for Cultural Heritage, Buyeo, October 1, 137-15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K.Y., Kim, Y.C. and Maeng, S.C., 1992, Metallurgical study of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Miruksa templ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1(1), 27-3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Chung, K.Y. and Lee, J.H., 2009, A study of the microstructure and provenance area of bronze spoons excavated from the Ok-dong site in Ando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5(4), 411-4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Han, W.R., Kim, S.J. and Hwang, J.J., 2016, Chemical compositions and lead isotopic ratios of bronze spoons excavated from coastal areas of Mado island, Taean county. Kor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9(3), 4-1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Jeon, I.H., Lee, J.S. and Park, J.S., 2010, A study on elemental diffusion in gilded artifacts.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6(2), 109-1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Jung, Y.D. and Park, J.S., 2004, Transitions in bronze technology observed in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Shilla Wang-Gyong. Kor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37, 267-28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Jung, Y.D. and Park, J.S., 2005, Technical transitions observed in the bronz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Boonhwang temple site in Kyongju. Korean Journal of Metals and Materials, 43(1), 80-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9. Jungwon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5, The trial digging investigation report of Gulsan temple, Gangneung. 1. (in Korean) 

  10. Kang, H.T., Chung, K.Y. and Cho, N.C., 2007, Scientific analysis and provenance study of bronze bells excavated from Buphwasa(temple) in Wando island. The Honam Archaeological Society, 25, 131-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ang, H.T., Yu, H.S., Moon, S.Y. and Kwon, H.N., 2000, Scientific analysis of bronze materials of Sanoisa temple in Chongju( I ). Conservation Science in Museum, 2, 57-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im, G.I., 2014, A study on component ratio and production technology according to differences in the surface color of gilt bronze artifacts from Hwangoh-dong, Gyeongju.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Kim, H.J. and Kim, S.K., 2007, A review on treasure no.1167, unified Silla Buddhist bell from Uncheon-Dong, Cheongju, about its form and conservational scientific features.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0, 357-38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Kim, W.H., 2008, Metallographic investigation and provenance study of copper bottles from Mansu-ri site, Cheongwon. Journal of Central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4, 213-22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Kim, S.J., Lee, E.W., Hwang, J.J. and Han, W.R., 2015, A literature review on ancient smelting technology and sites of copper.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48(4), 126-13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won, H.N., Yu, H.S. and Ahn, B.C., 2000, Metallurgical study of bronze relics excavated from Sanoesa temple, Chongju.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9(1),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Lee, S.L. and Seo, C.J., 1995, Nonferrous metallurgy. Munundang, Seoul. (in Korean) 

  18. Mabuchi, H., 1985,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Japan, 19. (in Japanese) 

  19. Moon, O.H., 2015, Articles: Space configur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Gulsan temple. The Dong Gook Sa Hak, 59, 357-3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Investigation on the refining technology of extracting metal sources through the acquisition of bronze ore. (in Korean) 

  21.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3, The distribution mapping of lead isotope in Korea Peninsula. (in Korean) 

  22.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Guidebook of provenance study of the bronze artifacts using distribution map of lead isotope ratio in Korean Peninsula. (in Korean) 

  23. Schumann, H., 1996, Metallografie. Hakmunsa, Seoul, 516. (Original work published 1993) (in Korean) 

  24. Scott, D.A., 2002, Copper and bronze in art: corrosion, colorants, conservation. The J. Paul Getty Trust, Los Angele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