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수막종으로 개두술을 받은 중년여성의 질병체험
Illness Experiences in Middle-Aged Women who Underwent Craniotomy for Meningioma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52 - 64  

홍희정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이영휘 (인하대학교 간호학과) ,  장종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뇌수막종으로 개두술을 받은 중년여성의 질병체험에 관한 의미와 구조를 파악하고자 함이다. 자료수집을 위해 7명의 개두술을 받은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을 위해 구두진술문에 대해 참여자의 질병겸험의 숨은 뜻을 분석하기 위해 Giorgi의 기술 현상학적 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뇌수막종으로 개두술을 받은 중년여성의 체험으로 흔들리는 중년에 엄습한 공포, 치유에 대한 자기 확신 강화, 죽음의 공포로 부터 탈출, 자기 몸에 대한 배려, 가족 화합과 질병 두 개의 무게, 치유의 동반자 간호사, 인생 2막 열기 등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참여자의 경험에 대한 이해를 통해 보다 전인적인 간호 중재를 계획할 수 있을 것이다. 더불어 참여자들이 느끼는 가장 큰 공포의 원인은 개두술에 대한 정보 부족이었다. 따라서 개두술에 대한 정보와 지식 제공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제언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understand and describe the illness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who underwent craniotomy for meningiom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ith 7 middle-aged women who underwent craniotomy. Verbatim transcripts were analyzed using Giorgi'...

주제어

표/그림 (3)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경외과적 뇌수술은 어떻게 알려져 있고 경향은 무엇인가? 신경외과적 뇌수술은 위협감을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양성일지라도 일상생활로 돌아오는데 어려움을 갖는 경향이 있다[11]. 뇌수막종은 다른 뇌종양보다 초기에 우울증과 불안감이 갑자기 시작하며[12] 특히, 왼쪽 반구에 뇌수막종이 있는 사람들은 언어장애로 인한 좌절감과 인지장애로 통찰력의 부족을 예견하여 다른 뇌종양 환자보다 수술 전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13] 특히, 여성들은 수술 후 수년간 흔들리는 자세, 우울증, 수면장애 또는 피로 증후와 같은 문제로 삶에 부정적 영향을 보인다.
질병 체험에 있어 새로운 시선의 틀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질병은 인간의 신체에 물리적, 화학적 변화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간 삶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우연적인 사건이기도 하다. 따라서 이러한 질병 체험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생 의학 패러다임이 아닌 새로운 시선의 틀이 필요하다[16].
우리나라의 40-50대 중년 여성들의 실태는 어떠한가? 우리나라의 40-50대 중년 여성들은 아내로서의 역할 수행은 물론 어머니로서 자녀의 양육과 교육에도 힘을 쏟아야 하고 며느리로서 연로하신 시부모님을 보살펴 드려야 하며 취업 여성인 경우 직업과 가사의 이중 부담 등 일상생활에서 잠시도 스트레스에서 벗어나기 어려운 생활에 놓여 있어 신체적으로는 물론이고 정신적으로도 병에 걸릴 위험성이 높은 상태이다[1]. 또한 노년으로 들어서는 생의 전환기이면서 생활 속에서 여러 가지 긴장 요인과 신체적, 사회적 및 가족적 변화와 더불어 여러 가지 만성 질환이 발생 가능한 시기이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S. E. Kim. (2009). Theoretical review on the factors of middle-aged women's stress and the manage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Women's Culture, 18, 153-180. 

  2. S. J. Jun, H. K. Kim, S. M. Lee & S. A. Kim. (2004). Factors influencing middle-aged women's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Community Nursing, 15(2), 266-277. 

  3. Statistics Korea. (2018). Cause of death in statistics 2017. Daejeon : Statistics Korea. 

  4.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2018). Women's life in statistics 2018. Seoul :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5.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2018). National cancer registration statistics 2016. Ilsan : Korea Central Cancer Registry. 

  6. Y. S. Dho, K. W. Jung, J. Ha, Y. G. Seo, C. K. Park, Y. J. Won & H. Yoo. (2017). An Updated nationwide epidemiology of primary brain tumors in Republic of Korea, 2013. Brain Tumor.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5(1), 16-23. DOI : 10.14791/btrt.2017.5.1.16 

  7. P. R. C. Whittle, P. Navoo & D. Collie. (2004). Meningioma. Lancet, 363, 1535-1543. 

  8. C. B. D. Santos, M. F. G. Silva & P. H. P. Aguiar. (2011). Meningioma: quality of life before and after surgery. Journal of Neurosciencw and Behavioural Heath, 3(1), 8-15. 

  9. A. Mainio, H. Hakko, A. Niemelia, J. Koivukangas & P. Rasanen. (2006). Gender difference in relation to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patients with a primary brain tumor. Journal of European Psychiatry, 21, 194-199. DOI : 10.1016/j.eurpsy.2005.05.008 

  10. L. Rozmovits, K. J. Khu, S. Osman, F. Gentili, A. Guba & M. Bernstein. (2010). Information gaps for patients requiring craniotomy for benign brain lesion: a qualitative study. Journal of neurooncology, 96. 241-247. DOI : 10.1007/s11060-009-9955-8 

  11. J. Wong, D. Mendelsohn, J. Nyhof-Young & M. Bernastein.. (2011). A qualitative assessment of the supportive care and resource needs of patients undergoing craniotomy for benign brain tumors. Supportive Care in Cancer, 19(11), 1841-1848. DOI : 10.1007/s00520-010-1027-2 

  12. R. K. Gupta & R. Kumar. (2004). Benign brain tumors and psychiatric morbidity: a 5-years retrospective data analysis. Australian and New Zealand Journal of Psychiatry, 38(5), 316-319. DOI : 10.1080/j.1440-1614.2004.01357.x 

  13. A, M. Pringle, R. Tayor, & L. R. Whittle. (1999). Anxie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an intra-cranial neoplasm before and after tumour surgery. British Journal of Neurosurgery, 13(1), 46-51. DOI : 10.1080/02688699944177 

  14. I. Mohsenipour, E. Deusch, M. Gabl, M. Hofer & K. Twerdy. (2001). Quality of life in patients after meningioma resection. Acta Neurochirurgic, 143(6), 547-553. 

  15. B. H. Kong. (2009). Merleau-ponty's phenomenology of body and the experience of illness in nursing.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henomenology, 40, 57-81. 

  16. I. K. Hwang. (2010), The illness experience and illness narrative. Philosophy of Medicine, 10, 3-28. 

  17. T. Mapp. (2008). Understanding phenomenology: The lived experience. British Journal of Midwifery, 16(5), 305-311. DOI : 10.12968/bjom.2008.16.5.29192 

  18. K. Lopez & D. Willis. (2004). Descriptive versus interpretive phenomenology: Their contributions to nursing knowledge.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4(5), 726-735. DOI : 10.1177/1049732304263638 

  19. M. S. Yi, H. Y. Jang, S. S. Woo & H. S. Kim. (2017).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Stomach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2, 23-33. 

  20. E. Y. Park & M. S. Yi. (2009). Illness Experience of Women with Breast cancer in Korea: Using Feminist Phenomenology.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Adult Nursing, 21(8), 504-518. 

  21. M. B. Miles & A. M. Huberman.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A Sourcebook of New Methods(2nd ed.). ThousandOaks. CA. Sage. 

  22. A. Giorgi. (1991). Phenomenoogy and psychological research. Pittsburgh, Duquesne University Press, 10-19. 

  23. Y. Lincoln. & E. Guba.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24. Y. C. Kim. (2013). Qualitative research methodology. Seoul: Academy Press. 

  25. K. McCormick. (2002). A concept analysis of uncertainty in illnes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34, 127-131. 

  26. M. H. Mishel. (1990). Reconceptualization of the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2, 256-262. 

  27. M. H. Mishel. (1988). Uncertainty in illness.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0, 225-231. 

  28. Y. Zhang. (2017). Uncertainty in illness: Theory review, Application and Extensio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Forum, 44(6), 645-649. 

  29. I. K. Hwang & H. Y. Kim. (2013). The encounter between oral history and narrative medicine: A preliminary study. Korean Journal of Medical History, 22(2), 357-388. 

  30. M. S. Yi, H. Y. Jang, S. S. Yoo & H. S. Kim. (2017). Phenomenological study on experience of stomach cancer survivors.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2, 23-33. 

  31. J. H. Sung. (2015). Illness experience in women patients with lung cancer.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32. M. R. Yun. & M. S. Song. (2013). A qualitative study on breast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0(1), 41-51. 

  33. H. K. Jun. (2015). 'Young' women's illness stories and their re-reading time. Journal of Korean Women's Studies, 31(1), 201-242. 

  34. A. W. Frank. (2016). The wounded story teller. Seoul: Galmuri. 

  35. I. Wenstrom, L. E. Eriksson & B. Ebbeskog. (2012). Living in a paradox-women's experiences of body and life-world after meningioma surge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8(3), 559-568. DOI : 10.1111/j.1365-2648.2011.05757.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