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논문]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원문보기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D 광역시 소재 고등학생 573명이었으며, 주요 분석 방법은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K-평균 분석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학업적 그릿은 진로개발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학업전략수준은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에게 진로개발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전략 수준을 고려한 학업적 그릿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개인배경이나 관련 변수를 활용한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 이들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리적 구조 관계를 밝히는 문헌연구,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과 관련 변인 간 이론적 구조를 밝히는 질적 연구 등이 요청된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D 광역시 소재 고등학생 573명이었으며, 주요 분석 방법은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K-평균 분석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이었다. 연구결과, 학업적 그릿은 진로개발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또한, 학업전략수준은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의 관계를 조절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에게 진로개발역량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전략 수준을 고려한 학업적 그릿 프로그램을 제공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개인배경이나 관련 변수를 활용한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 이들 관계에 대한 이론적, 논리적 구조 관계를 밝히는 문헌연구,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맥락과 관련 변인 간 이론적 구조를 밝히는 질적 연구 등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mprised 573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mai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mprised 573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mainly using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K-mean cluste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learning strategy level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grit enhancement programs coupled with learning strategy levels in order to facilitat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e future studies need to explore the literature review for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e qualitative approach for drawing on the theoretical model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and the relational research to explor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f the individual backgrounds and related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oder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level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e sample for this study comprised 573 high school students, and data analysis was conducted mainly using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K-mean cluster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learning strategy levels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is study sugge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grit enhancement programs coupled with learning strategy levels in order to facilitat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e future studies need to explore the literature review for logical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the qualitative approach for drawing on the theoretical models among the related variables, and the relational research to explore mediating or moderating effect of the individual backgrounds and related variabl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career development competenc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고등학생들이 학교에서 제공되는 진로 관련 학습이나활동을 통해 진로개발역량을 함양한다는 점은 학생들이지니고 있는 자기주도성, 학습동기와 성취목표 등과 같은학습자 특성에 따라 진로개발역량 정도가 결정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진로 관련 학습 과정에서 요구되는 학습자 특성 중 학업에 대한 열정과 지속적 의미를 의미하는 학업적 그릿이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연구에서 학업적 그릿을 탐색하는 이유는 학생들이 진로탐색과 준비하는 동안 끊임없는 열정과 지속적 노력이요구되기 때문이다.
다만, 대학생을 대상으로학업적 그릿이 진로결정자기효능감[26]과 진로적응성[27] 향상에 기여한다는 선행연구는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이 학생 개인이 설정한 진로목표와 준비를 위해 열정적으로 도전하고 흥미를 잃지 않을 뿐 아니라 진로를 위한 학업 수행에서 경험하는 역경이나 지연을 이겨내어 실패를 배움의 기회로삼는 성장 신념과 태도를 갖도록 함으로서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상정해 보고자 한다[9,26].
이것은 고등학생들이 진로 관련 학습 과정에서 기울이는 학업적 열정과 노력과 함께 진로 학습을 위해 활용하는 학습전략 수준이 상이하고 그에 따라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효과가 차이가 있다는점을 시사하는 것이다[35-36].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발휘하는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효과도 있겠지만, 학생 개인들이 진로 관련 학습 과정에서사용하는 학습전략 수준이 학업적 그릿과 상호작용할 때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교과 및 비교과활동을 통해진로 탐색 및 준비 관련 학습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학업적 그릿의 영향에 대한 학습전략수준의 조절효과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본 연구의 모형과 가설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전략 수준은 학업적 그릿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영향에 대한 진로개발역량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적 그릿은 진로개발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가설 1은채택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을 지니고 있으며, 이와 관련된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첫째, 본 연구는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탐색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습전략이 인지전략, 메타인지적 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으로 구분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하위변수별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학습전략 하위변수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및 교재 개발 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가설 설정
연구가설1. 학업적 그릿은 진로개발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제안 방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학업적 그릿, 학습전략, 진로개발역량이었다. 학업적 그릿은 임현희, 조한익이 5점 리커르트 척도로 학업적 열정, 학업적 지속노력,학업적 흥미유지(문항수) 등 3개 요인, 23문항으로 개발한도구를 사용하였다[14].
대상 데이터
본 연구의 대상은 D 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600명이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573부이었고, 분석된 설문지는 불성실하게 답변(예: 50% 이상 답변이 없는 경우)한 12부를 제외한 561부이었다.
본 연구의 대상은 D 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2학년에 재학 중인 남녀 학생 600명이었다. 회수된 설문지는 573부이었고, 분석된 설문지는 불성실하게 답변(예: 50% 이상 답변이 없는 경우)한 12부를 제외한 561부이었다. 분석 대상의 분포는 성별로는 남자 284명(50.
회수된 설문지는 573부이었고, 분석된 설문지는 불성실하게 답변(예: 50% 이상 답변이 없는 경우)한 12부를 제외한 561부이었다. 분석 대상의 분포는 성별로는 남자 284명(50.6%),여자 277명(49.4%)이었고, 미래 진로선택 여부는 진로를 결정한 집단 377명(67.2%), 미결정 집단 184명(32.8%)이었다. 동아리 가입 현황은 1개 가입한 집단이266명(47.
데이터처리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하여 SPSS 24.0을 사용하여 변수의 신뢰성(Chronbach’s α)을 검증하였으며, 변수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Pearson 이변량 상관분석을실시하였다.
0을 사용하여 변수의 신뢰성(Chronbach’s α)을 검증하였으며, 변수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Pearson 이변량 상관분석을실시하였다. 또한, 학습전략 수준의 군집유형을 확인하기위하여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업적 그릿과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학습전략 수준의 군집유형을 확인하기위하여 K-평균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학업적 그릿과진로개발역량의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수준의 조절효과분석을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론/모형
본 연구에서 사용한 조사도구는 학업적 그릿, 학습전략, 진로개발역량이었다. 학업적 그릿은 임현희, 조한익이 5점 리커르트 척도로 학업적 열정, 학업적 지속노력,학업적 흥미유지(문항수) 등 3개 요인, 23문항으로 개발한도구를 사용하였다[14]. 본 연구의 신뢰도(Chronbach’ α)는 학업적 열정 .
학습전략은 Pintrich 등이 7점 리커르트 척도로 개발한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중에서 인지 전략(시연, 정교화, 조직화, 비판적사고 포함), 메타인지 전략, 자원관리 전략(스터디학습환경, 노력조절, 동료학습, 도움구하기 포함)에 해당되는 50문항을 사용하였다[37]. 본 연구의 신뢰도(Chronbach’ α)는 인지전략 .
진로개발역량은 임효신, 정철영이 5점 리커르트 척도로 타당화한 중학생 진로개발역량을 측정할 목적으로 개발한 진로정보 탐색 및 활용, 진로설계 및 관리 등 3개영역 49개 문항 중에서 자기이해 3문항, 진로탐색 5문항, 직업세계이해 5문항, 진로준비 2문항, 진로준비 2문항등 17문항을 사용하였다[7]. 본 연구의 신뢰도(Chronbach’ α)는 자기이해 .
성능/효과
3단계는 학업적 그릿, 학습전략 수준, 학업적 그릿×학습전략 수준(조절변수)을 30.0% 설명하였으며, 설명력 증가는 1.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 간 상관관계를 탐색하기 위하여 Pearson 이변량 상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r=.441), 학습전략과 진로개발역량(r=.589)와 학습전략과 학업적 그릿(r=.594) 모두 .001수준에서 정적 상관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전략 수준은 학업적 그릿이 진로개발역량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 영향에 대한 진로개발역량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학업적 그릿은 진로개발역량에 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연구가설 1은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 그릿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26]과 진로적응성[27]에 대한 정적 영향과 학습전략의 진로정체감[34]과 진로성숙[35]에 대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적 그릿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26]과 진로적응성[27]에 대한 정적 영향과 학습전략의 진로정체감[34]과 진로성숙[35]에 대한 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선행연구들과 맥을 같이한다고 볼 수 있다. 또한, 학습전략 수준은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영향을 정적으로 조절한다는 점을 확인하였으며,연구가설 2는 채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선행연구 미비로 밝혀지지 않았던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영향에 대한 학습전략 수준의 상호작용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실증적 증거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후속연구
본 연구는 고등학생 진로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도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진로개발역량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진로 학습과 활동을 위한학업적 그릿과 함께 학습전략 수준을 고려한 진로 학습자료 제공 및 활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 진로교육의 실천적 측면에서도 참고자료가 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진로개발역량을 신장하기 위해서는 진로 학습과 활동을 위한학업적 그릿과 함께 학습전략 수준을 고려한 진로 학습자료 제공 및 활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예를 들면, 학습전략 수준이 높은 집단은 비판적 사고나 메타인지 등 고등사고기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진로에 해당되는 직업분야 동향을 종합해 본다거나 그것을 위한 자신의 준비상황을 모니터링 및 성찰할 수 있도록 학습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본 연구는 학습전략 수준에 따른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조절효과를 탐색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습전략이 인지전략, 메타인지적 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으로 구분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하위변수별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학습전략 하위변수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및 교재 개발 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변수만을 고려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습전략이 인지전략, 메타인지적 전략 및 자원관리전략으로 구분된다는 점을 고려하여 각 하위변수별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의 조절효과를 탐색하여 학습전략 하위변수에 따른 진로개발역량 신장을 위한 교수학습 및 교재 개발 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변수만을 고려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 예를 들면, 자기효능감, 학습스타일, 성취목표지향성, 긍정심리자본,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들의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이필요하다.
둘째, 본 연구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에 대한 학습전략 변수만을 고려했다는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변수들, 예를 들면, 자기효능감, 학습스타일, 성취목표지향성, 긍정심리자본,사회적 지지와 같은 변수들의 조절 및 매개효과 분석이필요하다. 또한,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변수 관계에 대한 성별, 학년별, 학교유형별(일반계, 특성화고 등) 등 학생 개인 배경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변수 관계에 대한 성별, 학년별, 학교유형별(일반계, 특성화고 등) 등 학생 개인 배경에 따른 조절효과 분석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학업적 그릿과 학습전략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영향 등에 대한 선행연구 부족으로 충분한 이론적 관계나 구조에 대한 논리를 밝히지 못하였음으로 이를 위한 체계적인 문헌연구가 요청된다. 끝으로, 진로학습 상황과 맥락속에서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영향에 관련이 있는 변인이 무엇이고, 그 변인 간의 이론적 구조는어떠한가를 탐색할 수 있는 질적연구도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학업적 그릿과 진로개발역량 관계,학업적 그릿과 학습전략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영향 등에 대한 선행연구 부족으로 충분한 이론적 관계나 구조에 대한 논리를 밝히지 못하였음으로 이를 위한 체계적인 문헌연구가 요청된다. 끝으로, 진로학습 상황과 맥락속에서 학업적 그릿의 진로개발역량에 대한 영향에 관련이 있는 변인이 무엇이고, 그 변인 간의 이론적 구조는어떠한가를 탐색할 수 있는 질적연구도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37)
Statistics Korea. (2018). Adolescents Statistics.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6/1/index.board?bmoderead&aSeq367381.
S. H. Jin, E. M. Sung & C. W. Choi. (2015). A study on the validation of Korean you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dicators. Studies on Korean Youth, 26(3), 195-220. http://dx.doi.org/10.14816/sky.2015.26.3.195
J. S. Go. (2010). A study on the variables related to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3(1), 1-19.
B. S. Park & S. B. Yang. (2017). The effect of parent's neglect on adolesents' career identity in the times of convergence: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perience satisfaction and school adjustmen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3), 139-146. DOI : https://doi.org/10.22156/CS4SMB.2017.7.3.139
I. B. Song & H. Y. Kang. (2016). Analysis on the affecting factors of school career educational activities for junior-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ompetenc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6(10), 107-127.
K. S. Kim & I. J. Jang. (2018). The effect of perfectionism on career decision-making of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The mediating effects of extracurricular club activity satisfac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8(1), 243-251. DOI : https://doi.org/10.22156/CS4SMB.2018.8.1.243
H. S. Lim & C. Y. Jyung. (2015). The development of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inventory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8(4), 107-137.
J. H. Jeon. (2014). The relationships of effect among career and work competency, school career education conditions, work valu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in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7), 1-25.
Y. A. Cho & C. Y. Jyung. (2013). The relationship among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ocial support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Agricultural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45(4), 53-77.
M. N. Jung & Y. S. Lim. (201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scale for adolescents.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26(4), 65-84.
S. H. Jin & E. M. Sung.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asurement tools for youth career development competency. The Journal of Career Education Research, 30(1), 67-90.
S. L. Lee & Y. W. Sohn. (2013). What are the strong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Deliberate practice and grit. The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10(3), 349-366. DOI : 10.16983/kjsp.2013.10.3.349
A. L. Duckworth & P. D. Quinn.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H. H. Lim & H. I. Cho. (201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grit scale for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2(3), 495-523. http://dx.doi.org/10.17286/KJEP.2018.32.3.08
A. L. Duckworth, T. A. Kirby, T. A., Tsukayama, E, H. Berstein & K. A. Ericsson. Deliberate practice spells success why grittier competitors triumph at the National Spelling Bee. Social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Science, 12(2), 174-181. http://dx.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 D. R. Kelly.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DOI: 10.1037/0022-3514.92.6.1087
H. J. Lim.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grit's factor structure and its valid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8(2), 169-192. DOI : 10.15753/aje.2017.06.18.2.169
H. J. Lim. (2017). The current state of grit research and its need for reconceptualiz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1(4), 169-192. DOI : 10.17286/KJEP.2017.31.4.04
E. H. Seo & E. Y. Kim. (2018).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strategy between grit and self-resilience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6), 107-127.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16.107
J. L. Lee & D. H. Kwon. (2016). An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locus of control, mindset,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3(11), 245-264.
J. A. Choi. (2018).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goal-self concordance, grit on academic related effor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6(1), 41-63.
H. S. Ha, H. J. Lim & M. H. Hwang. (2015). The group difference of grit and self-control and its relations to school maladjustment, academic achievement, and predictability of personality. Journal of Lifelong Learning Society, 11(3), 145-166.
C. A. Wolters & M. Hussain. (2015). Investigating grit and its relations with college students'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Metacognition and Learning, 10(3), 293-311. https://doi.org/10.1007/s11409-014-9128-9
C. S. Lee & H. Y. Jang. (2018). The roles of growth mindset and grit in relation to hope and self-direct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95-102. https://doi.org/10.15207/JKCS.2018.9.1.095
A. J. Hong, M. H. Won, G. M. Park, J. H. Lee & Y. S. Jo. (2017). Effects of grit on affective commitment and a mediating effect of reflective learning.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1(5), 33-58.
E. I. Jeong, Differences in College Students' Everyday Creativ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by Grit Typ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 18(2), 1-26. http://dx.doi.org/10.22251/jlcci.2018.18.21.1
K. Huh & J. I. Lee. (2018). The learning strategy use in a convergence flipped clas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173-179. https://doi.org/10.15207/JKCS.2018.9.3.173
S. M. Park. (2009). Development of learning strategy scale for college students. Journal of Fish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1(1), 16-27.
S. Y. Jung & J. S. Kim. (2013).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motivation and learning strateg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transitional period. The Journal of Thinking Development, 9(1), 161-176.
A. Muelas & E. Navarro. (2015). Learning strategies and academic achievement.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165, 217-221. DOI: 10.1016/j.sbspro.2014.12.625
H. J. Kim & M. S. Yeom. (2014). The study on the effect of reading and debate class on undergraduates' self-leadership and self-regulated learning. Korean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8(4), 513-540.
M. C. English & A. Kitsantas. (2013). Supporting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in problem-and project-based learning. Interdisciplinary Journal of Problem-Based Learning, 7(2), 128-150. https://doi.org/10.7771/1541-5015.1339
Pintrich, P. R., Smith, D. A., Garcia, T., & McKeachie, W. J. (1991). A manual for the use of the Motivated Strategies for Learning Questionnaire (MSLQ). https://eric.ed.gov/?idED338122.
J. Y. Kim & K. H. Lee. (2016). Exploring factors influencing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6(9), 1-28. http://dx.doi.org/10.22251/jlcci.2016.16.9.49
D. S. Kim & Y. J. Joo. (2017). Latent mean analysis on the parent support, teacher support, career maturity, self-directed learning, and school satisfaction between general and vocational high schools. Journal of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20(3), 95-122.
M. S. Kim, S. H. Lee, S. H. Paik & Y. S. Choi. (2015).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tudents' grit scores and their differences across sex and grad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5(5), 297-322.
A. H. Lee. (2012). The mediating effect of self-regulated learning a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competence and vocational basic skills in college students: A multi-group analysis by learning style. Keimyung Univ.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