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독성시험관리기준 적용 갈근탕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Test of Galgeun-tang Applied to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27 no.3, 2019년, pp.173 - 185  

노종현 (한약진흥재단) ,  장지훈 (한약진흥재단) ,  이무진 (한약진흥재단) ,  양버들 (한약진흥재단) ,  우경완 (한약진흥재단) ,  이현주 (한약진흥재단) ,  김아현 (한약진흥재단) ,  심미옥 (한약진흥재단) ,  조현우 (한약진흥재단) ,  정호경 (한약진흥재단)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Galgeun-tang used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is a mixture of the medicinal plants Cinnamomi Ramulus, Ephedrae Herba and Puerariae Radix, and has been prescribed for the treatment of various ailments, including fever. Although the use of traditional medicinal herbs to treat diseases ...

주제어

표/그림 (1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관리기준 (식품의약품안전처 고시 제2014-136호)”에 따라 갈근탕의 안전성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공유하여 갈근탕의 안전한 처방 및 복용에 이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갈근탕은 무엇인가? 갈근탕은 계지 (Cinnamomi Ramulus), 마황 (EphedraeHerba), 대추 (Zizyphi Fructus), 감초 (Glycyrrhizae Radix etRhizoma), 작약 (Paeoniae Radix), 갈근 (Puerariae Radix) 및 생강 (Zingiberis Rhizoma Crudus)의 복합제제이다. 현재까지 갈근탕은 몸살감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항진작용, 면역증진 및 부종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Son et al.
갈근탕의 효능은 무엇인가? 갈근탕은 계지 (Cinnamomi Ramulus), 마황 (EphedraeHerba), 대추 (Zizyphi Fructus), 감초 (Glycyrrhizae Radix etRhizoma), 작약 (Paeoniae Radix), 갈근 (Puerariae Radix) 및 생강 (Zingiberis Rhizoma Crudus)의 복합제제이다. 현재까지 갈근탕은 몸살감기에 사용되고 있으며 항진작용, 면역증진 및 부종개선 효과를 가진다고 알려져 있다 (Son et al.,2011).
갈근탕 반복투여로 인한 부작용 성분들의 특징은? 요검사에서 갈근탕 반복투여에 따라 요단백과 빌리루빈이증가되었는데, 요비중이 높은 상태에서 매우 증가된 요단백은 독성학적 의미가 있을 수 있으나 시험결과에서 요단백 상승량이 매우 낮았고 요비중에 변화 처리 농도대비 유의적이지 않았음에 따라 독성학적 의미가 없었다. 또한 빌리루빈은 우로빌리노겐과 함께 증가되어야 간성원인으로 간주하고, 빌리루빈 자체의 증가는 담낭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지만 갈근탕 투여에 의한 빌리루빈 증가는 수치가 유의적으로 증가했으나 양이 미미하고 회복기간에 정상으로 회복되는 것으로 보아 관련 장기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Kim et al., 201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macher DE, Schomaker SJ and Burkhardt JE. (1998). The relationship among microsomal enzyme induction, liver weight and histological change in rat toxicology studies.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36:831-819. 

  2. Bickers D, Calow P, Greim H, Hanifin JM, Rogers AE, Saurat JH, Sipes IG, Smith RL and Tagami H. (2005). A toxicologic and dermatologic assessment of cinnamyl alcohol, cinnamaldehyde and cinnamic acid when used as fragrance ingredients: The RIFM expert panel. Food and Chemical Toxicology. 43:799-836. 

  3. Chung HJ, Chung MJ, Houng SJ, Jeun J, Kweon DK, Choi CH, Park JT, Park KH and Lee SJ. (2009). Toxicological evaluation of the isoflavone puerarin and its glycosides. European Food Research and Technology. 230:145-153. 

  4. Dietze S, Lees KR, Fink H, Brosda J and Voigh JP. (2016). Food deprivation, body weight loss and anxiety-related behavior in rats. Animals. 6:E4. https://doi.org/10.3390/ani6010004 (cited by May 18). 

  5. Ha HK, Lee JK, Lee MY, Lim HS and Shin HK. (2013). Galgeun-tang, an herbal formula, ameliorates atopic dermatitis responses in dust mite extract-treated NC/Nga mice. Journal of Korean Medicine. 34:1-11. 

  6. Jin Y, Wu H, Cohen EM, Wei J, Jin H, Prentice H and Wu JY. (2007). Genistein and daidzein induced neurotoxicity at high concentrations in primary rat neuronal cultures. Journal of Biomedical Science. 14:275-284. 

  7. Ki SH, Kim HJ, Ko SG and Song YK. (2016). Anti-obesity effects of Galgeun-tang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mice model. Journal of Korean Medicine Rehabilitation. 26:13-28. 

  8. Kim YH, Cho KH, Ko BJ and Han BD. (2012). The interpretation of urinalysis and its clinical applications. Korean Journal of Family Practice. 2:214-220. 

  9. Kim YJ, Kim OS, Seo CS, Lim HS, Yoo SR, Jeon WY, Jin SE, Shin IS, Kim JH, Shin NR, Kim SS, Lee MY, Jeong SJ, Ha HK and Shin HK. (2012). Study on comparison of ingredient quantitie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Galgeun-tang according to extraction solvent. Korean Journal of Oriental Physiology & Pathology. 26:908-914. 

  10. Lamartiniere CA, Wang J, Smith-Johnson M and Eltoum IE. (2002). Daidzein: Bioavailability, potential for reproductive toxicity, and breast cancer chemoprevention in female rats. Toxicological Sciences. 65:228-238. 

  11.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NIFDSE). (2012). Manual of toxicity study standard to drugs. National Institute of Food and Drug Safety Evaluation. Cheongju, Korea. p.10. 

  12. Nho JH, Lee MJ, Jung HK, Jang JH, Sim MO, Jang MC, Yong JH, Se HS, An BK, Kim JC and Cho HW. (2018). A 26-week repeated oral dose toxicity test and a 4-week recovery test of Cassia tora L. water extract in sprague-dawley rat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26:157-169. 

  13. Oh JM, Jo JH, Kim BH and Kim SK. (2006). Single dose toxicity study of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extract in mice.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Toxicology. 21:331-335. 

  14.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1). OECD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France. p.4. 

  15.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2000). Guidelines for the testing of chemicals revised draft guideline 423, acute oral toxicity.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Paris, France. p.14. 

  16. Seo CS, Kim JH and Shin HK. (2010).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albiflorin, cinnamaldehyde, cinnamic acid, daidzin, glycyrrhizin, liquiritin, paeoniflorin and puerarin in Galgeun-tang by HPLC-PDA. Journal of Korean Medicine. 31:8-15. 

  17. Shim KS, Park H, Lee JH, Ma CJ, Choi SU, Lee JH and Ma JY. (2011). Inhibitory effect of Galgeun-tang on RANKL-induc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bone loss in ovariectomized rats. Biotechnology and Bioprocess Engineering. 16:158-166. 

  18. Son CY, Song BJ, Ma JY and Kwon KI. (2011). Anti-platelet aggregation study of fermented Galgeun tang and fermented Ssanghwa tang. Yakhak Hoeji. 55:374-378. 

  19. Yun YJ, Shin BC, Lee MS, Cho SI, Shin WJ, Park HJ and Lee HJ. (2009). Korean herbal medicine on liver function: A systematic review in Korean literature. Korean Journal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30:153-17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