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취업의도 영향요인
Long-term care Employment Intention of Elderly Nurs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0 no.6, 2019년, pp.401 - 409  

황라일 (신한대학교 간호학과) ,  김인아 (서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시도하였다. 연구분석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t-test, ANOVA,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기관 취업의도는 평균 2.8점이었고,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취업의도는 노인과 살았던 경험유무,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의 정도, 가족 중에 노인장기요양보험 혜택을 받은 경우, 장기요양보험제도의 관심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노인장기요양기관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평소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과 가족 중 노인장기요양보험 수혜 여부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향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취업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노인과의 상호작용 및 접촉을 통해 노인문제에 대한 관심을 증대시키는 한편 노인장기요양제도에 대한 관심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교과 및 비교과 융합 프로그램의 운영이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affecting the long - term care - related employment intention of nursing students in graduation grade. The study design was a descriptive study. As a result, the average intention of employment at the long - term care institution for the elderly wa...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에 대한 관심도 및 취업 의도를 파악하고 노인장기요양 분야의 취업 의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노인장기요양 분야에 종사할 전문직 간호사의 인력확충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장기요양 관련 분야 취업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실시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장기요양에 대한 관심도 및 취업 의도를 파악하고 노인장기요양 분야의 취업 의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노인장기요양에 대한 관심도 및 취업 의도를 파악하고 노인장기요양 분야의 취업 의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함으로써, 향후 노인장기요양 분야에 종사할 전문직 간호사의 인력 확충을 위한 전략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노인장기요양 분야의 취업 의도에 영향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의 본 연구는 치매, 뇌졸중 등 노인성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장기요양 인정자의 특성상 일상생활수행 지원과 함께 만성질환 관리와 갑작스러운 응급상황 발생 등 전문적 간호서비스를 요구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어 노인장기요양 분야에서 간호사의 역할이 강조되는 시점에, 졸업 학년 간호학생의 노인장기요양에 대한 관심과 노인장기요양 관련 취업의도를 규명함으로써 향후 노인 장기요양 분야 간호사 인력 확충과 이를 위한 교육과정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장기요양서비스의 기본 원칙은? 자립적으로 일상생활을 수행하고, 가족과 함께 생활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하고 있다. 즉 국가에서는 재가중심의 방문요양, 방문목욕, 방문간호, 주·야간보호, 단기보호, 기타재가급여를 제공하고 있고, 요양시설에 장기간 입소할 수 있는 시설급여를 제공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 분야 관련 취업 의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 대상자의 노인장기요양 분야 관련 취업 의도는 노인과 동거 경험, 평소 노인부양문제에 대한 관심, 노인장기요양 혜택을 받은 가족 여부, 노인장기요양 분야에 관심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이는 노인과 함께 생활하거나 노인을 돌보는 경험이 있는 자 그리고 노년층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가 노인 분야에 종사하려는 업무선호도간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는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한다고 볼 수 있다[20].
우리나라 간호대학생들의 노인장기요양 지식, 능력, 관심도가 낮은 이유는? 본 연구결과 졸업 학년 간호대학생의 경우 교육과정 중 노인장기요양 관련하여 이론 교육 및 실습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2/3 정도였으나, 이들이 노인장기요양 관련하여 스스로가 인지하는 지식 정도와 능력 정도 그리고 노인장기요양에 대한 전반적 관심도는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미 20여 년 전부터 미국 간호대학에서는 노인간호학을 필수 교과목으로 개설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던 것과는 달리 우리 나라는 노인간호학 교과목을 전공 선택 또는 교양 교과목으로 개설하고 있으며, 노인 간호학 실습 교과목이 미개설된 상황에서 이론 교과목만으로 개설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동일한 맥락에서 볼 때, 향후 간호교육에서 노인간호 관련 교과 과정을 필수로 이수할 수 있도록 강화하여야 할 것이며, 특히 급성기 간호제공 이외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을 대상으로 양질의 노인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13,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Y. H. Cho, S. W. Lee, & J. Y. Park. (2013). The Introduction of the Public Long-Term Care Insurance and the Changes in Working Conditions of Care Worker: with Special Attention to Wages and Employment Types, Journal of Korean 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15(2), 193-215. 

  2. Y. K. Lee et al (2017). Establishment of the 2nd Long-term Care Basic Plan, Osong Ministry of health & welfare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3. I. K. Choi. (2016). A Study on the Linkage Model of Community Elderly Protection System: Focusing o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7(6), 259-266. Doi : http://dx.doi.org/10.15207/JKCS.2016.7.6.259 

  4. J. S. Kim & H. Y. Oh. (2006). Perceptions and attitude on use of physical restraints among caregivers on long term care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Gerontological Society, 26(2), 347-360. Doi : G704-000573.2006.26.2.002 

  5. M. K .Kim, D. H. Park, & O. H. Ahn (2014). The Care Giving Burden of Primary Caregiver based on Nursing Needs of Long-term Care Insurance Grade,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5(3), 7-16. DOI : http://dx.doi.org/10.15207/JKCS.2014.5.3.007 

  6. Statistics Korea. (2017). Elderly statistics in 2017. KOSIS [Online].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350&tblIdDT_35006_N022&vw_cdMT_TM1_TITLE&list_idA05_A05_6&scrId&seqNo&lang_modeko&obj_var_id&itm_id&conn_pathMT_TM1_TITLE&path%252FeasyViewStatis%252FcustomStatisIndex.do 

  7. S. H. Yoon, S. Y. Kim, & X. Wu. (2014). Perception of Workers n Patient Safety Culture and Degree of Patient Safety in Nursing Homes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20(3), 247-256. Doi : 10.11111/jkana2014.20.3.247 

  8. K. R. Park & Y. S. Yi. (2002). A study on perception of successful aging in later life. The Journal of Korean Geriatrics Society, 22(3), 53-66. 

  9. M. Courtney, S. Tong & A. Walsh. (2000). Acute-care nurses'attitudes towards older patients: A literature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Practice, 6, 62-69. Doi: 10.1046/j.1440-172x.2000.00192.x 

  10. J. Fox. (1997). Applied regression analysis, linear models and related methods. Thousand Oaks, CA : Sage Publications. 

  11. Y. K. Yang. (2013). A study on aging knowledge, attitudes and awareness about supporting the aged in undergraduate stud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19(4), 498-507. Doi : 10.5977/jkasne.2013.19.4.498 

  12. M. J. Shin. (2011). Perception about the elderly among undergraduate students interested in the elderly care business, Journal of Korean Academy Nursing Administration, 17(4), 551-562. 

  13. A. Berman, M. Mezey, M. Kobayasgum, T. Fulmer, J. Stanley, D. Thornlow & P. Rosenfeld. (2005). Gerontological nursing content in baccalaureate nursing programs: Comparison of findings from 1997 and 2003, Journal of Professional Nursing, 21(5), 268-275. Doi : 10.1016/j.profnurs.2005.07.005 

  14. C. G. Kim et al. (2013). Gerontological nursing education in bsn programs in South Korea: Present status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in the futur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y Nursing, 15(3), 185-191. 

  15. A. M. L. Husebo, M. Storm, B. B. Vaga, A. Rosenberg, & K. Akerjordet. (2018). Status of knowledge on student-learning environments in nursing homes: A mixed-method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7, 1344-1359. Doi: 10.1111/jocn.14299. 

  16. J. A. Kim. (2016). Nursing student experiences of gerontological nursing practicum at elderly care facilities, Qualitative Research, 17(1), 112-121. 

  17. Y. J. Lee & Y. S. Kim. (2017). Relationship between major satisfaction, career decision autonomy, and career search behavior of nursing college students in clinical practice experience, Journal of Korean Academy Society Nursing Education, 23(4), 474-485. Doi : 10.5977/jkasne.2017.23.4.474 

  18. M. S. Park & S. M. Kang. (2010). Demand prospect of professional workers in execution of the elderly's long-term care insurance -nurse, social welfare, care probation professional workers-, Communications for Statistical Applications and Methods, 17(3), 423-440. Doi : 10.5351/CKSS.2010.17.3.423 

  19. J. S. Lee, R. I. Hwang, & M. K. Lim. (2015). A study on working conditions and factors related to job satisfaction of nurses in the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the elderly,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29(3), 551-564. Doi : 10.5932/JKPHN.2015.29.3.551 

  20. G. E. Gomez, E. A. Young, & E. A. Gomez. (1991). Attitude toward the elderly, fear of death, and work preference of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Gerontology Geriatric Education, 11(4), 45-56. Doi : 10.1300/J021v11n04_04 

  21. R. I. Hwang. (2017). Perception toward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among seniors in health and welfare colleg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1), 193-201. Doi : 10.15207/JKCS.2017.8.11.193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