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혈액투석환자의 자가간호수행 영향요인 : 불쾌증상이론을 기반으로
Factors Affecting Self-care Perform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6, 2019년, pp.381 - 391  

최은영 (중앙대학교 적십자간호대학) ,  박경숙 (중앙대학교 적십자 간호대학) ,  이현숙 (경동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불쾌증상이론을 기반으로 한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2018는 3월부터 4월까지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5개의 병원에서 237명의 환자의 자료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자가간호 수행은 희망, 가족지지, 의료인 지지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신체적 증상경험과 정서적 증상경험은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가족지지, 정서적 증상, 희망은 자가간호 수행에 33.2%의 설명력을 보였다. 자가간호 수행은 가족지지, 정서적 증상과 희망이 관련 요인이었으므로 대상자와 가족에게 희망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한다면 자가간호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ssociated with self-care performance in hemodialysis patients based on the unpleasant symptom theory. Data were collected from 237 patients at five hemodialysis clinics in Seoul from March to April 2018. The results were evaluated by the SPSS/WIN 21...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불쾌증상이론에 따라 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의 영향요인을 파악하고 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역량 증진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며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평생 투석치료를 받아야 하는 만성신부전 환자가 자가 간호를 수행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불쾌증상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자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며, 불쾌증상의 선행 요인인 생리적 요인(Serum Hemoglobin,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Potassium, Phosphorus, Para thyroid hormone), 심리적 요인(희망과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 증상에 대한 결과로 자가간호 수행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함으로써 간호중재 방안의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 본 연구는 중범위 이론인 불쾌증상이론을 적용하여 투석 환자가 느끼는 증상경험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였으며, 기존의 선행연구와 달리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탐색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를 찾을수 있다. 결론적으로 자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희망이라는 긍정적 정서와 가족지지, 정서적 증상이 중요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던 계기가 되었으므로 이를 바탕으로 실무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자가간호 수행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증상경험과 증상 경험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 증상경험의 결과로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행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결과, 투석환자의 수입은 자가간호 수행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피로와 가려움증, 변비, 수면장애는 가장 많이 경험하는 증상이었다.
  • 본 연구는 혈액투석 환자의 생리적 요인(Serum Hemoglobin, Blood urea nitrogen, Creatinine, Potassium, Phosphorus, Para thyroid hormone), 심리적 요인(희망, 우울), 상황적 요인(사회적 지지)과 증상경험이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에서는 투석 환자를 대상으로 불쾌증상이론을 개념적 기틀로 하여 증상경험과 증상경험의 선행요인이 자가간호 수행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증진을 위한 간호중재 개발에 근거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이 선행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 간호와 관련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상관관계나 관련된 변인을 파악하는데 초점을 두었고 자가간호에 대한 다양한 요인들을 신체적, 정신적, 상황적 측면에서 조사한 연구는 파악하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혈액투석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다각적으로 탐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혈액투석은 무엇인가? 혈액투석은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주는 과정을 통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생명을 연장하는 치료법으로, 그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치료주기의 준수, 식사제한, 약물 복용 등의 자가간호 수행이 요구된다[3]. 혈액투석 환자의 부적절한 자가간호 수행은 고인산혈증과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입원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혈액투석 환자의 부적절한 자가간호 수행은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가? 혈액투석은 체내 노폐물과 수분을 걸러주는 과정을 통하여 증상을 완화시키고 생명을 연장하는 치료법으로, 그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치료주기의 준수, 식사제한, 약물 복용 등의 자가간호 수행이 요구된다[3]. 혈액투석 환자의 부적절한 자가간호 수행은 고인산혈증과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입원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또한 선행연구에서 투석 간 체중증가는 고인산 혈증과 관계가 있었으며, 우리나라 식습관에서 저염식사를 실천하고 수분섭취를 조절하기 어려워 투석 간 체중증가와 수분과다증, 심장 및 폐 합병증이 유발 될 수 있으므로 자가간호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현실적 전략이 필요 하다[5].
국내 만성신부전 환자의 자가간호 수행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혈액투석 환자의 부적절한 자가간호 수행은 고인산혈증과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불필요한 입원으로 이어질 수 있다 [4]. 또한 선행연구에서 투석 간 체중증가는 고인산 혈증과 관계가 있었으며, 우리나라 식습관에서 저염식사를 실천하고 수분섭취를 조절하기 어려워 투석 간 체중증가와 수분과다증, 심장 및 폐 합병증이 유발 될 수 있으므로 자가간호 수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현실적 전략이 필요 하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H. J. Chin & S. G. Kim. (2009). Chronic kidney disease in Korea. Korean Journal of Medicine, 76(5), 511-514. 

  2.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2018). KSN ESRD registry report slide 2018.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online]. http://www.ksn.or.kr/rang_board/list.html?codesinchart_eng 

  3. J. H. Jun & H. K. Kang. (1999). Self care and associating factors in hemodialysis patinets.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6(1), 149-166. 

  4. J. H. Park & H. K. Choi. (2016). The effects of education for hemodialysis patients with a family caregiver on self-care practice and blood biochemical parameter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7(2), 487-498. 

  5. M. K. Cho & M. A. Choe. (2007). Self care behavior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9(2), 105-117. 

  6. A. A. Khalil, T. A. Lennie & S. K. Frazier. (2010). Understanding the negative effects of depressive symptoms in patients with ESRD receiving hemodialysis. Nephrology Nursing Journal, 37(3), 289. 

  7. S. J. Lee & J. H. Jeon. (2014). Symptoms and self-management of chronic kidney patients before hemodialysis. Adult Nursing Association Conference. (pp. 261-262). Seoul: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8. J. E. Cha & M. S. Yi. (2014). Symptom clusters and quality of life in patients on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 123-133. 

  9. J. H. Yang, E. J. Ji, Y. K. Kim, E. Y. Yeom & Y. R. Kweon. (2014). Relationship of social support, hope, and self care among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in korea.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15(1), 17-38. 

  10. Y. J. Son & Y. R. Park. (2005). The relationships of family support, self efficacy and self care performance in patints with chronic illnes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17(5), 793-801. 

  11. Y. H. Jang, H. S. Oh & G. S. Jang. (2012). Self-care behaviors and physiological index according to cognitive function of hemodialysis patients. korean Journal of Health Service Management, 6(2), 57-69. 

  12. S. J. Kang. (2014).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quality of life in hemodialysis patients.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Dongshin University, Naju. 

  13. E. R. Lenz, L. C. Pugh, R. A. Milligan, A. Gift & F. Suppe. (1997). The middle-rang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an update.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3), 14-27. 

  14. M. R. Song, M. J. Kim, M. E. Lee, I. B. Lee & M. R. Shu. (1999).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self-efficacy and self-car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9(3), 563-575. 

  15. M. K. Cho & M. A. Choi. (2008). The effect of health contract intervention based on king's goal attainment theory on self care behavior and physiological indices of hemodialysis patients. 2008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Conference. (pp. 59): Korean Society of Nursing Science. 

  16. W. W. Zung. (1965). A self-rating depression scale.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12(1), 63-70. 

  17. O. H. Shong. (1977). A study of the self rating depression scale(SDS) on psychiatric out clin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16(1), 84-94. 

  18. G. J. An. (2010). Development of instrument to measure hope in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Industrial Science Cheongju University, 28(1), 173-178. 

  19. O. S. Kim. (1993).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ived social support and the quality of life of hemodialysis patients.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20. K. H. Kim. (1996).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to the quality of life of the hemodialysis patients.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yung Hee University, Seoul. 

  21. S. D. Weisbord et al. (2004). Development of a symptom assessment instrument for chronic hemodialysis patients: the Dialysis Symptom Index. Journal of Pain and Symptom Management, 27(3), 226-240. 

  22. E. K. Kim, S. K. Hwang & Y. J. Lee. (2014). Dialysis adequacy, symptom experience, mood states, and hope among patients receiving hemodialysis. Global Health and Nursing, 8(2), 90-100. 

  23. J. E. Park. (2016). Symptom cluster and self-care activity in patients on hemodialysis-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Dissertation. The Graduate School of Korea University, Seoul. 

  24. H. J. Kim, S. H. Kim, H. G. Lee & S. E. Oh. (2014). Factors affecting symptom experiences of breast cancer patients -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Asian Oncology Nursing, 14(1), 7-14. 

  25. S. S. Hedayati et al. (2008). Death or hospitalization of patients on chronic hemodialysis is associated with a physician-based diagnosis of depression. Kidney International, 74(7), 930-936. 

  26. H. W. Kim. (2012). Dependence of elderly peritoneal dialysis patients and burden on family caregiver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0(9), 429-434. 

  27. K. Abdel-Kader, M. L. Unruh & S. D. Weisbord. (2009). Symptom burden,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in chronic and end-stage kidney disease. Clinical Journal of the American Society of Nephrology, 4(6), 1057-1064. 

  28. Y. M. Cho & K. S. Yun. (2017). The relationship between of uncertainty, depression, physiologic index and basic psychological need of hemodialysis patient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0), 281-291. 

  29. B. Bahmani, M. Motamed Najjar, M. Sayyah, A. Shafi-Abadi & H. Haddad Kashani. (2015). The Effectiveness of Cognitive-Existential Group Therapy on Increasing Hope and Decreasing Depression in Women-Treated With Haemodialysis. Global Journal of health science, 8(6), 219-225. 

  30. Y. M. Suk, J. W. Park, M. J. Jeon & C. Y. Kim. (2013). Effect of periodic video education on knowledge about hemodialysis, Patient role behavior and the physiologic index in patients with hemodialysi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5(3), 122-132. 

  31. K. S. Kim, M. S. Lee, K. S. Bang, Y. A. Cho, J. L. Lee & E. Lee. (2013). Relationships among activity status, anxiety, depression, social support, symptom experience, and functional status in lung cancer patients based on the theory of unpleasant symptoms. Perspectives in Nursing Science, 10(2), 87-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