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키오스크 서비스의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변수에 관한 실증적 분석
An Empirical Effect of the Belief Variable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for Using Kiosk Service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113 - 121  

이은미 (창신대학교 경영회계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수직적으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TAM)을 토대로 사용자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신념변수인 지각된 유용성지각된 사용용이성지각된 유희성을 추가하고, 키오스크 서비스의 만족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신념변수의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첫째, 키오스크의 유용성과 사용편리성을 지각하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키오스크의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유희성은 키오스크 서비스의 추천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키오스크 서비스에 만족한 사용자는 강한 추천의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기존 기술수용모델에서 규명한 새로운 정보기술의 유용성과 사용편리성이 사용자반응(만족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변수임을 재입증 해주고 있으며, 새롭게 추가한 지각된 유희성이 키오스크 서비스의 만족을 매개하지 않고도 추천의도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키오스크 서비스의 지각된 유희성이 추가된 확장된 신념변수와 추천의도 간의 관계를 연구모형에 도입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belief variables of kiosk that affect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by applying vertically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A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have an imp...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인건비상승에 따른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면서 무인점포를 운영하거나 기술기발셀프서비스 시스템으로의 인력을 대체하고자 하는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증가된 키오스크 서비스가 이용자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새로운 정보기술의 수용 및 지속의도를 설명하기 위한 개발된 초기 기술수용모델[2]을 토대로 태도 및 행동의도를 결정짓는 키오스크 서비스의 신념변수로 지각된 유희성를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편리성에 추가하여 세 가지 신념변수가 키오스크 이용의 만족과 추천의도에 미치는 인과적 연구모형으로 도출하고 변수 간 영향관계에 대한 3개의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 키오스크의 세 가지 신념변수와 만족 그리고 추천의도 간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 이상의 연구 결과에서 살펴보듯이 기술수용모델을 적용한 연구들은 사용자가 지각한 신념변수들이 행동의도 및 실제사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행동태도를 만족의 개념으로 구체화 시켜 적용하고자 한다. 그 이유는 키오스크 서비스의 전반적인 만족과 추천의도 역시 행동태도 및 의도와 실제사용 정도로 보아 기술수용모델에 크게 벗어나지 않으면서 키오스크 환경에서 시장 가능성 예측을 위한 근간을 제시하기에 적합할 것으로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키오스크 서비스의 신념변수를 수직적으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토대로 살펴보고자 기존에 핵심적으로 다루어져 온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편리성에 지각된 유희성을 추가시켜 세 개의 신념변수를 제시하고자 한다.
  • 둘째, 키오스크 서비스사용자 조사를 기반으로 실제 사용자의 만족과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키오스크 서비스의 신념변수를 검증한다. 즉,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사용편리성과 지각된 유희성이 키오스크 서비스 이용의 만족과 추천의도로 이어지는 과정을 파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기술기반셀프서비스를 대표하는 키오스크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종과 업체들이 이용자에게 보다 효율적으로 주문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 키오스크의 세 가지 신념변수와 만족 그리고 추천의도 간의 분석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학문적·실무적 시사점을 제안하고자 한다. 학문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면, 첫째, 새로운 정보기술 수용 및 채택을 설명하기 위한 [2]의 기술수용모델을 토대로 지각된 유희성을 새로운 신념변수로 추가시켜 수직적으로 확장된 기술수용모델을 통해 키오스크 서비스에 대한 전만적인 이용자반응을 확인해보고자 하였다. 둘째, 기술수용모델에서 사용의도를 키오스크 이용자의 만족과 추천의도로 대체하였고, 지각된 유용성과 지각된 사용편리성에 대한 만족이 추천의도를 형성시켰고, 지각된 유희성과 추천의도 간의 유의한 인과관계를 확인함으로써 지각된 유희성이 키오스크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용자반응을 설명해주는 주요한 변수임을 규명하였다.

가설 설정

  • 지각된 사용편리성은 만족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2. 지각된 사용편리성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지각된 유용성은 추천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키오스크 서비스의 만족은 추천의도에 정(+)의영향을 미칠 것이다.
  • H1. 키오스크 서비스의 신념변수들은 만족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키오스크 서비스의 신념변수들은 추천의도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의 키오스크는 무엇인가? 최근 외식업계에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키오스크는거리의 가판대라는 의미이며, 페르시아어에서 유래 되었다[12]. 키오스크란 고객이 직원을 만나지 않고 음식이나서비스를 주문 할 수 있도록 하는 셀프서비스 기계이며제품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규모 점포 또는 공공장소에 설치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무인정보단말기를 뜻한다[13]. 최근 우리 사회에서 건전한 일자리 창출과 최저 임금이라는 사회적 문제가 대두되면서 새롭고 다양한신기술을 도입한 무인점포는 우리의 생활 속으로 다가오고 있다[14].
키오스크를 사용함에 있어서 지각된 유용성은 어떤 역할을 하는가? 지각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은 키오스크이용 후 성과 향상에 대한 믿음의 지각이다. 기존 연구에따르면, 지각된 유용성은 정보통신기술의 사용의도를 활성화시키는데 도움을 준다[2].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의도간의 조절변수에 대하여 살펴보면 첫째, [18]은 지각된유용성은 구매경험이 없는 잠재구매자들보다 구매경험자들이 이러닝 콘텐츠의 구매의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것으로 실증하였다.
키오스크가 빠르게 확산 될 수 있던 까닭은 무엇인가? 오늘날의 키오스크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무인단말기를 뜻한다. 최근 최저임금 인상에 따른 인건비 상승에 대응하고자 고객이 직접 메뉴 검색부터 주문과 결제를 할 수 있는 키오스크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우리나라 보다 키오스크가 먼저 도입된 미국의 경우 키오스크 시장이 점점 커지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P. J. Hu, O. R. Sheng & K. Y. Ram (1999). Examining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using physician acceptiance of telemedicine technology.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16(2), 91-112. 

  2. F. D. Davis. (1989).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user acceptance of information technology. MIS Quarterly, 13(3), 319-340. 

  3. V. Venkatesh & F. D. Davis. (2000). A theoretical extension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Four longitudinal field studies. Management Science, 46(2), 186-204. 

  4. V. Venkatesh. (2000). Determinants of perceived ease of use: Integrating control, intrinsic motivation, and emotion into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formation System Research, 11(4), 342-365. 

  5. J. W. Moon & Y. G. Kim. (2001). Extending the TAM for a World-Wide-Web context. Information & management, 38(4), 217-230. 

  6. H. Sun & P. Zhang. (2006).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perceived enjoyment and perceived ease of use: An alternative approach.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7(9), 618-645. 

  7. H. Sun & P. Zhang. (2008). An exploration of affect factors and their role in user technology acceptance: Mediation and causality.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59(8), 1252-1263. 

  8. X. Tong. (2010). A cross-national investigation of an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in the online shopping context. International Journal of Retail & Distribution Management, 38(10), 742-759. 

  9. E. Park, S. Baek, J. Ohm & H. J. Chang. (2014). Determinants of player acceptance of mobile social network games: An application of extended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elematics and Informatics, 31(1), 3-15. 

  10. F. D. Davis, R. P. Bagozzi & P. R. Warshaw. (1992). Extrinsic and intrinsic motivation to use computers in the workplace.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24(14), 11-32. 

  11. M. Igbaria, J. Iivari & H. Maragahh. (1995). Why do individuals use computer technology? A Finnish case study. Information & Management, 29(5), 227-238. 

  12. S. G Jung & J. H. Yang. (2013).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relational benefits, satisfaction and customer loyalty: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s of consumer's innovativeness & rationality. Journal of Marketing Management Research, 18(2), 47-72. 

  13. J. Kim, N. Christodoulidou & Y. Choo. (2013). Factors influencing customer acceptanceof kiosks at quick service restaurants. Journal of Hospitality and Tourism Technology, 4(1), 40-63. 

  14. S. H. Lee & D. W. Lee. (2018). A study on ICT technology leading change of unmanned stor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4), 109-114. 

  15. M. L. Meuter, A. L. Ostrom, R. I. Roundtree & M. J. Bitner. (2000). Self-service technologies: understanding customer satisfaction with technology-based service encounters. Journal of marketing, 64(3), 50-64. 

  16. R. P. Bagozzi. (2007). The legacy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and aproposal for a paradigm shift.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ystems, 8(4), 244-254. 

  17. B. O. Jeong. (2016). Effects of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enjoyment on intention to use tourism application: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ternational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30(1), 101-121. 

  18. C. W. Yoo, Y. J. Kim, J. H. Moon & Y. C. Choe. (2008). The effect of Herding behavior and perceived usefulness on intention to purchase e-learning content: comparison analysis by purchase experience. Journal of MIS Research, 18(4), 105-130. 

  19. C. S. Ong & J. Y. Lai. (2006). Gender differences in perceptions and relationships among dominants of e-learning acceptance.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2(5), 816-829. 

  20. H. C. Yang & I. K. Jeong. (2011).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smart-phone user types: between users and non-users of applications. Journal of Cyber Society & Culture, 2(1), 17-49. 

  21. T. S. H. Teo, V. K. G. Lim & R. Y. C. Lai. (1999).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in internet usage.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Management Science, 27, 25-37. 

  22. R. Oliver. (1980). Measurement and evaluation of satisfaction process in retail setting. Journal of Retailing, 57(Fall), 25-48. 

  23. J. D. Barsky & R. Labagh. (1992). A strategy for customer satisfaction. Cornell Hotel and Restaurant Administration Quality, 33(5), 32-40. 

  24. S. D. Kim & Y. K. Ha. (2016). The mediating effects of customer-company identific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quality and referral intention: focused on the hotel restaurants. Tourism Research, 41(2), 1-19. 

  25. R. Oliver. (1997). Satisfaction: A behavioral perspective on the consumer. New York: The McGraw-Hill Companies, Inc. International Eddition. 

  26. R. Oliver & J. Swan. (1989). Consumer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equity and satisfaction in transactions : A field survey approach. Journal of Marketing, 53(April), 21-35. 

  27. Jone D. Holmes & J. D. Lett, Jr. (1977). Product sampling and world-of-mouth.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17(October), 35-40. 

  28. S. H. Ju, M. Y. Song & B. K. Kim. (2018). The effect of personal trait on perceived value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ocus on one-person media cont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2), 159-167. 

  29. V. Venkatesh & M. G. Morris. (2000). Why don't men ever stop to ask for directions? Genders, scial influence, and their role in thechnology acceptance and usage behavior. MIS Quarterly, 24(1), 115-139. 

  30. J. J. Cronin & S. A. Taylor. (1992). A loguitudinal analysis of the impact of service changes on customer attitudes. Journal of Marketing, 55, 1-9. 

  31. L. Harris & M. Goode. (2004). The four levels of Loyalty and the pivotal role of trust: A sudy of online service dynamics. Journal of Retailing, 80(2), 139-158. 

  32. Jum C. Nunnally. (1967). Psychimetric Theory. 1st ed., New York: McGraw-Hil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