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제작기법 및 납 원료 산지연구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Provenance of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Medicine Buddha) Statue of Cheongyang Janggoksa Temple,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34 no.1, 2018년, pp.59 - 67  

배고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이상옥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  범대건 (국립현대미술관 작품보존미술은행관리과) ,  정광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보존과학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을 대상으로 불상의 제작기술체계 및 납 원료산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결과 구리(Cu) 68.8%, 주석(Sn) 10.4%, 납(Pb) 17.1%의 삼원합금으로 납의 함량이 높은 중 대형 불상의 주성분 조성비와 유사한 경향성을 보이고 있다. 열이온화질량분석기(TIMS)를 이용한 납동위원소비 데이터를 한반도 납동위원소 분포도에 대입한 결과 전라도와 충청도 지역에 해당하는 영남육괴 및 옥천변성대 영역(Zone 3)에 도시되었으며, 불상이 봉안된 사찰의 인근 지역에 위치한 광산에서 채취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작하였을 가능성이 있다. 이어 유사시기에 제작된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의 제작기법 연구와 비교분석한 결과 불상의 크기 및 조성 시기, 양식적 특성 등에 따른 제작기법의 차이점을 확인하였으며, 사찰과 동일한 영역에 위치한 방연석을 사용하였을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manufacturing technique and provenance of the Gilt-bronze Seated Bhaisajyaguru (Medicine Buddha) Statue of Janggoksa Temple. The statue had the following : Cu(68.8%)-Sn(10.4%)-Pb(17.1%), it is similar to other medium or large Buddha statue. As results of comparison lead iso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을 대상으로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및 합금비 규명,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한 원료산지와 소재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된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의 제작기법 및 산지추정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여 고려시대 후기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제작기술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을 대상으로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및 합금비 규명,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한 원료산지와 소재지의 연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또한 선행연구된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의 제작기법 및 산지추정 연구결과와 비교분석하여 고려시대 후기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제작기술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결론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보존처리과정에서 수습된 극미량의 시료를 대상으로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및 합금비 규명,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한 납 원료산지 추정 및 원료와 소재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고려 후기 청동 및 금동제불상의 제작기술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위의 과학적 분석결과를 토대로 고고․미술사학적 특징을 통해 두 불좌상 간의 제작기법 차이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서론에서 언급된 고려 후기 불상 형식 분류에서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은 전통적 양식으로 분류되는 반면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의 경우 중국적인 요소가 가미된 새로운 양식으로 분류된다.
  • 본 연구에서는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보존처리과정에서 수습된 극미량의 시료를 대상으로 미세조직 관찰 및 성분분석을 통한 제작기법 및 합금비 규명, 납동위원소비 분석을 통한 납 원료산지 추정 및 원료와 소재지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고려 후기 청동 및 금동제불상의 제작기술체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의 과학적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유사시기에 제작된 기타 청동제 불상의 제작기법과 비교분석하고, 고고․미술사학적 정보를 접목하여 고려 후기 청동 및 금동제 불상의 제작기법 및 원료 산지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비교대상으로는 고려 후기 제작된 것으로 알려진 청동제 불상 중 강진 고성사 청동보살좌상의 제작기법에 관한 선행연구결과(Chung et a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고려시대 불교조각의 특징은 무엇인가? 고려시대 불교조각은 단아함과 화려함을 동시에 겸비한 다양한 양식과 도상적 특징을 지니고 있다. 이중 고려시대 후기 불교조각은 전통적 양식과 중국적인 요소가 가미된 새로운 양식으로 분류할 수 있다.
보물 제337호는 무엇인가? 보물 제337호 청양 장곡사 금동약사여래좌상을 대상으로 불상의 제작기술체계 및 납 원료산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성분분석결과 구리(Cu) 68.
납 함량비가 선행연구된 합금비 및 납 함량비와 유사한 이유는 무엇인가? 1%로 선행연구된 중․대형불상 합금비 및 납 함량비와 유사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제작 시 쇳물의 용융점을 낮추어 주조를 용이하게 하고, 매끈한 표면과 문양 표현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의도적으로 납을 다량 첨가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8)

  1. Choi, M.R., Cho, N.C., Kim, D.M. and Yun, S.Y., 2013, Study on manufacturing technique and lead provenance of bronze Bodhisattva from Pangyo-dong sites in Seongnam.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29, 231-24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hoi, J.E., 2016, A study of the microstructure and impurity characteristics of cast bronze in Koryo period.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2(3), 313-3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 Chung, K.Y., Kang, W.K., Do, M.S., Kim, Y.J. and Park, J.M., 2011, Study on the manufacturing technique of bronze Buddha in Koryo dynasty. Proceedings of JSSSCP 28, 166-167. 

  4. Hwang, J.J., 2009, The study of chemical component range for major elements in Korean bronze. Master's thesis, Myoung-ji University, Seoul.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eong, E.W., 2007, The Buddhist sculpture study of late Koryo dynasty. Moonye Publishing Company, Seoul, 97-99. 

  6. Jeong, Y.J., Cheong, C.S., Shin, D.B., Lee, K.S., Jo, H.J., Gautam, M.K. and Lee, I., 2012, Regional variations in the lead isotopic composition of galena from southern Korea with implications for the discrimination of lead provenance. Journal of Asian Earth Sciences, 116-127. 

  7. Lee, E.U., Kim S.J., Han W.R., Han M.S. and Hwang J.J., 2014, Lead isotope analysis of bronze artefacts excavated from Inyongsaji site.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30, 345-35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Mabuchi, H., 1985, The lead isotope systematics in Asia and near East. Grant Report to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Culture, Japan, 19. (in Japanes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