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년남성의 직업에 따른 영양섭취실태와 건강지표의 비교 - 2013년~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
Nutrients Intake and Health Indices by Occupation in Middle-Aged Men -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2016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2 no.3, 2019년, pp.216 - 225  

허은실 (창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s intake, health indices, and prevalence of chronic diseases by occupation in middle-aged men, using results from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their occupation (Office worker (OW) and...

Keyword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3년~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직업적 특성이 다른 40~60세 중년남성 사무종사자와 농어업종사자 간에 영양소 섭취, 식행동, 건강지표, 만성 질환 유병률을 비교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중년기 남성에서 직업에 따른 영양과 건강관리를 위한 차별화된 전략을 세우 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2013년~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에서 직업적 특성이 다른 40~60세 중년남성 사무종사자와 농어업종사자를 대상으로 영양소 섭취, 건강지표, 만성질환 유병률을 비교한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결과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횡단면적 연구이어서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렵고, 직업에 종사한 기간을 고려하지 못하였지만, 대상자 선정에서 교란인자를 제외 하였고, 통계분석에서도 보정함으로써 직업과 영양소 섭취, 건강지표, 만성질환 유병률의 차이를 독립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사무종사자와 농어업종사자 간에 영양소 섭취와 건강지표, 만성질환 유병률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는데, 이 결과들을 고려하여 사무종사자 대상으로는 간편하게 먹을 수 있는 아침식사, 건강한 외식, 적절한 음주, 체중과 혈압관리와 같은 교육이 필요하겠고, 농어업종사자는 적절한 영양소 섭취, 금연과 운동, 만성질환 예방과 관리법에 대한 교육이 행해져야 하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년기란? 중년기는 생애주기에서 청년기와 노년기 사이의 40~60세까지를 말한다(Doopedia 2019). 2017년 현재 우리나라 중년기 인구는 16,950,788명(남성: 10,156,463명, 여성: 8,559,590명)이며, 전체 인구의 33.
우리나라 중년기 인구는 얼마인가? 중년기는 생애주기에서 청년기와 노년기 사이의 40~60세까지를 말한다(Doopedia 2019). 2017년 현재 우리나라 중년기 인구는 16,950,788명(남성: 10,156,463명, 여성: 8,559,590명)이며, 전체 인구의 33.0%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8). 중년남성은 정신적 측면에서 심한 정서적 갈등과 불안을 겪으며, 경제적 측면에서는 경력과 지위에 맞는 여유가 생기지만 자녀의 교육과 결혼 등으로 지출이 수입을 초과하기도 한다(Shin & Cho 2011).
우리나라 중년남성의 사회적 측면에서의 모습은 어떠한가? 중년남성은 정신적 측면에서 심한 정서적 갈등과 불안을 겪으며, 경제적 측면에서는 경력과 지위에 맞는 여유가 생기지만 자녀의 교육과 결혼 등으로 지출이 수입을 초과하기도 한다(Shin & Cho 2011). 사회적 측면에서는 중간관리자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른 연령층보다 심리적 스트레스가 많고, 흡연, 음주, 외식을 자주하며, 휴식과 운동부족 등의 이유로 건강위험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리고 신체적 측면에서는 노화에 따른 호르몬 변화와 기초대사량의 감소로 인하여 특히 중년남성에서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만성질환 유병률이 크게 증가하므로 (Jang 등 2006; Park JO 2018) 중년남성의 건강관리는 매우 중요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Ahn YS, Lim HS. 2007. Occupational diseases among 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workers approved by Korea labor welfare corporation. Korean J Occup Environ Med 19:1-16 

  2. Chae DH, Kim SH, Lee CY. 2013.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influencing factors of office workers' physical activity.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4:273-281 

  3. Dallongeville J, Cottel D, Feffieres J, Arveiler D, Bingham A, Ruidavets JB, Haas B, Ducimetiere P, Amouyel P. 2005. Household income is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 sex-specific manner. Diabetes Care 28:409-415 

  4. Doopedia. 2019. Definition of midlife. Available from https://terms.naver.com/search.nhn?query%EC%A4%91%EB%85%84%EA%B8%B0&searchTypetext&dicType&subject[cited 17 May 2019] 

  5. Committee for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yslipidemia 2015. 2016. Korean Guidelines for Management of Dyslipidemia. Korean Circ J 46:275-306 

  6. Eun KS. 2018. Socioeconomic status and obesity: A comparison of urban and rural areas in Korea, 2010-2015. J Rural Sociol 28:151-192 

  7. Her ES. 2016. Metabolic syndrome risk by dietary fat energy ratio in middle-aged men: Using the 2012-2013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Korean J Food Nutr 29:1030-1039 

  8. Hodgson JM, Burke V, Beilin LJ, Puddey IB. 2006. Partial substitution of carbohydrate intake with protein intake from lean red meat lowers blood pressure in hypertension persons. Am J Clin Nutr 83:780-787 

  9. Hong YH, Lee EH, Lim HS, Chyun JH. 2015. Dietary habits and the perception and intake of health functional foods in male office workers by age. J East Asian Soc Diet Life 25:340-351 

  10. Jang JI, Kim CH, Shin HC, Park YW, Sung EJ, Lee EJ, Choi DH, Paik YJ, Kim AJ.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risk appraisal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middle-aged men. J Korean Acad Fam Med 27:534-539 

  11. Jang KH, Park WJ, Kim MB, Lee DK, Chae HJ, Moon JD. 2011. Comparison of cardiovascular disease status between large scale industry office and self employed male workers. Korean J Occup Environ Med 23:130-138 

  12. Kahn R. 2003.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6:3160-3167 

  13. Kang SH, Hwang SY. 2016. Influence of occupational type and lifestyle risk factors on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mong male workers: A retrospective cohort study. Korean J Adult Nurs 28:180-190 

  14. Kim E, Oh SW. 2012. Gender differences in the association of occupation with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Korean J Obes 21:108-114 

  15. Kim EK, Lee JS, Hong HO, Yu CH. 2009. Association between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dietary carbohydrates and diabetes from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5. Korean J Nutr 42:622-630 

  16. Kim GR, Park HR, Lee YM, Lim YS, Song KH. 2017. Comparative study on prevalence and components of metabolic syndrome and nutritional status by occupation and gender: Based on the 2013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50:74-84 

  17. Kim SJ, Choi MK. 2014. Factors associated with fruit and vegetable consumption of subjects having a history of stroke: Using 5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0, 2011). Korean J Community Nutr 19:468-478 

  18. Kim YH, Park RJ, Park WJ, Kim MB, Moon JD. 2009. Predictors of metabolic syndrome among shipyard workers and its prevalence. Korean J Occup Environ Med 21:209-217 

  19. Kim, MG, Kim, KY, Nam, HM, Hong, NS, Lee, YM.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sodium intake in Korean middle-aged workers. J Korea Acad Ind Coop Soc 15:2923-2929 

  20. Koo S, Park K. 2013. Dietary behaviors and lifesty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frequent eating out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42:705-712 

  21.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sub04/sub04_03.do?classType7 [cited 1 April 2019] 

  22.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9. Evaluation and diagnosis of obesity. Available from http://general.kosso.or.kr/html/?pmodeobesityDiagnosis [cited 17 May 2019] 

  23. Lee MA, Lee EJ, Soh HK, Choi BS. 2011. Analysis on stress and dietary attitudes of male employees. Korean J Community Nutr 16:337-352 

  24. Lee MS, Kwak CS, Kwon, IS. 2004.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mong obese, overweight and normal subjec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9:292-302 

  25. Lee SM, Oh AR, Ahn HS. 2008. Major dietary pattern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socio-demographic, psychological and physical factors among generally healthy Korean middleaged women. Korean J Community Nutr 13:439-452 

  26.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nd ed. pp.2-11 

  27. Na DW, Jeong E, Noh EK, Chung JS, Choi CH, Park J. 2010. Dietary factors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men. J Agric Med Community Health 35:383-394 

  28. Nam SM, Ha EH, Suh YJ, Park H, Chang MH, Seo JH, Kim BM. 2008. Effect of obesity and blood lipid profiles on hyperlipidemia in adults aged over 40 years. Korean J Obes 17:20-28 

  29. Park HA, Kim YS, Sun WS. 2006. Risk factors of hypertension among Korean adults. J Korean Acad Fam Med 27:917-926 

  30. Park JO. 2018. Analysis of comparisons of eating-out, dietary lifestyles,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ies among middleaged consumers according to obesity status and gender for implications of consumer education. J Nutr Health 51:60-72 

  31. Seo KM. 2003.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in male office workers. J Korean Community Nurs 14:95-105 

  32. Shin GS, Cho SS. 2011. Effects of the occupation and activity nature of the middle-aged on retirement preparation. J Korea Contents Assoc 11:296-312 

  33. Son SM, Huh GY. 2006. Dietary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hypertension in pati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1:661-672 

  34. Statistics Korea 2018. A district (military region)/1-year-oldper resident population.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M1&vw_cdMT_ZTITLE&list_idA6&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cited 8 March 2018] 

  35. Suh I, Oh KW, Lee KH, Psaty BM, Nam CM, Kim SI, Kang HG, Cho SY, Shim WH. 2001. Moderate dietary fat consumption as a risk factor for ischemic heart disease in a population with a low fat intake: A case-control study in Korean men. Am J Clin Nutr 73:722-727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