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의 혁신특성, 테크노스트레스가 혁신저항 및 수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공공부문 도입을 중심으로
Effects of Innovation Characteristics of Cloud Computing Services, Technostress on Innovation Resistance and Acceptance Intention: Focused on Public Sector 원문보기

지식경영연구 = Knowledge Management Research, v.20 no.2, 2019년, pp.59 - 86  

신우찬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  안현철 (국민대학교 비즈니스IT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evolves, not only private companies but also government agencies and institutions in public sector are adopting cloud computing services converged by new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IoT,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to strengthen competitiven...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초기비용이 저렴한 이유는 무엇인가? 즉,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인터넷을 이용해 서버, 스토리지, 소프트웨어 등을 임대하여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만을 서비스 제공자에게 지급하는 컴퓨팅 방식을 의미한다. 따라서 서버와 같은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를 구매하지 않고 사용한 만큼의 비용만 지불하기 때문에 지속적이지만 초기 비용이 매우 저렴하다는 특징이 있다.
표준으로 정의된 서비스 유형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가상공간에 공유된 컴퓨팅 자원들(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등)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는 온디맨드(on-demand) 방식의 네트워크 접속 모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표준으로 정의된 서비스 유형은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플랫폼 서비스(PaaS:Platform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Software as a Service) 등이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서비스는 그 활용이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2011년부터 지속적으로 매년 Gartner의 10대 전략 기술 트렌드로 자리매김할 정도로 매우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이다(Chou 2015).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는 무엇인가? 클라우드 컴퓨팅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급변하고있는 정보생태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보통신 기반기술 중 하나이다. 미국국립표준기술연구소(NIST)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가상공간에 공유된 컴퓨팅 자원들(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 및 서비스 등)을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고 빠르게 활용할 수 있는 온디맨드(on-demand) 방식의 네트워크 접속 모델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표준으로 정의된 서비스 유형은 인프라스트럭처 서비스(IaaS:Infrastructure as a Service), 플랫폼 서비스(PaaS:Platform as a Service),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Software as a Service) 등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