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제유물의 용도별 선호수종 연구
A Study on Preferred Wood Species Depending on the Use Of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5 no.6, 2019년, pp.670 - 680  

조석민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  손병화 (충북대학교 나이테연구센터) ,  정아름 (행정안전부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  권지현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다량의 목제유물이 출토된 삼국시대 함안 성산산성을 비롯하여 동시대로 생각되는 경상권 유적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를 빗, 목간, 용기류 등의 용도별로 구분하여 비교함으써 용도에 따른 선호 수종이나 요구 특성이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목간과 빗의 경우는 뚜렷한 선호 수종이 나타났고, 용기류의 경우는 비교적 중간 정도의 강도 특성을 갖는 목재로써 일정 부분 수분이 동의 저항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수종들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ttempts to identify whether there were preferred wood species or any required properties depending on the use of wooden objects by comparing wood species analysis results of wooden objects, which are classified specifically by their uses like comb, wooden tablets, containers, etc., excav...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7-17차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목제유물 2,155건의 수종분석 결과를 살펴보고 그 중 용도가 명확하게 밝혀진 목간, 빗, 용기의 수종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타 유적 출토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용도와 수종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용도별 선호수종이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가 1991년부터 2016년까지 총 17차례에 걸쳐 실시한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에서는 도토류, 금속류, 목기류, 골각기류 등 다양한 유물이 출토되었으며, 특히 동성벽 보호를 위한 부엽공법으로 인하여 인위적으로 생성된 동쪽 계곡부의 부엽층에서는 목간을 비롯한 목제유물 및 유기물 등이 다량 출토되었다(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본 논문에서는 7-17차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에서 출토된 목제유물 2,155건의 수종분석 결과를 살펴보고 그 중 용도가 명확하게 밝혀진 목간, 빗, 용기의 수종 차이를 확인하고자 한다. 또한 타 유적 출토 목제유물의 수종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용도와 수종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용도별 선호수종이 있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Dongguk University Gyeongju Campus Museum, 2002, Hwangnamdong 376, Unified Shilla era site, Gyeongju. (in Korean) 

  2. Foundation of East Asian Cultural Properties Institute, 2010a, Production remains, Gochonri, Busan, I. (in Korean) 

  3. Foundation of East Asian Cultural Properties Institute, 2010b, Production remains, Gochonri, Busan, II. (in Korean) 

  4.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4,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II. (in Korean) 

  5.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6,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III. (in Korean) 

  6.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excavation report IV, Vol 1-2. (in Korean) 

  7.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4,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excavation report V. (in Korean) 

  8.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7, Haman Seongsan mountain fortress excavation reports VI. (in Korean) 

  9. Gaya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8, Wood species analysis of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Haman Seongsansansung mountain fortress. (in Korean) 

  10. Gwangju National Museum, 2008, Excavation reports of findspot of a bronze artifact in Daegok-ri, Hwasun. (in Korean) 

  11. Gyeongju National Museum, 2002, Excavation report on gallery construction site and connecting pathway in Gyeongju National Museum construction site. (in Korean) 

  12. Gyeongju Historical Remains Excavation Team at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85, Report on trial excavation of Weolsung moat. (in Korean) 

  13. Gyeongju Historical Remains Excavation Team at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1991, Excavation report on Weolsung moat I. (in Korean) 

  14.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4, Excavation report on Weolsung moat II. (in Korean) 

  15.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06. Excavation report on Weolsung moat II, Consideration. 377-402. (in Korean) 

  16.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1. Excavation report on Weolsung moat III(4th moat). (in Korean) 

  17. Gyeong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2. Excavation report on Weolsung moat IV. (in Korean) 

  18. Gyeongnam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10. Old town remains(1st site) at old town housing developing site, Busan. (in Korean) 

  19. Jung, S.H. and Park, B.H., 2008, Wood properties of the useful tree species grown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Seoul. (in Korean) 

  20.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2011, Research data No. 406. (in Korean) 

  21. Lee, P.W., 1997a, Characteristics and usages of Korean wood I. SNUpress, Seoul. (in Korean) 

  22. Lee, P.W., 1997b, Characteristics and usages of Korean wood II. SNUpress, Seoul. (in Korean) 

  23. Lee, W.Y., 1997c, Structure of timber organization of Korean wood. Hyangmoonsa, Seoul. (in Korean) 

  24.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2010, Excavation reports on the 1st-3rd Bogamri site I, Naju, Analysis, 1, 5-14, 17-36. (in Korean) 

  25. Nam, T.G., Yun, Y.H. and Kim, Y.H., 2018, Species identification and radiocarbon dating for the wooden board from Daebudo Shipwreck No.2 using wiggle matching.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4(5), 359-36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Nishikawa, T., 2019, An illustrated guide to timber(Kinds, characteristics, quality, usages)(Kim, H.J., trans.). Hans Media, Seoul. (Original work published in 2016) (in Korean) 

  27. Park, S.J., 2006, Timber organization and identification. Hyangmoonsa, Seoul. (in Korean) 

  28. Silla Cultural Heritage Research Institute, 2016, The excavation report of 12 site Nodong-dong, Gyeongju. (in Korean) 

  29. Yeongnam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08, Low wetland remains, Imdang, Gyeongsan I-III. (in Korean) 

  30. Yeongnam Institute of Cultural Properties, 2014, Wooden objects excavated from low wetland remains, Imdang, Gyeongsan. (in Korean)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