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 적용 효과분석 연구
Analysis about the effect of flipped learning based team activ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44 - 51  

박복남 (용인송담대학교 의료정보과) ,  신미경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  전혜진 (나사렛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전통적인 강의와 플립드 러닝협동학습 적용에 따른 수업경험, 의사소통 불안 차이와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 정도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간호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전통적인 강의를 4주, 플립드 러닝 기반 협동학습을 4주 수행한 후 변수값의 차이를 paired t- test로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학습자의 수업경험은 정서적영역의 정서적 상태변인과 활동성 변인 모두 강의식 전통학습보다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 이후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으며(t=-3.80, p=.000; t=-3.35, p=.001), 동기적영역의 변인인 수업활동조절(t=-3.07, p=.003), 자신의 능력(t=-2.48, p=.016), 수업참여 정도(t=-3.25, p=.002)에서도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에서 평균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이 의사소통 불안(t=1.85, p=.069)을 개선하는 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를 보이지 않았다. 대학생 상대로 연구한 협동 학습 적용 결과 수업 만족도가 높았으며 지속적인 학습의 관심을 보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xplore the difference in communication anxiety and class satisfaction after taking the traditional lecture and flipped learning lecture. Fifty four nursing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tudy design was one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4 weeks traditional le...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간호학 수업에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을 적용한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들의 수업경험, 의사소통 불안정도,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을 평가하여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시차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노인간호학 수업에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을 적용한 간호학과 4학년 재학생들의 수업경험, 의사소통불안정도, 학습만족도 및 학습지속의향을 평가하고, 교수학습방법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거꾸로 학습인 플립드 러닝의 효과적 적용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주제학습 1주 전에 학습자들끼리 팀을 구성하도록 하여 사전 학습하는 시간과 장소를 정해 함께 학습할 수 있고, 더불어 교수자가 직접 참여하여 학습의 방향성을 지도하며 운영하는 형식의 방법을 도입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교수법의 적용으로 전통식 강의법과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의 적용으로 인한 학생들의 수업경험, 의사 소통 불안정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간호사의 의사소통 역량을 향상시키는데 기초자료를 마련하고 또한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수법 개발과 적용을 위해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팀 협동학습을 기반으로 한 플립드 러닝을 적용하여 간호학과 재학생들의 수업경험과 의사소통 불안정도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 결과를 간호사의 의사소통 역량 및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로 마련하고자 시도되었다.
  •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강의식 전통 학습법과 협동 학습법의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도 협동학습이 의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임을 확인하 였고[25], 대학생의 의사소통능력 증진을 위한 협동학습에 참여한 대상자들이 의사소통능력, 대인관계능력, 의사소통능력 증진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26]. 이에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불안을 줄이고, 의사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대상자와 조직 구성원 간 관계증진을 도모하는 플립드 러닝 기반 팀 협동학습의 적극적인 적용을 권장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사의 의사소통 역량 및 학습만족도 향상을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학습자의 수업경험과 관련된 결과에서는 정서적 상태 변인과 활동성 변인이 모두 팀 협동학습 기반 플립드 러닝 교수법을 적용하였을 때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수업 동기유발과 관련된 영역에서도 기존 강의실 교수법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플립드 러닝을 적용한 교수법을 적용한 수업의 간호학생의 의사 소통 역량 및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킬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교수법의 활용을 위한 교수자의 교육을 위한 준비가 필요하며, 지속적인 활용 및 근거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간호사란 무엇인가? 간호사는 환자의 곁에서 하루에 24시간 동안 직접 간호와 간접 간호를 수행하는 의료진이다. 이에 간호사의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통하여 환자와의 신뢰관계 형성은 물론 환자의 문제를 정확하게 파악하며[1], 환자는 의사소통을 통해 간호사가 신뢰할 수 있는 전문가인지를 평가하게 된다[2].
플립드 러닝 교수법의 장점은 무엇인가? 이는 사전학습과 동료들과의 상호작용, 토론 등을 통하여 역동적이고 상호적인 수업환경으로 전환하는 실천적 수업방식으로 [12] 플립드 러닝은 사전학습을 통해 핵심내용을 미리 공부하고 오기 때문에 수업시간에는 좀 더 다양한 문제를 접하고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이 확보되고 동료 간 토론의 시간이 부여되어 의사소통의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교수법이다. 선행 학습 시간이 부담이 된다는 보고가 있기는 하나, 플립드 러닝 교수법을 통해 학습자는 수준별 학습이 가능하고, 지식활용역량이 개발되며, 능동적으로 학습하여 학습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3]. 팀 협동학습은 플립러닝을 운영하기 위한 중요한 전략으로서, 구성원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지식 을 활용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P. Salmon. & B. Young. (2009). Dependence and caring in clinical communication: The relevance of attachment and other theories. Patient Education and Counseling, 74(3), 331-338. 

  2. M. Coffey & J. Hewitt. (2008). 'You don't talk about the voices': Voice hearer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nurses talk about responding to voice hearing experienc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7(12), 1591-1600. 

  3. H. M. Son, H. S. Kim, M. H. Koh & S. J. Yu.. (2001). Analysis of the communication education in the undergraduate nursing curriculum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 326-434. 

  4. G. J. Lee. (2011). Communication and nursing (3rd ed.). Seoul : Shin kwang publishing co. 

  5. M. S. Kim. (2016).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Collegiate Interpersonal Skills, Hanminjok Emunhak, 73, 203-233. 

  6. S. Trenholm & A. Jensen. (2008). Interpersonal communication (6th ed.).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7. S. K. Hwang & Y. J. Lee. (2015).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social anxie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1(4), 518-527. 

  8. N. O. Cho, Y. S. Hong & H. S. Kim. (2001). Study of nurse's interpersonal conflict and communi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7(2), 369-378. 

  9. J. H. Kim & J. S. Lee. (2013). The experience of clinical nurses' interpersonal conflict.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14(1), 70-80. 

  10. J. C. McCroskey, M. J. Beatty, P. Kearney & T. G. Plax. (1985). The content validity of the PRCA­24 as a measure of communication apprehension across communication contexts. Communication Quarterly, 33(3), 165-173. 

  11. Korean Accreditation Board of Nursing Education. (2015). Accreditation of nursing education guideline. http://kabone.or.kr/kabon02/index04.php 

  12. F. Ozdamli & G. Asiksoy. (2016). Flipped Classroom Approach. World Journal on Educational Technology: Current Issues, 8(2), 98-105. 

  13. E. G. Kim. (2016).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in database cours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20(4), 847-856. 

  14. H. J. Han, C. Lim, S. L. Han & J. W. Park. (2015).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integrating online and offline modes of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1(1), 1-38. 

  15. J. Leem. (2016).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ies for flipp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Journal of Educational Technology, 32(1), 165-199. 

  16. M. Csikszentmihalyi & B. Schneider. (2001). Becoming adult: How teenagers prepare for the world of work. New York : Basic Books. 

  17. S. E. Peterson, & J. A. Miller. (2004). Comparing the quality of students' experienc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and large-group instruction.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97(3), 123-133. 

  18. H. Y. Choi. (2007). Learners' Experiences during Cooperative Learning in a College English Reading Classroom. Doctoral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honnam. 

  19. N. M. Shin. (2003). Transactional presence as a critical predictor of success in distance learning. Distance Education. 24(1), 69-86. 

  20. S. A. Jo. (2013). The influence of university students' online course experience and level of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y on learning satisfaction and persistence.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eongju. 

  21. R. T. Johnson, D. W. Johnson & B. Bryant. (1973). Cooperation and competition in the classroom. The Elementary School Journal, 74(3), 172-181. 

  22. Y. Lee. & S. Youn. (2017). Reconstructing the Meaning of Flipped Learning by Analyzing Learners' Experiences.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20(1), 53-62 

  23. Y. S. Choi & J. Y. Kim. (2018). Effects of flipped Llearning in core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based on communication, problem solv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19), 1163-1182. 

  24. Y. S. Lee & Y. Eun. (2016). The effect of the flipped learning on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2(4), 567-576. 

  25. N. Baghcheghi, H. R. Koohestani & K. Rezaei. (2011). A comparison of the cooperative learning and traditional learning methods in theory. classes on nursing students' communication skill with patients at clinical settings. Nurse education today, 31(8), 877-882. 

  26. Y. H. Kim, & M. S. Kang. (2015). The effects of action learning in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interpersonal competence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9(4), 211-2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