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모양육태도가 신입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융복합시대에 스마트 폰 의존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ing Styles on Satisfaction to College Life : The Mediating Effect of Dependency on the Smart Phone in the Era of Fusion and Convergence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121 - 129  

박순진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행정학과) ,  최서래 (동덕여자대학교 영어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양육태도와 스마트 폰 의존도변인들이 신입생들의 학교생활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대학생들이 학교생활에 만족할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며, 이를 기초로 실천적인 전략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학교생활만족도와 관련된 변인들 간의 관계와 스마트 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경로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부모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양육태도는 스마트 폰 의존도에 부적인 영향을 주었고, 스마트 폰 의존도는 대학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정적 양육태도는 스마트 폰 의존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마트 폰 의존도는 대학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스마트 폰 의존도는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와 대학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부모의 긍정적 부정적 양육태도, 스마트 폰 의존도, 대학생활만족도와 같은 변수들의 관계를 밝히고, 이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보다 더 만족할 수 있는 시사점을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the variables of parenting styles and dependency on the smart phone affect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to campus life, to seek the better ways for the college students to fit into the new environment, and to offer the practical tips based on our fin...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대학생의 스마트 폰 의존도를 매개하여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에 따르는 실천적 대안을 모색하고자한다. 위의 연구목적을 토대로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제기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학교 신입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자 하며, 이때 부모의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긍정적 양육태도와 부정적 양육태도와 대학생활만족도에 있어 스마트 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Fig. 1과 같은 모형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모형은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부모의 긍정적 양육태도가 대학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스마트 폰 의존도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좀 더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Baron & Kenny[30]가 제안한 단계에 따라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가설 설정

  • 1) 부모의 긍정적・부정적 양육태도는 대학생의 대학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생활만족도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대학생활만족도는 대학생활의 질을 평가한다는 의의가 있을 뿐 아니라 학생들의 학업, 교수와 학교에 대한 신뢰, 진로, 가치관, 문제 해결 행동방식, 대학생활 전반의 태도 체계 및 사회에서 허용되는 도덕적 규범 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1]. 이처럼 대학생활 환경에 효과적으로 적응하고 상호작용해야 하는 과정은 대학시기 동안 굉장히 중요하다.
부모 양육태도는 무엇인가? 부모 양육태도는 부모 또는 주 양육자가 자녀를 양육할 때 일반적이고 보편적으로 나타내는 내·외적 태도 혹은 행동을 포괄적으로 의미하며, 양육태도는 문화와 시대에 따라 다르게 해석 되어져 왔다[6,7]. 이러한 부모 양육태도는 자녀의 모든 면, 행동, 성격, 인지, 정서, 사회성을 형성하는데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대학생활만족도는 어떻게 분류할 수 있는가? 이는 대학의 편의시설 및 서비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고 정의하였다. 학문적 측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교수 수업방법, 수업환경, 학업난이도, 대학 이미지, 인지도, 서비스의 다양성으로 분류할 수 있고, 사회적 만족도는 기숙사, 외국인학생프로그램, 과외 활동관련 지원, 클럽활동, 스포츠 활동으로 분류하였다[2,3] 이러한 대학생활 만족도는 모든 학생들이 자신이 선택한 기준에 따른 인식평가이며, 학교생활 질을 평가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가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L. A. Pervin & D. B. Rubin. (1967). Student Dissatisfaction with College and the College Dropout: A Transactional Approach.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72, 285-295. 

  2. H. S. Park. (2009). Correlates of the Satisfaction of Chinese Students Studying in Korea. Study of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1(24), 93-118. 

  3. M. J. Sirgy, S. Grzeskowiak & D Rahtz. (2006). Quality of College Life(QCL) of Students: Developing and Validating a Measure. Social Indicators Research, 80, 343-360. 

  4. K. H. Oh. (2014). The Impacts of the Parents' rearing attitudes on the Korean and Chinese Students' Life Satisfaction and Self-Efficacy. Graduate School, Honam University Gwangju, Korea. 

  5. E. J. Kim. (2007). Effects of Self-Determination on College Freshman's Life Satisfaction. Korean Educational Psychology Association, 21(3), 539-555, 

  6. H. Y. Lee. (2000). The Relation Ship between the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of College Life and Their Mental Health. Graduate School of Edu cation, Kongju Nation al University Major in Counseling Department of Education. 

  7. S. J. Chang, S. W. Song & M. N. Cho. (2012). The Effects of Perceived Positive Parenting Attitude on Mobile Phone Dependency: The Mediating Roles of Self-Esteem and Attachment to Peer. Korea Youth Research Association, 19(5), 161-187. 

  8. T. J. Yoo & S. S. Kim. (2015). Impact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on Depression and Smartphone Addition in College Students. Journal Korean Acad Psychiatr Ment Health Nurs, 24(2), 127-135. 

  9. J. H. Jung, O. Y. Kwon & S. J. Kim (2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ing Style and School Life Adaptation on Mobile Phone Dependency among Adolescents: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eisure Activities Satisfaction.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1), 596-629. 

  10. Y. J. Yi. (2014). Original Article : The Effects of Parenting Behaviors, a Youth's Personal Characteristics during a Transition Period, and Peer Attachment, on School Life: Assessing the Mediating Effect of Cell Phone Dependence. Family and Environment Research, 52(5), 519-528. 

  11. M. J. Heo. (1999).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Ewha Women's University a Doctoral Dissertation. 

  12. K. I. Choi & M. J. Kim. (2016). An Effect of Parenting Attitude on Dependency on Mobile Phone of Youth and Mediative Effect of Peer Relationship and Academic Attitudes: Focused on Gender Difference. Forum for Youth Culture, 48, 109-133. 

  13. A. Y. Kim & J. E. Cha. (2010). Effects of Mother's Parenting Style on Their Children's Perception of Their Mothers' Parenting Behaviors, Academic Self-Efficacy, and Achievement: Mediating Role of Children's Autonomous Motivation. Education Psychology Research, 24(3), 563-582. 

  14. J. E. Cooper, J. Holman & V. A. Braithwaite. (1983). Self-Esteem and Family Cohesion: the Child's Perspective and Adjustmen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45, 153-159. 

  15. S. M. Bae. (2015).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mily Relationship, Addictive Use of Smart-phone, and Emotional Problem : Model Verification for National Adolescents. Information service policy, 22(3), 36-46. 

  16. K. E. Bae & E. H. Kim. (2007). Relationship of Family Strengths, Family Function, Ego-Identity and Depression in Adolescence.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3(3), 357-366. 

  17. K. K. Sook. (2015).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Smartphone Addiction and School Adaptation of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School Social Work, 32, 189-216. 

  18. S. J. Ju. (2014). The Effects of Smart Phone Addiction on University Students Adaptation to School Lif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Self Control. Forum for Youth Culture, 42, 97-127. 

  19. K. S. Ko, M. J. Lee & Y. E. Kim. (2012). A Research on Addictive Use of Smartphone by University Students. Digital Contents Society, 13(4), 501-516. 

  20. K. Ko. (2015). A phenomenological Case Study on the Psychological and Spiritual Conflict Resulting from Excessive Use of Smart Phones - Focused on Christian University Students Indian. Journal of Science and Technology, 8(S1), 398-404. 

  21. T. E. Shim & S. Y. Lee. (2014). The Effect of Parental Attachment and Smart Phone Use on the College Life Adjustment of Freshmen. Korean Journal of Family Welfare, 19(3), 471-487. 

  22. H. J. Jang & Y. J. Jeon. (2016). The Effect of Introversion.Extroversion and Interpersonal Satisfaction on Smart Phone Addiction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25(2), 137-152. 

  23. K. H. Hwang, Y. S. Yoo & O. H. Cho. (2012). Smart Phone Overuse and Upper Extremity Pain, Anxiety,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mong College Student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2(10), 365-375. 

  24. M. J. Kim et al. (2014). Relationship between Smart Phone Addiction, Anxiety, and Quality of Sleep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Ehwa Nursing, 48, 99-112. 

  25. H. N. Lee & S. M. Yang. (2018). Differential Effects of Parenting Styles, Psychological Traits, and Purpose of Smartphone use upon Korean Adolescents' Smart Phone Dependenc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62(5), 175-214. 

  26.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4). A Survey on Media Use behavior of Classified Smart Generation in 20s. Kisdi Stat Report, 106(25), 7-19. 

  27. J. W. Lee et al. (2013).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0 IV Business Report. Korea Institute for Youth Development, 12, 1-160. 

  28. M. Y. Huh. (1999). The Study for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Parenting Behavior Inventory' Perceived by Adolescent. Department Psychology the Graduate School of Ewha Womans University. 

  29. S. Y. Lee et al. (2002). A Study on the Use of Cell Phones and Their Influence of Cell Phones in Youths. Samsung Institute of Social and Mental Health, 2002(1). 

  30. R. M. Baron & D. A. Kenny.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5(6), 1173-118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