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치해석 및 진동대 실험을 통한 충전기의 캐비닛내부응답스펙트럼(ICRS) 결과 비교
In-Cabinet Response Spectrum Comparison of Battery Charger by Numerical Analysis and Shaking Table Test 원문보기

한국압력기기공학회 논문집 =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Pressure Vessels and Piping, v.15 no.1, 2019년, pp.53 - 61  

이상진 (한국원자력연구원) ,  최인길 (한국원자력연구원) ,  박동욱 (국토교통인프라운영원) ,  임승현 (한국원자력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eismic capacity of electric cabinets in Nuclear Power Plants (NPPs) should be qualified before installation and be maintained during operation. However it can happen that identical devices cannnot be produced for replacement of devices mounted in electric cabinets. In case of when no In-Cabinet...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4)을 구성하여 별도의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별도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1차원 스프링-질량 시스템을 별도로 모델링하였으며, 이를 통해 충전기 내부 패널 응답의 재현성을 높임으로써 수치해석 모델로 산출되는 ICRS의 정확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충전기와 같은 Relay Panel type의 경우 외함(housing)에 캐비닛 대부분의 질량이 분포한다는 연구결과(1)가 제시되어 있으므로 패널을 제외한 충전기의 질량을 수치해석 모델에 균등하게 분포시켰다.
  • 본 연구에서는 수치 해석적 기법을 통해 ICRS를 생성하는 방식으로 예측해보았다. 이를 위해 원자력발전소에 실제 사용되는 캐비닛형 전기기기 중 충전기(battery charger)에 진동대 실험을 수행한 결과(4)를 활용하였으며, 수치 해석 결과로 예측된 ICRS을 실험결과와 비교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원자력발전소에 설치된 충전기를 수치해석 및 진동대 실험을 통해 ICRS를 비교하였다. 충전기는 진동대에 설치되었으며, ICRS를 생성하기 위하여 충전기 내부에 가속도계를 설치하였다.
  • 수치해석의 방법론으로 ANSYS(7)에서 제공하는 모드 중첩법을 적용하였으며, X와 Y 각 방향에서 누적 모드 질량 참여율이 90% 이상이 되도록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ICRS을 주어진 조건하에서 예측해내는 것이므로, 1차원 보 요소로 구성한 해석모델이 충전기 구조물의 거동을 최대한 유사하게 모사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1차원 보 요소의 단면특성과 재료물성, 감쇠비를 구성하였다.

가설 설정

  • 그러나 A7의 경우 해당 그래프는 1개 이상의 공진 주파수가 존재하는 것으로 보이며 그 중 전달률 값이 최대인 44 Hz를 모델링을 위한 공진 주파수로 선택하였다. A9의 경우 약 44 Hz부터 53 Hz 대역에서 A6 대비 증가한 전달률을 보이고, 정확한 공진 주파수를 판단하기 어려우므로 약 49 Hz의 공진 주파수를 가지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Fig.
  • 충전기의 바닥의 모든 회전방향은 구속된 상태이며 각 병진방향으로는 입력 가속도(A1)가 가해진다. Fig. 1의 A7-9 위치에서 알 수 있듯이 패널과 부착물의 실제 형상은 복잡하지만 이를 1자유도계의 진동으로 가정하고 수치해석 모델을 구성하여, 보요소의 거동과 스프링-질량 시스템의 거동만으로 표현하였다. 그 결과 수치해석 모델에서 얻어진 응답과 진동대 시험을 통해 얻은 응답에 차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캐비닛내부응답스펙트럼캐비닛내부응답스펙트럼(ICRS:In-cabinet response spectrum)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어떤 방법이 가장 신뢰도가 높은가? 그러나 부속장치의 재고가 없고 동일한 부품의 생산이 중지되어 더 이상 확보가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캐비닛내부응답스펙트럼(ICRS:In-cabinet response spectrum)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해당 캐비닛에 새로운 부속장치를 교체한 후 집합체 시험을 하는 방법이 가장 신뢰도가 높겠지만, 운영 중에 있는 원자력발전소의 캐비닛을 제거했다가 다시 설치하는 것은 현실적인 방법이 아니다.
캐비닛내부응답스펙트럼이 존재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로써,ICRS를 예측하는 방법이 있다. EPRI 보고서(1)에서는 전기 캐비닛의 ICRS를 예측하기 위해 전기 캐비닛을 3가지로 분류하고 해당 분류 내에서 다양한 크기의 캐비닛에 대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를 바탕으로 증폭계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캐비닛 내진검증을 위해 무엇을 사용하는가? 원자력발전소의 안전과 관련된 캐비닛형 전기기기 역시 설치 전 내진검증이 요구된다. 캐비닛의 내진검증을 위해 캐비닛이 위치하는 층의 층응답스펙트럼에 상응하는 지진시간 이력을 지진입력값으로 사용하며, 이를 캐비닛에 가하여 기기 전체의 구조적 안전성과 기능이 유지됨을 보인다. 검증을 마친 캐비닛은 설치된 이후에도 유지관리 되어야 하는데, 수십 년에 달하는 운영기간 동안 캐비닛을 구성하는 부속장치의 교체는 불가피하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