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구적 일상생활에 초점을 둔 복합인지중재 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 노인에게 미치는 영향 : 예비연구
The Effects of Multimodal Cognitive Intervention Focused on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IADL) for the elderly with High-risk of Dementia : a Pilot Stud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9 no.5, 2019년, pp.210 - 216  

박경영 (중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신수정 (중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도구적 일상생활에 초점을 둔 복합인지중재 프로그램이 치매고위험군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정도, 삶의 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충북 G지역에서 2018년 3월부터 6월까지 실시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참여한 24명의 치매고위험군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다. 중재방법은 도구적 일상생활과 관련된 인지훈련 및 창조적 활동을 적용하였고 중재 전후에 MMSE-DS, 주관적 기억감퇴 설문지, 단축형 우울척도, 삶의 질 평가를 실시하여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도구적 일상생활 초점의 복합인지중재프로그램 후 주관적 기억력 감퇴 정도와 삶의 질에서는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으나, 인지기능과 우울정도에는 변화가 없었다. 우리는 본 연구를 통하여 노인의 실제 생활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복합인지중재 프로그램이 지역사회에서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추후 다양한 도구적 일상생활 활동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multimodal cognitive intervention focusing on instrumental daily life on the cognitive functio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high-risk of dementia.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4 elderly people with high-risk of de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경도인지장애와 초기 치매 노인을 위한 도구적 일상생활에 초점을 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도구적 일상생활에 초점을 둔 복합 인지중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유용성을 확인하였다. 도구적 일상 생활에 보상적인 접근이 될 수 있는 인지재활 활동과 실생 활에 쓸 수 있는 보조도구를 만드는 창조적 활동은 대상자들의 실제 도구적 일상생활의 향상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 본 연구는 도구적 일상생활에 초점을 둔 인지재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인지재활은 특정 영역의 인지기능을 유지?개선보다는 일상생활에서의 기능을 최대화하고, 그에 필요한 인지 요소를 훈련하여 사회적 참여증진을 목표로 하는 포괄적 치료이다[14,1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019). Annual Report 2018. Seoul : National Institute of Dementia. 

  2. World Health Organization. (2012). Dementia: A public health priority. Geneva, Switzerland: World Health Organization. 

  3. S. Douglas, I. James & C. Ballard. (2004).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in dementia. Advances in Psychiatric Treatment, 10(3), 171-177. DOI : 10.1192/apt.10.3.171 

  4. H. S. Kwak & J. H. Park. (2018). A systematic review of the application nonpharmacological cognitive interventions in patients with dementia.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6(4), 13-26. 

  5. American Occupational Therapy Association. (2010).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guidelines for adults with Alzheimer's disease and related disorders. Bethesda : AOTA Press. 

  6.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2009). Standardization of Dementia Diagnostics Tool(11-1351000-000589-01). Seoul :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7. J. A. Yesavage et. al. (198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geriatric depression screening scale : a prelinimary report. Journal of Psychiatric Research. 17(1), 37-49. 

  8. M. J. Cho et. al. (1999). Validation of geriatric depression scale, korean version(GDS) in the assessment of DSM-III-R major depression.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8(1), 48-63. 

  9. J. C. Youn et. al. (2009). Development of the subjective memory complaints questionnaire. Dementia and Geriatric Cognitive Disorders, 27(4), 310-317. 

  10. H. S. Lee, D. K. Kim, H. J. Ko, H. M. Ku, E. J. Kwon & J. H. Kim. (2003). The standardization of geriatric quality of life scal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2(4), 859-881. 

  11. R. G. Logsdon, L. E. Gibbons, S. M. McCurry & L. Teri. (1999). Quality of life in Alzheimer's disease: patient and caregiver reports. Journal of Mental Health and Aging, 5(1), 21-32. 

  12. WHOQOL Group. (1993). Study protocol for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project to develop a quality of life assessment instrument(WHOQOL). Quality of Life Research, 2(2), 153-159. 

  13. S. K. Min, K. I. Kim, S. Y. Suh & D. K. Kim. (2000).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scale(WHOQOL).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9(1), 78-88. 

  14. L. Clare, R. T. Woods, E. D. Moniz Cook, M. Orrell & A. Spector. (2003). Cognitive rehabilitation and cognitive training for early-stage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Cochrane Database Systemic Review, 4, CD003260. 

  15. E. Frank Lopresti, A. Mihailidids & N. Kirsch. (2004). Assistive technology for cognitive rehabilitation: State of the art. Neuropsychological Rehabilitation, 14(1/2), 5-39. 

  16. L. S. Thomas. (2012). Stedman's Medical Dictionary For The Health Professions And Nursing, Hagerstown, MD: LippincottWilliams&Wilkins. 

  17. Y. J. Lee, J. H. Lee, Y. J. Kim, N. Y. Yang & J. H. Park. (2014). The Effect of Multimodal Intervention on Quality of Life, Depression, and Cognitive Function in Elderly People With Dementia :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Occupational Therapy, 22(3), 85-98. DOI : 10.14519/jkspt.2014.22.3.07 

  18. H. J. Kim, C. Y. Lee, H. R. Jung, G. H. Lee & D. H. Kim. (2015). The effect of the multi intervention program applying to dementia elderl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ty Based Occupational Therapy, 5(2), 11-21. DOI : 10.18598/kchot.2015.05.02.02. 

  19. W. S. Chang & S. B. Je. (2008).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 of group reminiscence therapy and group validation therapy for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44, 279-302. DOI : 10.21194/kjgsw..38.200712.157 

  20. K. A. Go & Y. E. Kim. (2018).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 activity integration program designed for the aged with mild dementi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2), 431-44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