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효과
A Mediating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Academic Burnou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6, 2019년, pp.219 - 225  

김규태 (계명대학교 교육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이 지각하는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서 긍정심리자본매개효과를 탐색하였다. 본 연구는 대구 소재 고등학교 2학년 57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로 실시되었으며, 기술통계, 상관관계,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학업적 그릿은 학업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심리자본은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를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들이 학업소진을 경험하는 상황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긍정심리자본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후속 연구에서는 긍정심리자본의 하위변수별 매개효과, 긍정심리자본에 대한 프로파일에 따른 조절효과,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 대한 성별, 학년 등 개인적 배경에 따른 분산분석완벽주의, 효능감, 회복탄력성 등 관련 변수의 조절 및 매개효과를 탐색하는 연구가 요청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xplored the mediating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grit and academic burnout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through questionnaires of 573 second graders of high school in Daegu and analyzed by descriptive stat...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이 인식하는 학업적 그릿, 긍정심리자본, 학업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한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은 Figure 1과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측정변인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수렴타당성과 판별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우선, 수렴타 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측정모형에 나타난 요인들의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AVE)를 산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 긍정심리자본, 학업소진 간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업적 그릿은 학업소진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에서 긍정 심리자본의 매개변수로 하는 구조방정식 모형에 대한 적합도와 경로계수를 탐색하였다. 모형의 적합도 검증을 위하여 절대적합지수인 χ², SRMR, RMSEA, GFI와 증분적 합지수인 TLI, CFI를 이용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평가하 였다[30,31].
  • 다시 말해, 학업소진 상황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학업목표를 향한 자신감, 지속적인 경로 설정과 낙관적 기대 및 실패에 대한 탄력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소진 상황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 및 회복하는데 기여하는 변수로 긍정 심리자본을 상정하고 학업적 그릿과 학업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를 밝히는 선행 연구가 미지한 상황에서 이들 관계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역할을 탐색하는 본 연구는 학업소진 관련 여러 변수들의 조절 및 매개효과 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 하지만 학자들은 이미 학업소진에 의해 학업적 열의가 저하되고 무기력감을 느끼는 상태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 및 회복할 수 있는 긍정적 심리 변수의 개입을 필요하다는 것에 동의하고 있다[8-10].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적 소진 상황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학업에 대한 자기효능감, 미래 학업 목표와 결과에 대한 희망과 낙관적 기대, 학업 수행 과정에서 겪는 슬럼프와 난관을 이겨내는 회복탄력성으로 구성된 긍정심리자본이 매개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탐색해 보고자 한다.
  •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소진 상황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 및 회복하는데 기여하는 변수로 긍정 심리자본을 상정하고 학업적 그릿과 학업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학업적 그릿과 학업소진 관계를 밝히는 선행 연구가 미지한 상황에서 이들 관계에 대한 긍정심리자본의 매개 역할을 탐색하는 본 연구는 학업소진 관련 여러 변수들의 조절 및 매개효과 연구를 촉진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

가설 설정

  • 가설 1. 학업적 그릿은 학업소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학업소진이란 무엇인가? 학업소진은 학생들이 학업수행에 대한 정서적 고갈, 냉소주의, 무의미, 무력감을 경험하는 현상이라 할 수 있다[5,12]. 학업소진은 열의와 지루함과 비교하면 그 의미가 명확해진다[13].
긍정적 심리 변수에는 무엇이 있는가? 고등학생들은 과중한 학업부담과 입시 준비로 인해 학업소진을 경험하고 있으며, 이때 학업에 대한 흥미와 노력을 지속하기 어려울 수 있음으로 학업적 그릿을 지속및 회복할 수 있는 긍정적 심리 변수가 필요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학업소진 상황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하기 위해서는 학업목표를 향한 자신감, 지속적인 경로 설정과 낙관적 기대 및 실패에 대한 탄력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학업소진 상황에서 학업적 그릿을 지속 및 회복하는데 기여하는 변수로 긍정 심리자본을 상정하고 학업적 그릿과 학업 소진의 관계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해 보고자 한다.
긍정심리자본이란 무엇인가? 긍정심리자본은 학습과 일에서 겪는 난국과 현실 속에 서도 경쟁우위와 탁월한 성과를 창출하는 개인의 긍정적 심리상태를 말하며[23-25], 자기효능감, 희망, 낙관주의, 복원력의 하위변수로 구성된 변수이다[22]. 긍정심리자 본은 학업을 수행하는 청소년에 대한 우울, 학업스트레 스, 진로장벽 등 부정적 정서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알려져 있다[23-2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K. Salmela-Aro. (2017). Dark and bright sides of thriving-school burnout and engagement in the Finnish context. European Journal of Developmental Psychology, 14(3), 337-349. 

  2. V. Walburg. (2014). Burnout among high school students: A literature review. Children and Youth Services Review, 42, 28-33. 

  3. B. Silvar. (2001). The syndrome of burnout, self-image, and anxiety with grammar school students. Horizons of Psychology, 10, 21-32. 

  4. H. A. Lee & H. I. Cho. (2013). The relation among perfectionism,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burnout: The mediating effects of motives and goal processes.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25(3), 575-601. 

  5. M. O. Suh. (2018). A meta-analysi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c burnout and related variables among secondary school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2(1), 53-78. 

  6. A. L. Duckworth & P. D. Quinn. (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 (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7. A. L. Duckworth, C. Peterson, M. D. Matthews, & D. R. Kelly. (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8. E. Jeong & M. R. Jung. (2017). Convergence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social support in adolescents on depress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9), 365-373. 

  9. M. R. Jung & E. Jeong. (2017). Effects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2), 399-407. 

  10. J. Y. Jun & B. K. Song. (2014). Influences of the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perceived by adolescents on career barriers and career prepartion behaviors. Korean Journal of Youth Studies, 21(3), 171-200. 

  11. Statistics Korea. (2018). Adolescents Statistics. http://www.kostat.go.kr/ 

  12. K. Salmela-Aro, H. Savolainen, H., & L. Holopainen. (2009). Depressive symptoms and school burnout during adolescence: Evidence from two cross-lagged longitudinal studies.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8(10), 1316-1327. 

  13. C. Sulea, I. V. Beek,, P. Sarbescu, D. Virga,., & W. B. Schaufeli. (2015). Engagement, boredom, and burnout among students: Basic need satisfaction matters more than personality traits.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132-138. 

  14. K. Salmela-Aro, N. Kiuru, E. Leskinen, & J. Nurmi. (2009). School burnout inventory(SBI) reliability and validity.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essment, 25, 48-57. 

  15. Y. B. Lee, S. M. Lee, & J. Y. Lee. (2009). Development of Korean academic burnout scale The Korea Educational Review, 15(3), 59-78. 

  16. S. S. Shih. (2012). An examination of academic burnout versus work engagement among Taiwanese adolescents.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105, 286-298. 

  17. I. K. Jung & J. H. Kim. (2016). The moder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strateg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elf-efficacy and academic burnout in adolescents. Korean Education Inquiry, 34(4), 193-211. 

  18. F. Bilge, M. T. Dost, & B. Cetin. (2014). Factors affecting burnout and school engagement among high school students: Study habits, self efficacy beliefs, and academic success. Educational Science: Theory and Practices, 14(5), 1721-1727. 

  19. H. H. Lim & H. I. Cho. (2018).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n academic grit scale for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32(3), 495-523. 

  20. H. J. Lim. (2017). An exploratory study on Grit's factor structure and its validity. Asian Journal of Education, 18(2), 169-192. 

  21. H. J. Lim. (2017). A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rit, creative disposition, and creative thinking. The Joural of Thinking Development, 13(2), 45-65. 

  22. H. J. Lim. (2018).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rit, intrinsic-extrinsic value, classroom engagement, cognitive regul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7(3), 235-256. 

  23. F. Luthans. (2002). Positive organizational behavior: Developing and managing psychological strengths. Academy of Management Executive, 16(1), 57-72. 

  24. F. Luthans, C. M. Youssef, & B. J. Avolio. (2007). Psychological capital: Developing the human competitive edge.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25. B. C. Luthans, K. W. Luthans, & S. Jensen. (2012). The impact of business school students' psychological capital on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 for Business, 87, 253-259. 

  26. F. Luthans, B. J. Avolio, J. B. Avey, & S. M. Norman. (2007).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measurement and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satisfaction. Personnel Psychology, 60, 541-572. 

  27. E. Jeong & M. R. Jung. (2018). Effect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academic stress and academic achievement in nursing student on grit.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9), 309-317. 

  28. K. W. Luthans, B. C. Luthans, & T. D. Chaffin. (2019). Refining grit in academic performance: The mediational role of psychological capital. Journal of Management Education, 43(1), 35-61. 

  29. T. H. Lim. (2014).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K-PPC).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16(3), 157-166. 

  30. R. B. Kline. (2005).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2nd ed.). New York: Guilford Press. 

  31. J. P. Yu. (2012). Concepts and understanding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oul: Hannare. 

  32. C. Fornell & D. F. La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valuations model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39-5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