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활용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원료산지 고찰
Provenance Analysis of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Site of Songjeol-dong, Cheongju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5 no.3, 2019년, pp.209 - 216  

배고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이상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신승철 ((재)한국선사문화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 29점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활용하여 납의 원료산지를 확인하고, 출토지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먼저 동북아시아 방연석 분포도(Mabuchi, 1985) 대입결과 대부분 중국 남부영역 내에서 매우 밀집한 분포 경향성을 나타내었으며,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 적용결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및 옥천변성대 지역인 Zone 3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는 출토지와 유사한 지역에 위치한 방연석 광산에서 채취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을 것으로 볼 수 있다. 이와 함께 한반도 마형대구 출토 중심지역에 해당하는 중서부지역의 미호천유역 및 안성천유역 출토 마형대구 38점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해당 문화권 내 마형대구 제작에 사용된 납 원료산지의 연관성 및 지역적 특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시대적 지역적 특성을 나타내는 마형대구를 대상으로 한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축적하여 추가적인 원료산지 비교분석 연구를 통해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의 납 원료산지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ead isotope ratios in horse-shaped bronze buckles excavated from the Songjeol-dong site in Cheongju and the mid-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have been determined by thermal ionization mass spectrometry. The lead isotope ratios of the samples with data provenance were plotted in zone 3 of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위의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Kim et al.(2015)에 의해 발표된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를 활용한 출토지역 및 시대별 한국 청동기의 납동위원소비 분류특성 연구결과를 참고하여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원료산지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결과에 따르면 원삼국시대 청동기의 납 원료산지는 대부분 Zone 3 및 Zone 4를 벗어난 지역에 분포하며, 삼국시대에는 Zone 3에 집중 분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를 중심으로 동일 유역권에 해당하는 미호천유역 및 안성천유역 출토 마형대구의 납동위원소비 선행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여 중서부지역 마형대구 제작에 사용된 납 원료산지 특징 및 원료수급 배경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교분석대상은 청동제 마형대구 총 38점으로 미호천 유역권의 청원 송대리유적(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1999), 청주 봉명동유적(Saito, 2006), 연기 응암리(An, 2007) 및 응암리 가마골유적(Yun, 2011) 출토 마형대구와 안성천유역에 해당하는 천안 청당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Kang et al.
  • 또한 고고학적 연구배경에 따르면 마형대구는 주로 분묘유적에서 출토되는 부장품의 성격을 띠고 있는 반면, 연구대상 마형대구 67점 중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품 3점과 연기 응암리 가마골유적 출토품 19점은 분묘가 아닌 주거지 및 환호, 지표 등에서 출토되었다. 따라서 출토 유구의 성격에 따른 제작목적 및 사용원료의 차이점에 주목하여 원료산지 추정결과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 29점을 대상으로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실시하여 원료산지를 밝혀내고, 출토지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기 발표된 동일 문화권 내 유적 출토 마형대구 38점의 납동 위원소비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유적별 납 원료산지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중서부지역의 마형대구 제작에 사용된 납 원료 산지 및 시대적⋅지역적 특성에 대한 학술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 1998)를 참고하여 데이터베이스를 작성하였다(Table 2). 이를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 29점과 비교하여 동북아시아 방연광 분포도와 한반도 납동위원소비 분포도에 적용하여 원료산지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 이번 연구에서는 마한을 특징할 수 있는 유물인 마형대구를 대상으로 납동위원소비 분석법을 이용한 원료산지 추정연구를 통해 원료산지의 시대적⋅지역적 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한반도 마형대구 출토 중심지역에 해당하는 중서부지역 내 유적 출토 마형대구의 납동위원소비 분석결과와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고고학적 배경을 접목하여 중서부지역 마형대구의 납 원료산지 특성 및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주 송절동유적 출토 마형대구 29점을 대상으로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실시하여 원료산지를 밝혀내고, 출토지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와 함께 기 발표된 동일 문화권 내 유적 출토 마형대구 38점의 납동 위원소비 분석결과와 비교하여 유적별 납 원료산지의 상호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중서부지역의 마형대구 제작에 사용된 납 원료 산지 및 시대적⋅지역적 특성에 대한 학술적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동제 마형대구는 무엇인가? 청동제 마형대구는 말(馬) 모양의 허리띠 장식구를 말하는 것으로, 1918년 경상북도 영천시 어은동 유적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는 총 25곳 이상의 유적에서 약 150점이상 출토되었으며, 이 중 중서부지역에서 출토된 마형대구가 약 2/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의 개수 및 분포 영역은 어떻게 되는가? 청동제 마형대구는 말(馬) 모양의 허리띠 장식구를 말하는 것으로, 1918년 경상북도 영천시 어은동 유적에서 최초로 발견되었다.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는 총 25곳 이상의 유적에서 약 150점이상 출토되었으며, 이 중 중서부지역에서 출토된 마형대구가 약 2/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시기적으로 초기철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 말기, 혹은 삼국시대 초기까지 편년되는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으며(Kim, 2011), 지역별 출토범위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동남부지역인 경상도지역과 중서부지역인 충청도 및 경기도지역의 분묘유적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의 구체적인 시기별 유물의 지역별 출토 정도는 어떻게 되는가? 한반도 출토 마형대구는 총 25곳 이상의 유적에서 약 150점이상 출토되었으며, 이 중 중서부지역에서 출토된 마형대구가 약 2/3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시기적으로 초기철기시대에서 원삼국시대 말기, 혹은 삼국시대 초기까지 편년되는 유적에서 출토되고 있으며(Kim, 2011), 지역별 출토범위를 살펴보면 우리나라 동남부지역인 경상도지역과 중서부지역인 충청도 및 경기도지역의 분묘유적에서 집중적으로 출토되었다. 특히 3∼4세기 충청지역의 단순토광묘 및 주구토광묘 부장유물의 특징적인 양상 중 하나로, 곡교천유역, 미호천유역, 남한강유역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상징적인 유물이다(Kim, 20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 J.Y., 2007, An investigation of provenance on the bronze artifacts found in Korea by lead isotope ratio. Master's thesis,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Hyun, N.J. and Kwon, Y.K., 2011, Excavation in mid-western region, Korea Peninsula; Horse shape buckle review. Prehistory and Ancient History, 35, 47-7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Kang, H.T., Kim K.H., Ham S.S., Yoshimitsu, H., Oshio, R. and Yasuhiro, H., 1998, Provenance analysis of bronze buckle excavated from site of Cheongdang-dong, Cheonan. Journal of Anthropology, 9, 127-136. (in Korean) 

  4. Kang, H.T., Chung, K.Y. and Ryu, K.J., 2002, Chemical composition and lead isotope ratio of bronze sword excavated from Hwasan-ni site, Seochon. Journal of the Hoseo Archaeological Society, 7, 609-6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J.Y., 2013, A study on (Jugu) Togwangmyo in the Hoseo area during the 3-4 centuries. Mahan-Baekje Culture, 22, 163-20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S.J., Han, W.R., Hwang, J.J., Jeong, Y.J. and Han, M.S., 2015, Lead isotope ratios characteristics of excavated bronzes from Korea Peninsula. Conservation Studies, 36, 4-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S.W., 2011, The chronology and local identity of horse-shaped bronze buckle from South Korea. Master's thesis, Korea University, Seoul. (in Korean) 

  8. Korea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1999, Site of Ochang, Cheongwon. 3, 277-299. (in Korean) 

  9. Lee, E.W., Kim, S.J., Han, W.R., Han, M.S. and Hwang J.J., 2014, Lead isotope analysis of bronze artefacts excavated from Inyongsaji sit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4), 345-3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Mabuchi, H., 1985,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Japan, 19. (in Japanese) 

  11. Saito, T., 2006, Multilateral study by the comparative method on ingression, acculturation and distribution of bronze culture in East Asia. National Museum of Japanese History. (in Japanese and Korean) 

  12. Yun, H.S., 2011,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s of copper horse shape buckles in the 3-4th centuries and producing district. Master's thesis, Yongin University, Yongin.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