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의 그릿과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Grit of Teens and Self-directed Learn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 2020년, pp.665 - 674  

김은임 (호서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릿자기조절 학습 간의 영향력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그릿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습자의 자율적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학업적 자기효능감매개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학습자가 스스로의 자기주도 학습을 위해 효과적인 목표 선정에 관여하고 목표 성취를 위한 노력 유발에 학습자 내적인 효능감을 제공하는 과정을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충청도 소재 중 고등 학생을 대상으로 2019년 7월 1일부터 4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76부의 자료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와 AMOS를 활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및 상관관계 분석, 구조방정식, Sobel-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그릿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둘째, 청소년의 그릿은 자기주도 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자기주도 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청소년의 그릿과 자기주도 학습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deter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South Korean teens in order to gain an understanding of grit, which is still at the beginning stage of the research, and to obtain implications for Korean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This study also clarified t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러한 개인의 끈기와 관심은 동기를 증진시키고 투입되는 노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그릿이 지속적인 관심이 꾸준한 노력을 통하여 청소년 학습자의 자기주도 학습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측하고, 그릿과 학업적 자기주도 학습 간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기주도 학습 간의 구조적 관계를 다루었고,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청소년들의 자기주도 학습에 가장 효과적인 변인이 무엇인지 밝혀보고자 하였다. 청소년들의 자기주도 학습 전략은 특정한 상황에서 이해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개인의 특성에 맞는 학습변인들을 확인, 수준 차이에 따른 다양한 연구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청소년 시기를 육체적·정신적으로 건강하게 보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종합하면, 본 연구는 국내 청소년을 대상으로 그릿과 자기조절 학습 간의 영향력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아직 연구가 시작단계인 그릿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학습자의 자율적 학습을 실천하기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또한 그릿과 자기주도 학습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봄으로써 학습자가 스스로의 자기주도 학습을 위해 효과적인 목표 선정에 관여하고 목표 성취를 위한 노력 유발에 학습자 내적의 인지적 효능감을 제공하는 과정을 밝힘으로써 청소년 학습자의 자기조절 학습 전략의 활용법에 증진할 것을 기대하고 있다.

가설 설정

  • H1. 청소년의 그릿은 자기주도 학습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청소년의 그릿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청소년의 자기주도 학습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청소년의 그릿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관계에서 자기주도 학습은 매개역할을 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은 어떤 시기인가? 청소년의 시기는 아동에서 성인이 되어 가는 과도기로 한 인간으로서 성숙된 모습으로 나아가기 위해 자립을 준비하며 자아정체감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인간은 유아기, 아동기와 청소년기, 그리고 성인기의 각 단계를 거치며 성장하게 된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이란? 이러한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그릿과 마찬가지로 자기주도 학습을 이룰 수 있도록 후천적으로 도와주는 변인으로 볼 수 있다.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생이 직면한 상황에서 주어진 문제를 본인의 힘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자기 자신에 관한 기대와 신념을 나타내는데 학습자는 이러한 내적 특성에 의하여 자기주도 학습을 위하여 적절한 행위를 조직하고, 실행하게 된다.
그릿은 꾸준한 노력과, 지속적인 관심으로 나뉘는데, 이 들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릿은 ‘꾸준한 노력(perseverance of effort)’, ‘지속적인 관심(consistency of interest)’의 2개의 하위 요인으로 이루어진다. 꾸준한 노력은 자신이 목표한 바를 위해 상황에 맞게 대응하고 개인이 행위를 통제해 나간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25], 역경이나 실패와 같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끈기 있게 노력을 지속하는 개인의 행동 특성을 의미한다[10]. 지속적인 관심은 사회적인 기대에 부응하는 목표에 관해 오랜 기간동안 관심을 지속하거나 자신이 설정한 목표를 위해 장기적으로 관심을 유지하는 것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T. Y. Park, M. H. Do, "An impact of self-directed learning coaching program on academic self-efficacy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oaching, Vol.8, No.3, pp.91-107, 2015. 

  2. H. J. Ju, "Analysis of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1, pp.237-259, 2011. 

  3. Y. S. Ha, D. M. Yeum, "The influence of social support perceived by middle school students on career maturity: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Forum For Youth Culture, Vol.34, pp.153-180, 2013. 

  4. F. R. Rusch, C. Hughes, M. Agran, J. E. Martin, J. R. Johnson, "Toward self-directed learning, post-high school placement, and coordinated support constructing new transition bridges to adult life", Career Development for Exceptional Individuals, Vol.32, No.1, pp.53-59, 2009. DOI: https://doi.org/10.1177/0885728809332628 

  5. H. J. Lee, S. K. Kwon, "Effect of ego-resilience and peer attachment upon self-regulation learning ability in early adolescence: The medi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3, No.10, pp.347-355, 2013. DOI: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47 

  6. H. S. Ha, H. J. Lim, M. H. Hwang, "The role of grit, goal perception, conscientiousness and resilience in academic adjustment", Korea Journal of Counseling, Vol.18, No.1, pp.371-388, 2017. DOI: https://doi.org/10.15703/kjc.18.1.201702.371 

  7. H. J. L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grit, intrinsic-extrinsic value, classroom engagement, cognitive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27, No.3, pp.235-256, 2018. 

  8. S. J. Lee, J. Y. Park, "The effects of grit and stress on nursing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16, No.2, pp.269-276, 2018. 

  9. S. H. Cho, "Grit's control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exhaus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um For Youth Culture, pp.145-169, 2019. DOI: https://doi.org/10.17854/ffyc.2019.01.57.145 

  10.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D. R. Kelly,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92, No.6, pp.1087-1101, 2007.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92.6.1087 

  11. A. L. Duckworth, P. D. Quin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91, No.2, pp.166-174, 2009. DOI: https://doi.org/10.1080/00223890802634290 

  12. Y. J. Ju. D. S. Kim, "Influence of grit (perseverance of effort and consistency of interest), teacher support, and parent support on self-regulation and educational satisfaction in children in a gifted education program", Special Education Research, Vol.15, No.1, pp.29-49, 2016. 

  13. M. H. Hwang, H. S. Ha, M. S. Kim,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 the mediating role of academic self-reg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Elementary Counseling, Vol.16, No.3, pp.301-319, 2017. 

  14. M. M. Chemers, L. T. Hu, B. F. Garcia,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 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3, No.1, pp.55-64, 2001. DOI: https://doi.org/10.1037/0022-0663.93.1.55 

  15. F. Pajares, "Self-efficacy beliefs in academic settings",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ol.66, No.4, pp.543-578, 1996. DOI: https://doi.org/10.3102/00346543066004543 

  16. S. J. Lee, "The effects of mindsets on academic self-efficacy of high school students mediated by grit: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whether the students gave up on mathematics or not", Asian Journal of Education, Vol.19, No.1, pp.59-87, 2018. DOI: https://doi.org/10.15753/aje.2018.03.19.1.59 

  17. S. C. Ha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f Joenju of Korea, pp.17-20, 2017. 

  18. D. J. Na, M. K. Shin, I. K. Cho,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efficacy and academic anxiety in the relation of social academic goals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6, No.1, pp.131-152, 2008. 

  19. M. S. Shim, H. S. Oh, "Influence of self-efficacy, learning motiva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on problem-solv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12, No.6, pp.328-337, 2012. 

  20. B. J. Zimmerman, "Becoming a self-regulated learner: 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Vol.41, No.2, pp.64-70, 2002. DOI: https://doi.org/10.1207/s15430421tip4102_2 

  21. S. J. Lee, H. J. Shin, "The effect of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efforts and self-regulation learning strategies on English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Korea", Secondary Education Research, Vol.60, No.4, pp.1045-1077, 2012. DOI: https://doi.org/10.25152/ser.2012.60.4.1045 

  22. J. E. Kim, S. R. Lee, S. J. Yang,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grit: Examining multidimensional clustering of grit", Korean Psychological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Vol.24, No.2, pp.131-151, 2018. DOI: https://doi.org/10.20406/kjcs.2018.5.24.2.131 

  23. Y. R. Yu, J. W. Yoo, H. K. Park, "A relationship among grit, objective reasoning, and self-regulated learning efficacy of high-school student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Vol.22, No.10, pp.367-385, 2015. 

  24. M. R. West, M. A. Kraft, A. S. Finn, R. E. Martin, A. L. Duckworth, C. F. Gabrieli, J. D. Gabrieli, "Promise and paradox: Measuring students' non-cognitive skills and the impact of schooling",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Vol.38, No.1, pp.148-170, 2016. DOI: https://doi.org/10.3102/0162373715597298 

  25. K. Natale, K. Aunola, J. E. Nurmi, "Children's school performance and their parents' causal attributions to ability and effort: A longitudinal study",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Vol.30, No.1, pp.14-22, 2009. DOI: https://doi.org/10.1016/j.appdev.2008.10.002 

  26. J. H. Kim. Grit: To prove potential as a skill, as a result of sexuality, as a result of studying. pp.92-113, Paju: Sum & Parkes, 2013. 

  27. M. S. Kim, S. H. Lee, S. H. Baeck, Y. S. Choi, "The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students' grit scores and their differences across sex and grade",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Vol.15, pp.297-322, 2015. 

  28. M. H. Yang,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elf-regulated learning model. Doctoral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of Seoul of Korea, pp.22-25, 2000. 

  29. L. Corno, E. B. Mandinach, "The role of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learning and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Vol.18, No.2, pp.88-108, 1983. DOI: https://doi.org/10.1080/00461528309529266 

  30. G. E. Spear, D. W. Mocker, "The organizing circumstance: Environmental determinants in self-directed learning", Adult Education Quarterly, Vol.35, No.1, pp.1-10, 1984. DOI: https://doi.org/10.1177/0001848184035001001 

  31. B. J. Zimmerman, "A social cognitive view of self-regulated academic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1, No.3, pp.329-339, 1989. DOI: https://doi.org/10.1037//0022-0663.81.3.329 

  32. P. C. Candy, Self-Direction for lifelong learning: A comprehensive guide to theory and practice. San Francisco: Jossey-Bass, 1991. 

  33. H. Long, "Self-directed learning by the elderly: Review of dissertation abstracts", Educational Gerontology, Vol.19, pp.1-7, 1993. DOI: https://doi.org/10.1080/0360127930190101 

  34. D. H. Cho, The effects of self-directed cooperative learning on learning attitude and peer relations according to introversion and extroversion. Doctoral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f Joenju of Korea, pp.32-36, 2011. 

  35.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Vol.84, No.2, pp.191-215, 1977. DOI: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36. R. E. Wood, E. A. Locke, "The relation of self-efficacy and grade goals to academic performanc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Vol.47, No.4, pp.1013-1024, 1987. DOI: https://doi.org/10.1177/0013164487474017 

  37. D. H. Schunk, "Modeling and attributional effects on children's achievement: A self-efficacy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73, No.1, pp.93-105, 1981. DOI: https://doi.org/10.1037//0022-0663.73.1.93 

  38. N. S. Kim, Cognitive behavior modification. Seoul: Education Science History, 1995. 

  39. S. S. Lim, "Th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model of resilience and positive development of adolescents", Journal of Future Oriented Youth Society, Vol.10, pp.1-26, 2013. 

  40. M. S. Kim, A comparative study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school-related adjustment between the only child and sibling chil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of Korea, pp.43-44, 2006. 

  41. Y. M. Lee, J. R. Joeng, "The relationships with academic self efficacy and test anxiety among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Vol.38, pp.57-75, 2015. 

  42. A. L. Duckworth, L. Eskreis-Winkler, "True grit", Aps Observer, Vol.26, No.4, pp.1-3, 2013. 

  43. E. L. Usher, F. Pajares, "Sources of academic and self-regulatory efficacy beliefs of entering middle school student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31, No.2, pp.125-141, 2006. DOI: https://doi.org/10.1016/j.cedpsych.2005.03.002 

  44. S. C. Han, The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gri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he university students.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of Joenju of Korea, pp.16-20, 2017. 

  45. G. Hackett, R. W. Lent, "Theoretical advances and current inquiry in career psychology",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Vol.2, pp.419-452, 1992. 

  46. D. H. Schunk, Self-regulation of self-efficacy and attributions in academic settings.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pp.75-99).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94. 

  47. P. R. Pintrich, E. DeGroo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perspectives on student motivational beliefs and self-regulated learning. Boston, MA: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990. 

  48. A. Bandura, D. Cervone, "Self-evaluative and self-efficacy mechanisms governing the motivational effects of goal syste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5, No.5, pp.1017-1028, 1983.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45.5.1017 

  49. A. Bandura, D. H. Schunk, "Cultivating competence, self-efficacy, and intrinsic interest through proximal self-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1, No.3, pp.586-598, 1981.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41.3.586 

  50. B. J. Zimmerman, A. Bandura, M. Martinez-Pons, "Self-motivation for academic attainment: The role of self-efficacy beliefs and personal goal setting",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29, No.3, pp.663-676, 1992. DOI: https://doi.org/10.2307/1163261 

  51. B. A. Greene, R. B. Miller, "Influences on achievement: Goals, perceived ability, and cognitive engagement",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21, No.2, pp.181-192, 1996. DOI: https://doi.org/10.1006/ceps.1996.0015 

  52. H. H. Lim, H. I. Cho,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grit scale for adolescent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32, No.3, pp.495-523, 2018. DOI: https://doi.org/10.17286/kjep.2018.32.3.08 

  53. H. E. Kim,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erformance self-confidence, mastery goal orientation, grit and stress coping style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performing arts, Ph.D dissertation, Jeonju University of Jeonju, Korea, pp.29-34, 2018. 

  54. A. Y. Kim, I. Y. Park,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cademic grit scale for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Education Research Association, Vol.39, pp.95-123, 2001. 

  55. P. R. Pintrich, E. V. De Groot,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82, No.1, pp.33-40, 1990. DOI: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56.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1, No.6, pp.1173-1189,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