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말 코팅을 위한 원자층 증착법
Atomic Layer Deposition for Powder Coating 원문보기

한국분말야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owder Metallurgy Institute, v.26 no.3, 2019년, pp.243 - 250  

최석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한정환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최병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tomic layer deposition (ALD) is widely used as a tool for the formation of near-atomically flat and uniform thin films in the semiconductor and display industries because of its excellent uniformity. Nowadays, ALD is being extensively used in diverse fields, such as energy and biology. By controll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ALD 기술을 이용해 분말 입자를 코팅하는 경우, 2차원에 가까운 반도체 기판 표면과는 달리 분말 입자의 크기와 분포, 형상, 표면 상태, 수분에 의한 입자의 응집(agglomeration) 등 다양한 입자의 상태가 ALD 박막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리액터가 쓰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ALD 코팅 기술을 분말 소재에 적용하기 위해 고안된 리액터에 관련된 논문들을 반응 장치의 컨셉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했다[1, 4]. 이 주제로 발표된 리뷰 논문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관련 최신 연구 결과를 정리했다.
  • 본 연구에서는 ALD 코팅 기술을 분말 소재에 적용하기 위해 고안된 리액터에 관련된 논문들을 반응 장치의 컨셉에 따라 분류하여 정리했다[1, 4]. 이 주제로 발표된 리뷰 논문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는 점차 확대되고 있는 관련 최신 연구 결과를 정리했다. 2장에서는 ALD 기술의 분말 소재 코팅을 위한 이슈를 간단히 설명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원자층 증착법이란? 원자층 증착법(atomic layer deposition; 이하 ALD)은 화학적 기상 증착법(chemical vapor deposition, CVD)의 일종으로, Å 단위에서의 두께 조절이 가능하고 단차 피복성이 높아 복잡한 형상에서도 균일한 박막을 성장시킬 수 있는 박막 형성 기술이다. ALD 기술은 원료가 되는 기체 상태의 분자를 교대로 주입하여 기판 표면에서의 리간드 교환 반응을 통해 박막을 형성하는 원리이다.
분말 입자를 ALD를 이용해 코팅는 경우 특징은? 분말 입자를 ALD를 이용해 코팅하는 경우, 표면적이 크게 증가하게 될 뿐만 아니라, 리액터(reactor) 내에 놓여있는 입자의 위치에 따라 가스가 확산되어 반응할 수 있는 양적, 시간적인 농도가 크게 다르다. Fig.
ALD 기술의 두께 제어 특성이 좋은 이유는 무엇인가? ALD 기술은 원료가 되는 기체 상태의 분자를 교대로 주입하여 기판 표면에서의 리간드 교환 반응을 통해 박막을 형성하는 원리이다. 이 때 표면에 흡착되어 있는 분자와 새로 주입된 분자가 선택적으로 강한 화학적 결합을 하고, 강하게 흡착되지 못한 여분의 기체 분자는 퍼지(purge) 과정을 통해 비활성 기체에 의해 표면에서 제거되는 자기 제어적인 성장(self-regulated growth) 특성으로 인해, 매우 정밀하게 두께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우수한 단차 피복성과 균일성으로 인해 ALD 기술은 극미세화와 고도의 3차원 구조화가 일어나고 반도체 공정에서 필수 불가결한 박막 형성 공정이 되고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10.1116/1.4851676 D. Longrie, D. Deduytsche and C. Detavernier: J. Vac. Sci. Technol., A, 32 (2014) 010802. 

  2. 10.1002/(SICI)1521-4095(199810)10:15 3.0.CO;2-X R. Davies, G. A. Schurr, P. Meenan, R. D. Nelson, H. E. Bergna, C. A. S. Brevett and R. H. Goldbaum: Adv. Mater., 10 (1998) 1264. 

  3. 10.4150/KPMI.2016.23.2.170 D. H. Kim and B. J. Choi: J. Korean Powder Metall. Inst., 23 (2016) 170. 

  4. 10.1002/admi.201800581 S. Adhikari, S. Selvaraj and D. H. Kim: Adv. Mater. Interfaces, 5 (2018) 1800581. 

  5. 10.1016/S0040-6090(00)00973-1 J. D. Ferguson, A. W. Weimer and S. M. George: Thin Solid Films, 371 (2000) 95. 

  6. 10.1021/cm000313t J. D. Ferguson, A. W. Weimer and S. M. George: Chem. Mater., 12 (2000) 3472. 

  7. 10.1016/S0169-4332(00)00205-1 J. D. Ferguson, A. W. Weimer and S. M. George: Appl. Surf. Sci., 162 (2000) 280. 

  8. 10.1016/j.tsf.2008.05.026 D. M. King, X. Liang, P. Li and A. W. Weimer: Thin Solid Films, 516 (2008) 8517. 

  9. 10.1016/S0032-5910(00)00309-0 J. P. K. Seville, C. D. Willett and P. C. Knight: Powder Technol., 113 (2000) 261. 

  10. 10.1016/S0009-2509(00)00055-5 P. C. Knight, J. P. K. Seville, H. Kamiya and M. Horio: Chem. Eng. Sci., 55 (2000) 4783. 

  11. 10.1002/aenm.201200230 K. L. Pickrahn, S. W. Park, Y. Gorlin, H. B. R. Lee, T. F. Jaramillo and S. F. Bent: Adv. Energy Mater., 2 (2012) 1269. 

  12. 10.1016/0009-2509(74)85051-7 J. Baeyens and D. Geldart: Chem. Eng. Sci., 29 (1974) 255. 

  13. 10.1002/9780470727102 M. J. Rhodes: Introduction to Particle Technology, John Wiley & Sons Ltd, Chichester (2008). 

  14. 10.1016/0032-5910(80)85005-4 A. R. Abrahamsen and D. Geldart: Powder Technol., 26 (1980) 35. 

  15. 10.1007/s11051-012-0737-4 J. R. van Ommen, J. M. Valverde and R. Pfeffer: J. Nanopart. Res., 14 (2012) 737. 

  16. 10.1016/0032-5910(72)83014-6 D. Geldart: Powder Technol., 6 (1972) 201. 

  17. 10.1016/0032-5910(73)80037-3 D. Geldart: Powder Technol., 7 (1973) 285. 

  18. 10.1111/j.1551-2916.2004.00762.x J. R. Wank, S. M. George and A. W. Weimer: J. Am. Ceram. Soc., 87 (2004) 762. 

  19. 10.1016/j.surfcoat.2007.05.002 D. M. King, J. A. Spencer, X. Liang, L. F. Hakim and A. W. Weimer: Surf. Coatings Technol., 201 (2007) 9163. 

  20. 10.1016/j.powtec.2005.04.009 J. D. Ferguson, K. J. Buechler, A. W. Weimer and S. M. George: Powder Technol., 156 (2005) 154. 

  21. 10.1016/j.powtec.2004.01.023 C. Zhu, G. Liu, Q. Yu, R. Pfeffer, R. N. Dave and C. H. Nam: Powder Technol., 141 (2004) 119. 

  22. 10.1016/j.cej.2006.02.012 Q. Guo, H. Liu, W. Shen, X. Yan and R. Jia: Chem. Eng. J., 119 (2006) 1. 

  23. 10.1016/j.powtec.2011.03.007 S. Kaliyaperumal, S. Barghi, J. Zhu, L. Briens and S. Rohani: Powder Technol., 210 (2011) 143. 

  24. 10.1021/am100279v X. Liang, K. S. Barrett, Y. B. Jiang and A. W. Weimer: ACS Appl. Mater. Interfaces, 2 (2010) 2248. 

  25. 10.1016/j.powtec.2012.03.038 D. Barletta and M. Poletto: Powder Technol., 225 (2012) 93. 

  26. S. W. Park, J. W. Kim, H. J. Choi and J. H. Shim: J. Vac. Sci. Technol., A, 32 (2014) 01A115. 

  27. 10.1002/cvde.200506392 L. F. Hakim, J. Blackson, S. M. George and A. W. Weimer: Chem. Vap. Deposition, 11 (2005) 420. 

  28. 10.1016/j.powtec.2008.01.025 D. M. King, X. Liang, Y. Zhou, C. S. Carney, L. F. Hakim, P. Li and A. W. Weimer: Powder Technol., 183 (2008) 356. 

  29. 10.1016/j.apt.2008.06.002 J. Yang, T. Zhou and L. Song: Adv. Powder Technol., 20 (2009) 158. 

  30. 10.1016/j.partic.2011.03.003 S. Kaliyaperumal, S. Barghi, L. Briens, S. Rohani and J. Zhu: Particuology, 9 (2011) 279. 

  31. 10.1116/1.2393299 J. A. McCormick, B. L. Cloutier, A. W. Weimer and S. M. George: J. Vac. Sci. Technol., A, 25 (2007) 67. 

  32. 10.1116/1.4941918 K. Manandhar, J. A. Wollmershauser, J. E. Boercker and B. N. Feigelson: J. Vac. Sci. Technol., A, 34 (2016) 021519. 

  33. 10.1016/j.surfcoat.2012.10.045 D. Longrie, D. Deduytsche, J. Haemers, K. Driesen and C. Detavernier: Surf. Coatings Technol., 213 (2012) 183. 

  34. 10.1016/j.surfcoat.2012.02.038 J. Musschoot, J. Dendooven, D. Deduytsche, J. Haemers, G. Buyle and C. Detavernier: Surf. Coatings Technol., 206 (2012) 4511. 

  35. 10.1016/j.ccr.2013.06.015 S. E. Potts and W. M. M. Kessels: Coord. Chem. Rev., 257 (2013) 3254. 

  36. 10.1002/adma.200903951 Y. S. Jung, A. S. Cavanagh, L. A. Riley, S. H. Kang, A. C. Dillon, M. D. Groner, S. M. George and S. H. Lee: Adv. Mater., 22 (2010) 2172. 

  37. 10.1039/C5EE01254F X. Wang and G. Yushin: Energy Environ. Sci., 8 (2015) 18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