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Effectiveness of a Mobile Wellness Program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Office Worker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7 no.11, 2019년, pp.369 - 376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 & 건강과학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을 돕기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단일군 사전사후 연구설계로서 총 26명의 사무직 근로자들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에 12주간 참여하였다.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 전후에 설문조사가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사무직 근로자의 보행수(t=-2.52, p=.018), 운동 심리적 욕구만족의 유능성(t=-2.12, p=.044), 웰니스(t=-2.83, p=.009)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은 사무직 근로자들의 보행수를 증가시키고, 운동 심리적 욕구만족의 유능성과 웰니스를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aimed to develop a mobile wellness program, and the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ffice workers to improve their physical activity. A single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was used. A total of 26 office workers received a mobile wellness program using a wearable d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7-12주차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에서는 활동량을 꾸준히 증가시킴과 동시에 목표심박수를 모니터링하여 운동강도를 상승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워크북을 활용 하여 자신의 목표 심박수 50~60%의 의미와 그 수준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활동을 하는 방법에 대해서 교육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활동을 증진하기 위해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그 결과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은 사무직 근로자의 주중 보행수 증가를 가져왔고, 운동 심리적 욕구만족의 유능성과 웰니스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 증진을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이 근로자의 보행수, 운동 심리욕구 만족(자율성, 관계성, 유능성), 웰니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량 증진을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 본 연구의 의의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사무직 근 로자에게 적용한 연구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의의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몇 가지 연구 제한점을 가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근로자를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은 국내외 성인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활용한 다양한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 개발 연구[12,16-19]를 기반으로 개발되었다.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을 증진시키기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은 자신의 신체활동량을 셀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핏빗 제공, 워크북을 활용한 신체활동 교육, 매일 문자메시지 발송으로 구성되었다. 사무직 근로자를 위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신체활동 및 웰니스에 관한 정보를 담은 워크북을 개발하였다.
웰니스란 무엇인가? Choi 등[24]이 근로자의 웰니스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 웰니스지표(Wellness Index for Workers)를 사용하였다. 웰니스란 단지 질병이 없거나 질병위험을 회피하는 것을 넘어서서 최적의 건강상태, 즉 신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경제적 영역에서 개인의 잠재력을 실현하고 역할기대를 수행하는 것으로 세계보건기구에서 정의하였다[25]. 웰니스지표는 5개의 하위영역(신체적 웰니스, 정서적·영적 웰니스, 사회적 웰니스, 인지적 웰니스, 직업적 웰니스)으로 나뉘며, 총 1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시행된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 본 연구는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활동을 증진하기 위해서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서 시행되었다. 그 결과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은 사무직 근로자의 주중 보행수 증가를 가져왔고, 운동 심리적 욕구만족의 유능성과 웰니스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사업장 모바일 웰니스 프로그램은 신체활동량이 다소 부족한 사무직 근로자의 신체활동량을 증가시키고, 이들의 웰니스를 증진시킬 수 있었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8). Fact sheets: physical activity. 2018. Retrieved from http://www.who.int/mediacentre/factsheets/fs385/en/ 

  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3). The physical activity guide for Koreans. Retrieved from http://health.cdc.go.kr/health/ReferenceRoomArea/HealthFileRoom/healthFileDetail.do?ED_NO1851 

  3. U.S. 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s. (2019). Physical activity guidelines for Americans (2nd edition). Retrieved from http://health.gov/paguidelines/second-edition/pdf/Physical_Activity_Guidelines_2nd_edition.pdf 

  4.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6).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Retrieved from http://www.cdc.go.kr/CDC/contents/CdcKr-ContentLink.jsp?fid21&cid76842&ctype1 

  5.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2019). Economically active population by age group. Retrieved from http://kosis.kr/publication/publicationThema.do?pubcodeWI 

  6. D. H. Chae, S. H. Kim & C. Y. Lee. (2013). A study on gender differences in influencing factors of office workers' physical activ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3), 273-281. DOI: 10.12799/jkachn.2013.24.3.273 

  7. E. K. Lee & O. S. Kim. (2013). The factors related to dyslipidemia and hypertension among male off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4), 432-443. DOI: 10.7475/kjan.2013.25.4.432 

  8. J. Lee, Y. Kwon & K. Paek. (2014).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health status among white collar workers in a communit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8), 411-421. DOI: 10.14400/JDC.2014.12.8.411 

  9. K. Paek. (2013). Lifestyles and factors influencing the bone mineral density (BMD) among employees in a commun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4(2), 236-244. DOI: 10.12799/jkachn.2013.24.2.236 

  10. C. Ammendolia et al. (2016). Healthy and productive workers: using intervention mapping to design a workplace health promotion and wellness program to improve presenteeism. BMC Public Health, 16(1), 1190. DOI: 10.1186/s12889-016-3843-x 

  11. Y. Kim & B. Lee. (2016). Comparison of occupational health providers' perception on workers' health promotion program by business types: focusing on need, necessity, performance, barriers, and effectiveness of program.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25(1), 29-40. DOI: 10.5807/kjohn.2016.25.1.29 

  12.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2015). Future department, wearable device industry. Retrieved from https://www.khidi.or.kr/board/view?linkId160710&menuIdMENU00349 

  13. J. B. Wang et al. (2015). Wearable sensor/device (Fitbit One) and SMS text-messaging prompts to increase physical activity in overweight and obese adults: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Telemedicine & e-Health. 21(10), 782-792. DOI: 10.1089/tmj.2014.0176 

  14. S. Willey & J. K. Walsh. (2016). Outcomes of a mobile health coaching platform: 12-week results of a single-arm longitudinal study. JMIR mHealth & uHealth, 4(1), e3. DOI: 10.2196/mhealth.4933 

  15. S. J. Hartman, S. H. Nelson & L. S. Weiner. (2018). Patterns of Fitbit use and activity levels throughout a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exploratory analysi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MIR Mhealth & Uhealth. 6(2), e29. DOI: 10.2196/mhealth.8503 

  16. A. K. Hall, H. Cole-Lewis & J. M. Bernhardt. (2015). Mobile text messaging for health: a systematic review of reviews. Annual Reviews of Public Health, 36, 393-415. DOI: 10.1146/annurev-publhealth-031914-122855 

  17.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2017). Behavioral counseling to promote a healthful diet and physical activity for cardiovascular disease prevention in adults without cardiovascular risk factors: US Preventive Services Task Force Recommendation Statement.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318(2), 167-174. DOI: 10.1001/jama.2017.7171 

  18. D. R. Taber, H. Meischke & M. L. Maciejewski. (2010). Testing social cognitive mechanism of exercise in college studen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Behavior, 34(2), 156-165. 

  19. H. Y. Choi & S. J. Yang. (2013). Effects of walking program based on social cognitive theory for office worker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5(6), 712-724. DOI: 10.7475/kjan.2012.24.6.712 

  20. D. Ogilvie et al. (2007). Interventions to promote walking: systematic review. British Medical Journal, 334(7605), 1204. DOI: 10.1136/bmj.39198.722720.BE 

  2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19). Obesity assessment. Retrieved from http://general.kosso.or.kr/html/?pmodeobesityDiagnosis 

  22. P. M. Wilson, K. Longley, S. Muon, W. M. Rodgers & T. C. Murray. (2006). Examining the contributions of perceived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to well-being in exercise. Journal of Applied Biobehavioral Research, 11(3-4), 243-264. DOI: 10.1111/j.1751-9861.2007.00008.x 

  23. S. M. Han, Y. Ha & J. S. Lee. (2019). The effects of self-efficacy for exercise, psychological need satisfaction in exercise on the wellness among adul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6), 279-286. DOI: 10.14400/JDC.2019.17.6.279 

  24. M. J. Choi, C. S. Son & Y. Ha. (2016). Development of Wellness Indicators for Worker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46(1), 69-78. DOI: 10.4040/jkan.2016.46.1.69 

  25. B. J. Smith, K. C. Tang & D. Nubeam. (2006). WHO health promotion glossary: new terms.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21(4), 340-345. DOI: 10.1093/heapro/dal033 

  26. S. B. Sisson, S. M. Camhi, C. Tudor-Locek, W. D. Johnson & P. T. Katzmarzyk. (2012). Characteristics of step-defined physical activity categories in U.S. adults.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6(3), 152-159. DOI: 10.4278/ajhp.100326-QUAN-95 

  27. M. Jung & Y. Ha. (2019). Effectiveness of a workplace walking program using a fitness tracker including individual counseling and tailored messagi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30(3), In press. 

  28. S. J. Hartman, S. H. Nelson & L. S. Weiner. (2018). Patterns of Fitbit use and activity levels throughout a physical activity intervention: exploratory analysis from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MIR Mhealth & Uhealth, 6(2), e29. DOI: 10.2196/mhealth.8503 

  29. Y. Seo & Y. Ha. (2019). Gender differences in predictors of physical activity among Korean college students based on the Health Promotion Model. Asian/Pacific Island Nursing Journal, 4(1), 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