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2주간 라인댄스가 노인여성의 치매 및 노화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12week Line Dance on dementia and Aging-related factors in Elderly Women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6, 2019년, pp.243 - 249  

김지원 (한양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순아름 (한양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김찬회 (한양대학교 스포츠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60-70대 노인여성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12주간 주 3회, 매회 60분 라인댄스가 치매 및 노화관련호르몬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본 결과 결론은 다음과 같다.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 실시 후 BDNF, DHEA-s, 에스트로겐은 라인댄스 그룹에서 증가하였으나 통제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 실시 후 Apolipoprotein B는 라인댄스 그룹에서는 감소하였으나 통제그룹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그룹과 유의미한 차이는 확인 할 수는 없었지만, 라인댄스 프로그램 적용 그룹에서 치매 예방 및 노화를 지연시키는데 긍정적인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라인댄스의 뚜렷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연구대상과 높은 운동강도, 빈도, 시간 및 운동 장르를 고려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elderly women in their 60s and 70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when line dancing for 60 minuctes every three times a week for 12 weeks on dementia and aging-related hormones. After 12 weeks of line dancing programs, BDNF, DHEA-s, and estrogen increased, ...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라인댄스의 운동 효과 중 치매관련인자와 노화관련인자를 라인을 다년간 참여한 노인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변화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2주간 라인댄스가 노인 여성들의 치매관련인자 그리고 노화관련인자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60-70대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12주 동안 주 3회 1일 60분의 라인댄스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 여성의 BDNF, DHEA-s, 에스트로겐, Apolipoprotein B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비교‧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논의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 여성(60-70세)을 대상으로 12주간 라인댄스 운동이 치매예방 및 노화를 지연 시키는 호르몬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하는 데 있다. 대상은 자발적 참여로 인한 60-70대 노인 여성을 10명의 통제그룹과 10명의 라인댄스 그룹으로 구분하였으며 운동 기간 중 개인사 정으로 중도 탈락한 1명을 제외함으로 라인그룹 9명과 통제그룹 10명, 최종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인댄스의 특징은? 특히 라인댄스는 전 세계적으로 매우 유용한 건강댄스로 활발하게 보급되고 있다[1]. 라인댄스는 반복적인 동작으로 노인 여성들의 인지력과 사고력, 판단력을 증진시켜 주며 회전량이 기억력 향상을 도와주는 데 효과적이라는 사실이다.
운동이 노인들의 BDNF의 기초 농도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이 된다는 근거는? 운동과 BDNF의 변화에 관한 선행연구 중 노인 대상의 (65세) 무릎 골관절염이 있는 노인 여성을 대상으로 12주간 주 3회 걷기운동을 50분간 실시하였더니 BDNF 혈장농도를 상승시켰다고 보고하였다[5]. 또한, 남녀 노인 (63-80세)을 대상으로 댄스 프로그램(라인댄스, 재즈댄스, 락앤롤, 라틴아메리카, 스퀘어댄스)을 실시한 결과 주 2회 90분간 6개월간의 댄스 그룹 참여자들의 혈장 BDNF 수준이 스포츠 그룹 참여자들보다 더 큰 증가를 보였다[6].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은? 이상 내용을 종합해 보면 12주간 라인댄스 프로그램이 BDNF, DHEA-S와 에스트로겐, Apolipoprotein B에서 효과적인 영향을 나타냈으며 치매 및 노화 관련 인자에 도움을 줄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좀더 명확한 라인댄스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연구대상, 운동강도, 빈도, 시간 및 여러 장르별 작품구성을 고려한 중‧장기간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춤의 효과를 통한 공간적 지향, 조정력, 발란스, 지구력, 상호 작용 및 의사소통과 같은 과정을 증진시키고 참여자들에게 항상 새로운 스타일링을 제공함으로써 작업 기억력과 같은 인지능력을 향상시켜 라인댄스가 노인 여성뿐 아니라 남녀 모든 대상에게 유익한 유산소 운동으로써 효과적이며 치매 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가지고 후속 연구를 기대해 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Y. H. Kim, C. W. Lee, Y. K. Jeon, M. J. Yoon & J. Y. Kim. (2008). Line Dance. Seoul: Daehan Media Publishing. 

  2. K. S. Lee. (2012). A study of factors influencing on hopelessness of rural elderly. Doctoral dissertation Paik suk University, Cheonan. 

  3. S. H. Kim. (2010).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participation to line dance and physical self-concept and subjective well-being. Doctoral dissertation. Mokpo University, Mokpo. 

  4. D. K. Binder. (2004). The role of BDNF in epilepsy and other diseases of the mature nervous system. Advances in experimental medicine and biology, 548, 34-56. 

  5. W. F. Gomes, A. C. Lacerda, V. A. Mendonca, A. N. Arrieiro, S. F. Fonseca & M. R Amorim et al. (2014). Effect of exercise on the plasma BDNF levels in elderly women with knee osteoarthritis. Rheumatology international, 34(6), 841-846. 

  6. K. Rehfeld, A. Luders, A. Hokelmann, V. Lessmann, J. Kaufmann, T. Brigadski, P. Muller & N. G. Muller. (2018). Dance training is superior to repetitive physical exercise in inducing brain plasticity in the elderly. PloS one, 13(7), e0196636. doi:10.1371/journal. pone. 0196636. 

  7. H. S. Chahal & W. M. Drake. (2007). The endocrine system and ageing. The Journal of pathology, 211(2), 173-180. 

  8. E. Barrett-Connor, K. T. Khaw & S. S. Yen. (1986). A prospective study of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mortal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The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315(24), 1519-1524. 

  9. M. S. Ha & W. M. Son. (2018). Combined exercise is a modality for improving insulin resistance and aging-related hormone biomarkers in elderly Korean women. Experimental Gerontology, 114, 13-18. 

  10. Y. J. Huang, M. T. Chen, C. L. Fang, W. C. Lee, S. C. Yang & C. H. Kuo. (2006). A possible link between exercise-training adaptation and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an oldest-old female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Medical Sciences, 3(4), 141-147. 

  11. K. Hakkinen, A. Pakarinen, W. J. Kraemer, R. U. Newton & M. Alen. (2000). Basal concentrations and acute responses of serum hormones and strength development during heavy resistance training in middle-aged and elderly men and women. The journals of gerontology. Series A, Biological sciences and medical sciences, 55(2), 95-105. 

  12. J. H. Kim, J. S. Yoon, S. J. Yoon, & S. H. Bae. (2014). The Effect of Korean Dance Performance on Stress Index and the Thickness of Aging Delay Hormone of the Old Aged Women. Journal of the Korean Dance Science, 30(4), 55-66. 

  13. H. S. Park & G. J. Choi. (2016), Effect of Underwater Regeneration Exercise on Lower Root Activity and Aging Retarding Hormones in Elderly wome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Physical Education, 55(2), 579-589. 

  14. M. C. Robles, Gil, R. Timon, A. F. Toribio, D. Munoz, J. I. Maynar, M. J. Caballero & M. Maynar. (2012).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urinary estrogens and progestagens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European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112(1), 357-364. 

  15. C. H. Kim, J. W. Lee & S. I. Han. (2013). The Effect of Exercise Type Performance in Elderly Women on The Aging Hormone and Depression Factor. Journal of the Korean Wellness Society, 8(4), 373-386. 

  16. J. S. Lee, S. K. Ahn, J. Y. Ahn, S. K. Lee, H. C. Park & S. J. Yoon. (2015). Effects of Exercise Type on Body Composition, Aging and Metabolic-Related Blood Components, and Homa-Ir in Obese Older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ocial Sports, 59(2), 745-756. 

  17. J. De Graaf, P. Couture & A. Sniderman. (2015). ApoB in Clinical Care. Houten: Springer. 

  18. G. D. Batty, M. Shipley, G. D. Smith & M. Kivimaki. (2015). Long term risk factors for coronary heart disease and stroke: influence o duration of follow-up over four decades of mortality surveillance. European Journal of Preventive Cardiology, 22(9), 1139-1145. 

  19. C. H. Kim, B. K. Cha & J. S. Lee. (2012). The Effects of a 12-week Walking Exercise on Apolipoprotein B and Nitric Oxide in Middle-aged Women with Hypertension. Journal of the Wellness Society of Korea, 7(1), 213-221. 

  20. J. A. Lee, J. H. Kim, J. W. Kim & D.Y. Kim. (2017). Effects of Aerobic Exercise on Serum Blood Lipids, Leptin, Ghrelin, and HOMA-IR Factors in Postmenopausal Obese Wome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18(2), 549-5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