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관내 흡인과 체위변경이 두부 및 두 개내 수술을 받은 환자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ndotracheal Suction and Position Change on Blood Pressure of Patients with Head and Intracranial Surgery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21 no.3, 2014년, pp.226 - 234  

조은희 (전북대학교병원 심장계중환자실, 전북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  정여정 (전북대학교병원 신경외과) ,  김은진 (전북대학교병원 신경계중환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present guidelines for deciding appropriate times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BP) in patients with neurological disorders who had surgery due to brain damage. Method: It was a repeated measures-experimental research on time variants in BP after nursing care. SBP (S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손상으로 두부 및 두 개내 수술을 받은 신경계 환자를 대상으로 흡인과 체위변경을 각각 시행한 경우와 흡인과 체위변경을 연속으로 시행한 경우의 혈압을 비교하여 혈압에 미치는 영향과 혈압측정시기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로 신경계환자의 흡인과 체위변경 적용방법과 혈압의 측정시기에 대해 임상에서의 간호표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흡인과 체위변경을 각각 시행한 경우와 흡인과 체위변경을 연속으로 시행한 경우 혈압의 변화양상간의 차이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뇌손상으로 두부 및 두 개내 수술을 받은 신경계환자를 대상으로 중환자실이 아닌 병실에서 빈번히 수행하고 있는 흡인과 체위변경의 간호중재 시 각각 시행한 경우와 연속으로 시행한 경우의 혈압의 변화와 최고치를 분석한 연구로서 흡인이나 체위변경 같은 간호중재 후 혈압의 변화에 따른 측정시기와 간호중재방법을 파악하는 연구로서 그 의의 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본 연구는 대상자에게 흡인과 체위변경을 각각 시행한 경우와 연속으로 시행한 경우의 간호중재를 실시하여 각각 간호중재 전과 후 매 2분마다 5회 혈압을 측정하여 시간에 따른 혈압의 변화가 있는지를 비교하기 위한 반복측정 실험연구이다[Figure 1].
  • 본 연구는 신경계 환자를 대상으로 두부 및 두 개내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흡인과 체위변경을 각각 시행한 경우와 연속으로 시행한 경우의 혈압의 변화와 최고치를 비교하여 혈압의 측정시기와 간호중재방법의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신경계 환자를 대상으로 두부 및 두 개내 수술을 받은 환자에게 흡인과 체위변경을 각각시행 하였을 경우와 연속으로 시행했을 경우 혈압의 변화와 최고치를 비교하여 혈압의 측정시기를 알아보고 간호중재 방법에 따른 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반복실험연구이다.

가설 설정

  • “체위변경 전 후에 시간에 따라 대상자의 혈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흡인과 자세변경을 연속으로 시행 전 후 시간에 따라 대상자의 혈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1가설: 흡인 전 후 시간에 따라 대상자의 혈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2가설: 자세변경 전 후 시간에 따라 대상자의 혈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 제 3가설: 흡인과 자세변경을 연속으로 시행 전 후 시간에 따라 대상자의 혈압은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기관 내 흡인으로 인한 저산소혈증이 유발하는 현상은? 뇌손상을 받은 무의식 환자나 의식저하 환자들은 호흡근의 약화로 인해 호흡곤란 및 저산소증을 일으킬 수 있어 기도유지 및 산소공급을 위해 기관 내 삽관이나 기관 절개술을 시행하게 되고 폐렴 예방을 위해 기관 내 흡인이 필요하다(Youm, Lee, Lee, Jin, & Choi, 2005). 흡인은 기관과 기관지 점막섬모와 상피세포를 손상시켜서 감염을 유발하고 분비물의 생리적인 배출을 방해하여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더욱 촉진하여 뇌압상승과 부정맥, 기침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기관 내 흡인으로 인한 저산소혈증은 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자극하고 이로 인해 저산소혈증에 대한 보상기전이 일어나서 혈장내의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이 분비되어 맥박수와 심박출량 그리고 혈압이 증가한다(Youm et al., 2005).
뇌손상을 받은 무의식 및 의식저하 환자에게 기관 내 삽관이 시행되는 이유는? 뇌손상을 받은 무의식 환자나 의식저하 환자들은 호흡근의 약화로 인해 호흡곤란 및 저산소증을 일으킬 수 있어 기도유지 및 산소공급을 위해 기관 내 삽관이나 기관 절개술을 시행하게 되고 폐렴 예방을 위해 기관 내 흡인이 필요하다(Youm, Lee, Lee, Jin, & Choi, 2005). 흡인은 기관과 기관지 점막섬모와 상피세포를 손상시켜서 감염을 유발하고 분비물의 생리적인 배출을 방해하여 기도가 폐쇄되는 것을 더욱 촉진하여 뇌압상승과 부정맥, 기침 등을 일으킬 수 있으며, 기관 내 흡인으로 인한 저산소혈증은 교감신경계의 활동을 자극하고 이로 인해 저산소혈증에 대한 보상기전이 일어나서 혈장내의 epinephrine과 norepinephrine이 분비되어 맥박수와 심박출량 그리고 혈압이 증가한다(Youm et al.
뇌 보상기전 손상 환자에게 흡인 및 체위변경과 같은 간호중재 활동이 연속적 또는 일시적으로 적용될 경우, 뇌의 2차 손상의 원인이 되는 이유는? 또한 뇌종양, 뇌혈관질환, 두 개내 수술을 받은 환자들에게 수술 후 두부상승 및 체위변경과 같은 간호중재 활동들은 뇌 혈류량에 영향을 준다 (Balkan, 2005; Josephson, 2004). 체위변경이나 흡인 등과 같은 간호중재를 연속적 또는 일시적으로 환자에게 적용 시 대뇌대사속도를 증가하며, 대뇌 재 관류 압력을 감소시키므로 뇌 혈류량에 영향을 주어 뇌의 보상기전이 손상된 환자에게있어 뇌의 2차손상의 원인이 된다(Feldman et al., 1992;Josephson, 2004; Kirknes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ndrus, C. (1991). Intracranial pressure: Dynamics and Nursing Management.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3, 85-91. 

  2. Balkan, S. (2005). Cerebrovascular diseases (2nd ed). Ankara: Gazi Bookstore, 

  3. Edlow, B. L., Kim, M. N., Durduran, T., Zhou, C., Putt, M. E., Yodh, A. G., et al. (2010). The effects of healthy aging on cerebral hemodynamic responses to posture change. Physiological Measurement, 31, 477-495. http://dx.doi.org/10.1088/0967-3334/31/4/002 

  4. Feldman, Z., Kanter, M. J., Robertson, C. S., Contant, C. F., Hayes, C., Sheinberg, M. A., et al. (1992). Effect of head elevation on intracranial pressure, cerebral perfusion pressure, and cerebral blood flow in head-injured patients. Journal of Neurosurgery, 76, 207-211. http://dx.doi.org/10.3171/jns.1992.76.2.0207 

  5. Hickey, J. V. (2009). The clinical practice of neurological & neurosurgical nursing (6th ed.). Philadelphia, PA: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6. Josephson, L. (2004). Management of 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A primer for the non-neuro critical care nurse. Dimensions of Critical Care Nursing, 23, 194-207. 

  7. Jo, Y. A. (2007). Effect on oxygen saturation, heart rate, mean arterial pressure as type of endotracheal suctioning system to patients are ventilated in intensive care unit.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8. Kirkendall, W. M., Burton, A. C., Epstein, F. H., & Freis, E. D. (1967). Recommendations for human blood pressure determination by sphygmomanometers. Circulation, 36, 980-988. http://dx.doi.org/10.1161/01.CIR.36.6.980 

  9. Kirkness, C. J., Burr, R. L., Cain, K. C., Newell, D. W., & Mitchell, P. H. (2008). The impact of a highly visible display of cerebral perfusion pressure on outcome in individuals with cerebral aneurysms. Heart and Lung, 37, 227-237. http://dx.doi.org/10.1016/j.hrtlng.2007.05.015 

  10. Lee, J. K. (2003). The relationship of risk assessment using Braden Scale and development of pressure sore in neurologic intensive care uni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5, 267-277. 

  11. Mavrocordatos, P., Bissonnette, B., & Ravussin, P. (2000). Effects of neck position and head elevation on intracranial pressure in anaesthetized neurosurgical patients: Preliminary results. Journal of Neurosurgical Anesthesiology, 12, 10-14. http://dx.doi.org/ 10.1097/00008506-200001000-00003 

  12. Ng, I., Lim, J., & Wong, H. B. (2004). Effects of head posture on cerebral hemodynamics: Its influences on intracranial pressure, cerebral perfusion pressure, and cerebral oxygenation. Neurosurgery, 54, 593-598. http://dx.doi.org/10.1227/01.NEU.0000108639.16783.39 

  13. Owen, D. G., Bureau, Y., Thomas, A. W., Prato, F. S., & St. Lawrence, K. S. (2008). Quantification of pain-induced changes in cerebral blood flow by perfusion MRI. Pain, 136, 85-96. http://dx.doi.org/10.1016/j.pain.2007.06.021 

  14. Park, M. Y. (2002). Open vs closed endotracheal suction system: A hemodynamics comparison.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5. Parsons, L, C., & Wilson, M. M. (1984). Cerebrovascular status of severe closed head injured patients following passive position changes. Nursing Research, 33, 68-75. 

  16. Rising, C. J. (1993). The relationship of selected nursing activities to ICP. Journal of Neuroscience Nursing, 25, 302-308 

  17. Schwarz, S., Georgiadis, D., Aschoff, A., & Schwab, S. (2002). Effects of body position on intracranial pressure and cerebral perfusion in patients with large hemispheric stroke. Stroke, 33, 497-501. http://dx.doi.org/10.1161/hs0202.102376 

  18. Statistics Korea. (2013). Annual report on the causes of death statistics. Daejeon: Kangmunsa. 

  19. Wilson, T. D., Serrador, J. M., & Shoemaker, J. K. (2003). Head position modifies cerebrovascular response to orthostatic stress. Brain Research, 961, 261-268. http://dx.doi.org/10.1016/S0006-8993(02)03965-3 

  20. Youm, H. K., Lee, S. S., Lee, H. P., Jin, J. Y., & Choi, S. J. (2005). Essential of mechanical ventilation (Rev. ed.). Seoul: Koonja Publication.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