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기 청소년의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행동적 공격성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Results of Early Youth's Self-Esteem and Depression is Life Satisfaction : Aggression Behavior Media Effect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6, 2019년, pp.153 - 163  

서인선 (온새미로상담센터 상담실) ,  조옥선 (한세대학교 사회복지행정학과) ,  엄순옥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행동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의 강남과 강북 및 경기도 성남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일부를 선택했으며, 그 중에 초등학교 4-6학년 재학생 중인 초기 청소년 290명을 표본으로 추출하여 구조방정식을 실행하였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초기 청소년의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은 삶의 만족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공격성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행동적 공격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기 청소년의 행동적 공격성에는 삶의 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자아존중감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서는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청소년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주고, 행동적 공격성을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effect of life satisfaction on young people at an early age and the impact of media on behavioral aggressiveness during this process. To this end, a group of primary schools located in Jiangnan and Jiangbei in the Seoul area and the Nanjing Road in the c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초기 청소년들의 개인 요인인 자아존중감 및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사이에 행동적 공격성의 매개 역할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지만 이들 관계에 초점을 맞춘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이므로 이들 요인을 검증하는 것은 그 연구의 필요성이 더 높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연구를 보완하고, 최근 초기 청소년들의 우울감과 행동적 공격적 현상에 주목하여 초기 청소년의 개인 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그 과정에서 행동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에 재학하는 초등학교 4~6 학년 재학생 중 273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초기 청소년의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 및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자아존중감 및 우울감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행동적 공격성이 어떠한 매개 역할을 하는지 검증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초기 청소년들은 우리 미래사회 주역으로서 성장잠재력과 국가발전의 원동력이므로 이들의 삶의 만족도와 우울감, 자아존중감, 행동적 공격성을 검증하는 것은 매우 의미 있는 연구일 것이다.
  • 초기 청소년기에 대한 정의는 연구자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기본법을 기준으로 연구 보고한 Jung[4]의 연구를 참고하여 9세에서 13세까지를 초기 청소년으로 정의하였다.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 중 스스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11-13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이후 시기의 삶의 만족도를 높여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들의 삶의 만족도를 검증함에 있어서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영향요인과 행동적 공격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연구목적으로 하였다. 하지만 특정 지역 초기 청소년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는 점과 일정 시점을 기준으로 한 횡단 연구를 하였다는 점에서 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제한점이 있다.
  • Lee[36]는 초등학생용 공격성 척도를 개발하였으며, 하위요인은 행동적 공격성(16문항), 분노감(6문항), 적대감(8문항)으로 분류되어 있다. 이 척도는 총 30문항으로 이루어졌지만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행동적 공격성을 묻는 16문항을 선택하여 이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기 청소년기는 무엇인가? 여기에서 초기 청소년기이란 아동기에서 청소년기로 이행되는 과도기로 학교 교육과 또래 집단과의 경험을 통해 기본적인 기술과 능력을 습득하며 호기심이 많고 정서적으로 매우 민감하며 충동성이 강한 시기이다[3].
초기 청소년 관련 교육 정책의 바람직한 방향은 무엇인가? 따라서 초기 청소년 시기에는 성적 위주나 성취 주의 형식의 경쟁적 교육 정책이 아닌 그들이 자신의 재능과 끼를 마음껏 펼칠 수 있고 자유롭게 적정한 사회관계, 또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교과과정과 더불어 오락 활동, 여가활동, 취미활동을 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이 개선되어야 한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 차원의 초기 청소년 관련 교육 정책이 우선적 으로 개선할 것이 요구된다.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은 어떤 특성을 갖는가? 자아존중감이 높은 사람들은 정서나 감정 조절능력이 향상되고 또래 관계 조절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이 높고, 공격성은 낮아진다[10]. 자아존중감은 초기 청소년의 미래에 대해서 얼마나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평가하는지에 대한 지표로서 이후 삶을 얼마나 긍정적으로 만족하며 살아가고 자신을 얼마나 사랑하며 살아갈 수 있는지 하는 문제와 연관이 매우 높다는 연구보고가 있으며, 심리적·정신적인 측면을 살피는데도 매우 중요하고 유용한 개념이다[11,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J. H. Shim & K. H. Yi. (2018). A longitudinal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the Life Satisfaction among Adolescrnts : Focusing on Gender and Academic Characteristics.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24(1), 199-225. 

  2. J. S. Oh & I. J. Chung. (2017). Child Welfare(3rd ed.). Seoul: Hakjisa. 

  3. J. E. Jung, K. S. Kim & H. S. Kwak. (2018). The Longitudinal Relationship Formation. Career Maturity, Sence of Communitt of Adolescents. The Journal of Korea Elementary Education, 29(1), 35-58. 

  4. O. B. Jung. (1998). Adolescence: an Introduction. Seoul: Hakjisa. 

  5. E. H. Erikson.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6. J. Piaget. (1983). Piaget's Theory. In P. H. Mu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1, 294-356. New York: Wiley. 

  7. S. Coopersmith. (1981).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2nd ed.).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8. S. Hater. (1983). Development Perspectives on the Self-System. In E. M. Hetherington(Ed.), P. H. Mussen(Series 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Vol.4): Socialization, Personality, and Social Development. New York:Wiley. 

  9. M. Rosenberg. (1985). Self-Concept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The development of the self, 1, 205-246. 

  10. K. A. Lee. (2015). Exloratory Study on Improvement Programs of Self-esteen and Emotion Regulation Ability for Adolescents. Department of Brain Education, University of Brain Education. 

  11. H. S. Shin, E. J. Lee, L. H. Yu & M. Y. Bae. (2010).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lf-Esteem in the Relations between Competence and Aggression. Korean Journal of Studies, 17(4), 103-125. 

  12. E. S. Jeong & J. Y. Lee. (2014).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elf-esteem Youth-Fousing on Gender Difference. Korea Welfare Panel Study Confarence, 7(2014), 473-489. 

  13. S. O. Yum & J. W. Moon. (2017). The Effect of Socioeconnomic Deprivation Experience of Middle and Old Age Group on Depression-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Family Conflict. Korea Care Management Research, 25(2017), 53-76. 

  14. H. S. Kim & H. S. Kim. (1997).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mily Environment And Character Trait Among Delinquent Adolescents In Korea. Pediatric Adolescent Psychiatry, 8(1), 57-69. 

  15. H. Y. Kim. (2000). The Relation between the Mental Health and the Delinquency of Adolescent under Probation and the Influence of Parenting.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hild Welfare, 10, 9-31. 

  16. T. S. Kim & C. Y. Kang. (2008). Depression and Aggression of High School Student. Psychotherapy, 8(1), 85-100. 

  17. J. Y. Ju. (2009).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Anger Expression Mode, Depression and Aggression in High School Students. Study on Student's Life, 22, 73-95. 

  18. J. Puig-Antich. (1982). Major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 in Prepubert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1(2), 118-128. 

  19. H. K. Kim & D. M. Capaldi. (2004). The Association of Antisocial Behavior and Depressive Symptoms between Partners and Risk for Aggression in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8, 82-96 

  20. A. D. Marshall, A. Holtzworth-Munroe, J. E. Bates, D. Alexander & K. A. Dodge. (2002). Alongitudinal Analysis of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Disorders among Male and Femaleperpetrators of Dating Violence. In C. N. Farr (Chair), Bi-Directional Dating Violence: Conceptual and Empirical Findings. Symposium Conducted at the Meeting of the Association for Advancement f Behavior Therapy, Reno, NV. 

  21. L. A. Kirkpatrick, C. E. Waugh, A. Valencia & G. D. Webster. (2002). The Functional Domain Specificity of Self-Esteem and the Differential Prediction of Aggression. Journal Pers Soc Psychol, 82, 756-767. 

  22. G. D. Webster & L. A. Kirkpatrick. (2006). Behavioral and Aelf-Reported Aggression as a Function of Domain-Specific Self-Esteem. Aggressive Behavior, 32, 17-27. 

  23. S. Y. Kim. C. R. Nho & Y. K. Son. (2016). The Effects of Adolescent's Mobile Phone Dependency on Depression and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enting Attitudes and Peer Relationship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47(3), 251-277. 

  24. M. S. Ha. (2019). Latent Class Transision Patterens and Influence Variables According to Longitudinal Development of Adolescent Aggression and Depression. Middle Education Reserchon, 67(1), 123-154. 

  25. C. A. Anderson & B. J. Bushman. (2002). Human Aggression. Psychology, 53(1), 27-51. 

  26. M. K. Keiley, N. Lofthouse, J. E. Bates, K. A. Dodge & G. S. Pettit. (2003). Differential Risks of Covarying and Pure Components in Mother and Teacher Reports of Externalizing and Internalizing Behavior Across Ages 5 to 14.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31(3), 267-283. 

  27. N. R. Marmorstein & W. G. Iacono. (2001). An Investigation of Female Adolescent Twins with Both Major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40(3), 299-306. 

  28. O. B. Jung. (1998). Adolescence: an Introduction. Seoul: Hakjisa. 

  29. E. H. Erikson. (1968).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Norton 

  30. J. Piaget. (1983). Piaget's Theory. In P. H. Mussen(Ed.).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Vol. 1, pp. 294-356). New York: Wiley. 

  31. J. M. Sung. (2016). The Longitudinal Factors on Depression in Korea Adolescents. Korean Association Of Adolescent Welfare, 18(4), 93-111. 

  32. M. Rosenberg. (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 Image, Conceiving the Self. New York: Basic Book Inc. 

  33. Korea University Institute of Behavioral Sciences. (2000). Psychogram Handbook I, Seoul: Hakjisa. 

  34. Korea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https://www.nypi.re.kr. 

  35. K. L. Kim, J. H. Kim & H. T. Ho. (1984). Brief Psycho-Diagnosis Examination Guidelines. Seoul: Central Institute of Integrity. 

  36. E. A. Lee & S. M. Cheon.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ggression Scal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5(3), 477-495. 

  37. S. Y. Kim, J. T. Im, S. O. Kim, S. H. Park, S. L. Yoo, J. Y. Choi & G. Y. Lee. (2006). Youth Development Indicators Survey 1, Verification of Measurement Indicators in Results. The Korea Youth Development Institute. 

  38. Y. H. Ju. (2019). Developmental Trajectory of Adolescents' Self-Esteem in Single-Parent Family Predictors. Journal Youth Welfare, 21(1), 135-164. 

  39. H. M. Jin, B. S. Park & S. W. Bae. (2011). The Imformal of Labeling, Self-Esteem, Depression, and Aggression on Delinquency-Focusing on Path Analysis. Journal Adolescent Welfare, 13(2), 121-148. 

  40. S. G. Lee. (2017).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of the Dream Start Program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hild Welfare, 59, 115-150. 

  41. S. H. Hong, S. O. Jung, Y. L. You, J. I. Kim & J. E. Han. (2019). The Performance, Success Factors, and Limitations of the Dream- Start Program in G-City, Gyeonggi-do : A Qualitative Study Using Focus Group Interview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hild Welfare, 65, 89-12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