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중년남성에서 밀가루음식 섭취빈도에 따른 영양소 섭취와 건강지표 -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
Nutrients Intake and Health Indices by Intake Frequency of Wheat-based Foods in Middle-aged Men -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13~2015 -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31 no.6, 2018년, pp.783 - 791  

허은실 (창신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nutrients intake, eating behavior, and health indices according to intake frequency of wheat-based foods, using results from the 2013~201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Subjects were 882 men age 40~64. According to intake frequency of whea...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결과는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한 횡단면적 연구이어서 인과관계를 밝히기 어렵고, 밀가루음식 섭취량이 아닌 섭취빈도만을 가지고 연구를 행했다는 제한점이 있다. 그러나 대상자 선정에서 교란인자를 제외하였고, 통계분석에서도 보정함으로써 밀가루음식 섭취빈도와 영양소 섭취, 건강지표와의 차이를 독립적으로 측정하고자 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밀가루음식의 섭취가 계속 증가되고 있어 이에 대한 우려가 있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6기(2013~2015년) 국민건강영양 조사 결과에서 중년남성의 식품섭취빈도조사결과를 활용하여 밀가루음식 섭취빈도에 따른 건강관련요인, 영양소 섭취, 식행동, 건강지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변화하고 있는 우리나라 주식패턴이 영양소 섭취와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본 연구는 제6기(2013년~2015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 중에서 중년남성 882명을 대상으로 밀가루음식 주당 섭취빈도에 따른 건강관련요인, 영양소 섭취, 식행동, 건강지표의 차이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17년 중년기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은? 중년기는 40~64세의 성인기를 말하며, 2017년 현재 전체 인구의 39.3%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8). 중년기는 사회에서 중간관리자 이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다른 연령층보다 심리적 스트레스가 많고, 흡연, 음주, 외식을 자주 하며, 휴식과 운동부족 같은 건강위험상태에 놓이게 된다.
중년기는 언제를 말하는 가? 중년기는 40~64세의 성인기를 말하며, 2017년 현재 전체 인구의 39.3%를 차지하고 있다(Statistics Korea 2018).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식사인 밥의 주요 원료는? 8 g)가 2, 3, 4위로 나타나서 밀가루음식이 탄수화물 공급식품임을 알 수 있다(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그리고 우리나라 국민이 주로 섭취하는 정제밀(9~15%)은 (6~7%)에 비해 단백질함량은 높으나 질이 낮고, 지방, 칼슘, 인, 철분, 칼륨, 나트륨, 나이아신 함량이 더 높은 반면, 식이섬유소 함량이 낮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Ryu HK 2003; Hong SS 2009;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Shewry & Hey 2015). 또한 쌀은 조리시 대부분 밥을 지어서 그대로 먹는 반면 밀가루는 면, 빵, 과자 등을 가공하여 섭취하고, 정제된 설탕, 나트륨, 지방, 식품첨가물, 식품보존제, 감미료 등을 함유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Kang & Yoon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Ahn EM, Kang MS, Gong JE, Choe JS, Park YH, Lee JY, Kim HR. 2011. The changes of energy nutrient intake, frequently consumed dishes and staple food consumption-based on the first to the forth (1998-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IV-2). Korean J Comm Living Sci 22:669-678 

  2. Choi SN, Jho KH, Chung NY. 2016. Body mass index, anthropometric factors, and food and nutrient intakes of Korean middle-aged males by year: Based on 2001-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NES). Korean Diet Assoc 22:88-105 

  3. Chung CE, Lee KW, Cho MS. 2010. Effect of ramyen and noodle intake in diet & health status of Koreans. J Korean Soc Food Cult 25:109-116 

  4. Du S, Neiman A, Batis C, Wang H, Zhang B, Zhang J, Popkin BM. 2014. Understanding the patterns and trends of sodium intake, potassium intake, and sodium to potassium ratio and their effect on hypertension in China. Am J Clin Nutr 99: 334-343 

  5. Han MR, Lim JH, Song YJ. 2014. The effect of high-carbohydrate diet and low-fat diet for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olescents: Using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1998-2009. J Nutr Health 47:186-192 

  6. Her ES. 2017. Metabolic syndrome risk according to fruit and vegetable intake in meddle-aged men. Korean J Food Nutr 30:1048-1057 

  7. Hong SS. 2009. The difference between rice and wheat. 2009 International Symposium and Annual Meeting of Korean Soc Food Sci Nutr pp.105-106 

  8. Hong YH, Park HJ, Jung EY, Kim SH, Jun SC, Chang DS, Chang UJ. 2009. Effect of food preference on skin health status of female college students. Kor J Aesthet Cosmetol 7:47-58 

  9. Kahn R. 2003. The expert committee on the diagnosis and classification of diabetes mellitus. Diabetes Care 26:3160-3167 

  10. Kang MH, Yoon KS. 2009. Elementary school students' amounts of sugar, sodium, and fats exposure through intake of processed fo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8:52-61 

  11. Katano S, Nakamura Y, Nakamura A, Murakami Y, Tanaka T, Nakagawa H, Takebayashi T, Yamato H, Okayama A, Miura K, Okamura T, Ueshima H, 2010. Relationship among physical activity, smoking, drinking and clustering of the metabolic syndrome diagnostic components. J Atheroscler Thromb 17:644-650 

  12. Kim IJ. 2009. Glycemic index revisited. Korean Diabetes J 33:261-266 

  13. Kim J, Yang YK. 2016.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 and health indices by the intake of noodles. J Korean Soc Food Cult 31:373-380 

  14. Kim JH, Chung HJ. 2012.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and eating habits of male employees in Seoul and Kyunggi area. Korean J Food Cook Sci 28:57-66 

  15. Ko EH. 2011. Correlations between BMI and food intake frequencies for Korean adults and aged people: Using the data reported on survey o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the fourth period the first year (2007). Master Thesis, Jeju National Univ. Jeju 

  16.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2015. 2015 Research on Processed Food Consumption and Consumption Behavior. pp.20-21, Korea Agro-Fisheries and Food Trade Corporation 

  17.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Available from https://knhanes.cdc.go.kr/knhanes/index.do. [cited 10 July 2018] 

  18.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2015. Korean national nutrition statistics. Available from https://www.khidi.or.kr/nutristat [cited 10 July 2018] 

  19. Lu S, Oyvind M, Isabelle P, Felix H, Ferda F, Gary MG, Ludvig MS, Chaitan K. 2002. Structural basis for gluten intolerance in celiac sprue. Science 297:2275-2279 

  20.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n Nutrition Society. 2015.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2nd ed. pp. 958-959.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Korean Nutrition Society 

  21. Park HJ, Choi YJ, Kim SH. 2016. Nutritional status of hypertensive men in Gyeongnam area. J East Asian Soc Diet Life 26:297-307 

  22. Park JO. 2018. Analysis of comparisons of eating-out, dietary lifestyles, and healthy dietary competencies among middleaged consumers according to obesity status and gender for implications of consumer education. J Nutr Health 51:60-72 

  23.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011. Standard Food Composition Table. pp.30-38.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24. Ryu HK. 2003. A comparative study on the nutrient content of rice-based and wheat-based meals in Miryang and Daegu. Korean J Comm Living Sci 14:47-57 

  25. Shewry PR, Hey SJ. 2015. The contribution of wheat to human diet and health. Food Energy Security 4:178-202 

  26. Shim JE, Paik HY, Moon HK. 2007. Breakfast consumption pattern, diet quality and health outcomes in adults from 2001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J Nutr Health 40:451-462 

  27. Shin HJ, Cho E, Lee HJ, Fung TT, Rimm E, Rosner B, Manson JE, Wheelan K, Hu FB. 2014. Instant noodle intake and dietary patterns are associated with distinct cardiometabolic risk factors in Korea. J Nutr 144:1247-1255 

  28. Son DY, Yoon KR, Lee SI. 2002. Study of the most common allergic foods in Korea. Korean J Food Sci Technol 34: 885-888 

  29. Statistics Korea. 2018.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A district (military region)/1-year-old per resident population. Available from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040M1&vw_cdMT_ZTITLE&list_idA6&seqNo&lang_modeko&languagekor&obj_var_id&itm_id&conn_pathE1 [cited 5 July 2018] 

  30. Yeon JY, Bae YJ. 2016. Association of instant noodle intake with metabolic factors in Korea: Based on 2013-2014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49:247-257 

  31. Yim HJ, Park HA, Kang JH, Kim KW, Cho YG, Hur YI, Sung EJ. 2012. Marital status and health behaviors in middle-aged Korean adults: From the 2007-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orean J Health Promot 12:178-186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