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업부산물을 활용한 LCD 유리 미분말 혼입 콘크리트의 황산염침식 저항성
Resistance to Sulfate Attack of Concrete Containing LCD glass powder Using Industrial By-product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5 no.2 = no.44, 2019년, pp.239 - 248  

김성겸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Daegu University) ,  송재호 (Department of Civil Engineering, Kumoh National Institute of Technolog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LCD 미분말의 혼입을 통해 기존의 OPC 콘크리트와 비교하여 황산염 침식 저항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LCD 미분말의 치환율을 0-15%로 설정하여 콘크리트의 압축강도공극률을 포함한 기초물성을 평가하고, 두 종류의 황산 용액 침지에 따른 중량, 부피 및 강도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LCD 미분말을 5% 치환한 경우 재령 28일에서 가장 높은 압축강도를 보였고, 특히 OPC과 비교하여 감소된 모세관 공극률은 $Na_2SO_4$ 용액에 침지한 실험결과에서 가장 적은 중량, 부피 및 압축강도 감소율을 나타냈다. 반면, $MgSO_4$에 노출된 경우, LCD 혼입은 OPC에 비해 높은 황산염 침식 저항성을 나타냈지만 혼입률에 따른 차이는 미비하였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LCD 미분말 혼입에 따른 황산염 침식 저항성을 비교하였고, 해당 재료의 치환 범위 확대 및 수화물 조성 변화 분석을 동반한 장기 검증을 통해 LCD 사용가능성을 제고해야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s to enhance the resistance against sulfate attack compared to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concrete by using liquid crystal display (LCD) as binder. Method: The fundamental properties including compressive strength and porosity of concrete replaced by LCD up to 15% at incr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용액에 침지하여 화학적 침식의 영향을 압축강도, 부피 및 중량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LCD 폐유리를 사용함으로써 황산염에 대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피해를 저감하고 콘크리트의 내구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황산염 저항성을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 구조물의 황산염 침식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산업폐기물 중 LCD 분말을 혼화재로써 사용하여 압축강도, 공극구조를 포함한 콘크리트 기초 물성과 두 종류의 황산 용액에서의 중량, 부피 및 강도 변화를 측정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에 따라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특수한 환경의 콘크리트 내구성이 왜 구조적 문제를 일으키는가? 따라서 콘크리트 구조물은 설계 시 노출된 환경으로부터 얼마나 안전하게 사용 가능할지에 대한 내구성 측면의 고려가 동반되어야 한다. 그러나 특수한 환경을 갖는 해양구조물, 폐수처리 시설 등에서 콘크리트 내구성은 염해 및 황산염과 같은 화학적 침식으로부터 열화가 상대적으로 쉽게 발생되어 종종 구조적 문제를 일으킨다(Liu et al., 2017; Yoshida et al.
황산이온을 포함한 황산염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이러한 황산염은 크게 황산나트륨(Sodium sulfate)과 황산마그네슘(Magnesium sulfate)을 예를 들을 수 있으며 흔하게 흙과 물속에도 용해상태로 존재하고 산업과정에서도 쉽게 발생이 가능하다. 황산염에 의한 침식으로 콘크리트 내부구조는 시멘트에 의한 수화물보다 더 큰 부피를 갖는 에트린자이트(Ettringite, Ca6Al2(SO4)3(OH)12·26H2O)와 석고(Gypsum, CaSO4)가생성되고 이로 인한 팽창균열이 연속적인 화학반응으로 구조물의 열화를 가속시키며 강도와 내구성의 저하를 초래한다(Metha,1983).
콘크리트 재료의 기술발전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건설재료로써 성능과 품질향상을 추구하는 콘크리트 재료의 기술발전은 근래 구조물의 대형화, 고층화 및 다기능화를 가능케 하였으며 각종 재해와 재난으로부터 인간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으로부터 콘크리트 구조물은 열악한 환경과 조건 속에서도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설계, 시공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Aligizaki, K.K. (2006). Pore structure of cement-based materials-Testing, interpretation and requirements. CRC Press, Florida, USA. 

  2. Bae, S., Park, J., Lee, K. (2010). "Influence of mineral admixtures on the resistance to sulfuric acid and sulfate attack in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2, No. 2, pp. 219-228. 

  3. Bonen, D. (1992). "Composition and appearance of magnesium silicate hydrate and its relation to deterioratino of cement-based materials." Journal of the American Ceramic Society, Vol. 75, No. 10, pp. 2904-2906. 

  4. Haynes, H., O'Neill, R., Neff, M., Mehta, P.K. (2008). "Salt weathering distress on concrete exposed to sodium sulfate environment." ACI Materials Journal, Vol. 105, No. 1, pp. 35-43. 

  5. Kim, M., Baek, D. (2007). "Unit weight and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s using crushed sand under sulfate attac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7, No. 4-A, pp. 585-591. 

  6. Kim, S.K., Kang, S.T., Kim, J.K., Jang, I.Y. (2017).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cement replacement of LCD glass powder in concrete."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017, pp. 1-12. 

  7. Kim, S., Hanif, A., Jang, I. (2018). "Incorporating Liquid Crystal Display (LCD) Glass Waste as Supplementary Cementing Material (SCM) in Cement Mortars-Rationale Based on Hydration, Durability, and Pore Characteristics." Materials, Vol. 11, No. 12, pp. 1-14. 

  8. Kim, S., Jang, P., Jang, I. (2017). "Material bahaviour and strength character of 150 MPa ultra high strength concrete using LCD glass powder as fine aggrega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9, No. 6, pp. 615-623. 

  9. Kim, S., Lee, K., Song, J., Jang, I. (2018). "Durability performance evaluations on resistance to chloride attack for concrete using LCD waste glass powder." Journal of the Korean Recycled Construction Resources Institute, Vol. 4, No. 4, pp. 289-296. 

  10. Lee, S.k., Kang, L., Lee, C.G., Hong, M.H. (2013). "Disassembly and Compositional, Analysis of Waste LCD Displays." Journal of the Korean Resources Recycling, Vol. 22, No. 2, pp. 29-36. 

  11. Lee, S. (2009). "Magnesium sulfate attack and deterioration mode of matakaolin blended cement matrix."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1, No. 1, pp. 21-27. 

  12. Liu, Z., Zhang, F., Deng, D., Xie, Y., Long, G., Tang, X. (2017). "Physical sulfate attack on concrete lining-A field case analysis." Case Studies in Construction Materials, Vol. 6, pp. 206-212. 

  13. Mangat, P.S., Khatib, J.M. (1995). "Influence of Fly Ash, Silica Fume, and Slag on Sulfate Resistance of Concrete," ACI Materials Journal, Vol. 92, No. 5, pp. 542-552. 

  14. Mehta, P.K. (1983). "Mechanism of Sulfate Attack on Portland Cement Concrete-Another Look." 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13, pp. 401-406. 

  15. Moon, H., Lee, S., Kim, H., Kim, S. (2002). "Evaluation on the resistance of Portland cement mortars due to chemical attack."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2, No. 1-A, pp. 181-191. 

  16. Moon, H.Y., Jeon, J.K., Kim, H.S. (2005). "Resistance on the sulfuric acid corrosion of cement matrix containing mineral admixtur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25, No. 1-A, pp. 225-232. 

  17. Narayanan, N. (2008). "Quantifying the effects of hydration enhancement and dilution in cement pastes containing coarse glass powder."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Vol. 6, No. 3, pp. 397-408. 

  18. Park, K., Cho, Y., Shin, D. (2017). "Effects of magnesium and sulfate ions on the sulfate attack resistance of alkali-activated materials."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Vol. 29, No. 4, pp. 415-424. 

  19. Santhanam, M., Cohen, M.D., Olek, J. (2003). "Mechanism of Sulfate Attack : A Fresh Look Part 2 : Proposed Mechanisms."Cement and Concrete Research, Vol. 33, No. 3, pp. 341-346. 

  20. Seo, Y. (2015). "Characterization of high concentration PM2.5 by nitrate and ammonium ions of PM2.5 in Seou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Administration, Vol. 21, No. 1, pp. 1-7. 

  21. Shin, D., Kang, L., Park, J.L., Lee, C.G., Yoon, J., Hong, H.S. (2015). "Current research trend on recycling of waste flat panel display panel glass."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Resources Recycling, Vol. 24, No. 1, pp. 58-65. 

  22. Wee, T.H., Suryavanshi, A.K., Wong, S.F., AnisurRahman, A.K.M. (2000). "Sulfate Resistance of Concrete Containing Mineral Admixtures." ACI Materials Journal, Vol. 97, No. 5, pp. 536-549. 

  23. Yang, H.J., Jin, S.H., Ann, K.Y. (2016). "Chloride transport of high alumina cement mortar exposed to a saline solution."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016, pp. 1-8. 

  24. Yoshida, N., Matsunami, Y., Nagayama, M., Sakai, E. (2010). "Salt weathering in residential concrete foundation exposed to sulfate-bearing ground." Journal of Advanced Concrete Technology, Vol. 8, No. 2, pp. 121-134. 

  25. Zheng, K. (2013). Eco-efficient concrete-11. Recycled glass concrete. Woodhead publishing, Cambridge, UK. 

  26. Zhou, Y., Tian, H., Sui, L., Xing, F., Han, N. (2015). "Strength deterioration of concrete in sulfate environment: An experimental study and theoretical modeling." Advances in Materials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015, pp. 1-1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