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Self-efficacy for Exercis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 Exercise on the Wellness among Adul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6, 2019년, pp.279 - 286  

한상미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학과)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  이정숙 (영남이공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 웰니스와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이들 요인이 성인의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만 19세~60세 미만 남녀 성인 88명을 대상으로 2017년 4월 6일~6월 8일 동안 자가보고형 설문조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피어슨 상관계수분석, 다중 회귀분석 등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인의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심리적 욕구만족의 하위요인중 관계성(${\beta}=.316$, p=.012), 운동 자기효능감(${\beta}=.279$, p=.008)이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의 심리적 욕구만족과 운동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맞춤형 웰니스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ver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wellnes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fficacy for exercis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 exercise, and welln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elf - report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88 male and female adults aged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렇듯 성인의 전반적인 웰니스 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이들의 웰니스에 어떤 요인이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해야 함에도불구하고, 성인을 대상으로 한 운동 자기효능감과 심리적 욕구만족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연구는 찾아보기 힘든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이 웰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성인을 위한 웰니스 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남녀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 만족, 웰니스의 관계를 탐색함으로써, 성인의 웰니스에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성인을 대상으로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이웰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 웰니스의 관계를 살펴보고, 웰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을 파악하고자 시행되었다. 그 결과, 성인의 심리적 욕구 만족 하위요인인 관계성과 운동 자기효능감이 웰니스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웰니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 성인의 운동 자기효능감, 심리적 욕구만족이 웰니스에 미치는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이들의 웰니스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한 연구라는 의의에도 불구하고 몇 가지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본 연구는 일개 보건소를 내소하는 대상자를 편의표출 하였으므로 본 연구 결과를 일반 성인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자신감은 무엇을 통해 지속적인 노력을 추진하는가? 운동 자기효능감은 어떠한 상황에서도 스스로 운동을 수행하고 지속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의미한다[5]. 운동을 지속할 수 있는 자신감은 주어진 상황이 어떠하든지 성공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기대를 통해 지속적인 노력을 추진하는 역할을 한다[6]. 운동 자기효능감은 많은 선행연구에서 운동행위를 예측하는 유의미한 요인으로 잘 알려져 있다[7, 8].
우리나라에서 의미하는 웰니스란 무엇인가? 세계보건기구에서 웰니스란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경제적 영역 등의 다양한 영역에서 개인이 자신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가족 및 사업장과 지역사회 등의 장소에서 주어진 역할기대를 수행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3]. 우리나라는 웰니스를 웰빙, 행복, 건강의 개념이 결합된 합성어로 정의하면서, 모든 사람들이 최적의 웰니스 상태에 도달하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하였다[4].
노년기의 건강한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지고 있는데 이로인해 부각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의료기술과 경제 수준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연장되면서 노년기의 건강한 삶을 살고자 하는 욕구가 높아졌다. 그 결과 건강수명의 연장을 위한 성인기 건강관리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1]. 성인기 건강증진을 위해서 운동, 영양, 스트레스 관리, 영적 성장과 같은 건강한 생활양식을 적극적으로 실천하는 것이 중요한 것으로 알려졌다[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E. J. Lim & J. H. Noh. (2012).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 the late middle-aged adul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technology, 13(10), 4694-4702. DOI: 10.5762/KAIS.2012.13.10.4694 

  2. S. N. Walker, K. R. Sechrist & N. J. Pender. (1995).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maha: College of Nursing University of Nebraska Medical Center. 

  3. B. J. Smith, K. C. Tang & D. Nutbeam. (2006). WHO health promotion glossary: new term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1(4), 340-345. DOI : 10.1093/heapro/dal033 

  4. Office of Strategic R & D Planning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2012). 2012 trends analysis and future strategies of wellness industry. Cheonan: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Technology. 

  5. B. Resnick & L. S. Jenkins. (2000). Testing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elf-efficacy scale. Nursing Research, 49(3), 154-163. DOI : 10.1097/00006199-200005000-00007 

  6. R. J. Sonstroem, L. L. Harlow, L. M. Gemma & S. Osborne. (1991). Test of structural relationships within a proposed exercise and self-esteem model.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6(2), 348-364. DOI : 10.1207/s15327752jpa5602_13 

  7. I. K. Park & S. J. Kang. (2016). Physical activity and relationship with exercise self-Schema, exercise imagery and exercise self efficacy in adults. Korean Society of Sport Psychology, 27(1), 21-34. DOI : 10.14385/KSSP.27.1.21 

  8. S. Abbaspour, R. Farmanbar, F. Njafi, A. M. Ghiasvand & L. Dehghankar. (2017). Decisional balance and self-efficacy of physical activity among the elderly in rasht in 2013 based on the transtheoretical model. Electronic Physician, 9(5), 4447-4453. DOI : 4447-4453. 10.19082/4447 

  9. Y. M. Lee & H. S. Park. (2004). A study on the stage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s, exercise self efficacy, depression and stress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Women Health Nursing, 10(3), 218-225. 

  10. D. R. Taber, H. Meischke & M. L. Maciejewski. (2010). Testing social cognitive mechanism of exercise in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4(2), 156-165. 

  11. R. M. Ryan. & E. L. Deci. (2002). Handbook of self-determination research, NY: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12. S. M. Kim & J. E. Lee. (2018). The effect of taekwondo player's charismatic leadership on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exercise adherence. The Journal of Korean Alliance of Martial Arts, 20(3), 71-86. 

  13. J. Kowal & M. S. Fortier. (2000). Testing relationships from the hierarchical model of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using flow as a motivational consequence. Research Quarterly for Exercise and Sport, 71(2), 171-252. DOI: 10.1080/02701367.2000.10608895 

  14. E. Mullan & D. Markland. (1997). Variations in self-determination across the stages of change for exercise in adults. Motivation and Emotion, 21(4), 349-362. DOI: 10.1023/A:1024436423492 

  15. C. I. Mun. (2013). Effects of a choice of exercise mode of participants' psychological, physiological effectiveness and adherence on the level of self-determination. The officia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 professionals, 15(4), 75-87. DOI: 10.15758/jkak.2013.15.4.75 

  16. K. S. Cha. (2017). Research trends in wellness: focusing on the journal of wellness. Journal of Wellness, 12(3), 623-633. DOI: 10.21097/ksw.2017.08.12.3.623 

  17. S. B. Choi. (2007). Process of change, dicision balance, self-efficacy corresponding to stage of change in exercise behaviors on older adults. Journal of Sport and Leisure Studise, 29, 661-672. 

  18. P. M. Wilson, K. Longley, S. Muon, W. M. Rodgers & T. C. Murray. (2006). Examining the contributions of perceive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o well-being in exercise. Journal of Applied Biobehavioral Research, 11(3-4), 243-264. DOI: 10.1111/j.1751-9861.2007.00008.x 

  19. M. J. Choi, C. S. Son & Y. M. Ha. (2016). Development of Wellness Indicators for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6(1), 69-78. DOI: 10.4040/jkan.2016.46.1.69 

  20. Y. O. Ha & Y. M. Park. (2017). Effects of perceived stress, quality of sleep, and subjective euphoria on wellness life style in adul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359-367. DOI: 10.15207/JKCS.2017.8.12.359 

  21. K. S. Kim. (2005). A study on the wellness lifestyle of salaried persons. master's thesis. Kyung Woon University, Gyeongbuk. 

  22. B. J. Smith, K. C. Tang & D. Nutbeam. (2006). WHO health promotion glossary: new term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1(4), 340-345. DOI: 10.1093/heapro/dal033 

  23. M. H. Yang & D. J. Kim.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basic needs, motivat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marathon participants. Journal of Korean Physical Education. 45(4), 251-262. 

  24. Y. T. Oh, S. U. Kim & M. H. Yang. (2018).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passi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erformance satisfaction: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and deliberated practice. The Journal of Korean Alliance of Martial Arts, 20(2), 31-45. 

  25. S. K. Yoo & Y. J. Kim. (2015). Mediation effects of the presence of meaning and the basic psychological needs in the relationship of the search for meaning and well-being. Korean Journal of Counseling, 16(2), 53-75. DOI: 10.15703/kjc.16.2.201504.53 

  26. A. Y. Kim. (2010). Self-determination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in educational settings.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24(3), 583-609. 

  27. M. H. Yang, D. J. Kim & J. S. Kim. (2008).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sport club an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on psychological desire satisfaction, motivation, and psychological wellness variables. Journal of Korean sports psychology, 19(4), 87-104. 

  28. S. K. Kim. (1996). Wellness concepts and applications: quality of life and health promotion guidelines. Seoul: The 21st Century Educator. 

  29. B. W. An. (2012).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inuum intention, recreation specialization, wellness by satisfaction of participants in tourism activity focused on leisure sports. Korean Wellness Society, 7(4), 1-13. 

  30. A. Bandura. (1994). Self-efficacy in VS Ramachaudran(Ed.). Encyclopedia of human Behavior, 4, 71-81. 

  31. M. R. Jeong. (2016).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mobile wellness program using ICT for male workers. doctoral dissertation.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nam.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