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형에 따른 강원지역의 강설입자 크기 분포 특성 분석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now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Gangwon Region according to Topography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0 no.3, 2019년, pp.227 - 239  

방원배 (경북대학교 대기원격탐사연구소) ,  김권일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염대진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조수정 (기상청 수치모델링센터 수치자료응용과) ,  이청룡 (경북대학교 대기원격탐사연구소) ,  이대형 (경북대학교 천문대기과학과) ,  예보영 (경북대학교 대기원격탐사연구소) ,  이규원 (경북대학교 대기원격탐사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원지역은 우리나라의 다설지로서 복잡한 지형 때문에 강설량의 공간변동성이 크다. 특히 동풍조건에서 강설이 발생할 시 강설량의 공간적 변동을 예측하기 어렵다. 동풍조건에서는 강원지역 내 위치에 따라 대기환경조건이 다르며 이는 강설의 특성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풍 조건에서 태백산맥의 풍상측과 풍하측에서 강설의 미세물리적 특성을 서로 비교 분석하였다. 강원지역 내 4개 관측지점을 선정하여 파시벨 수적계로 입자크기분포를 관측하였다. 얻어진 강설입자 크기 분포의 특성을 풍상측과 풍하측간 비교한 결과, 풍상측의 강설입자 크기 분포는 풍하측에 비해 넓은 분포를 가졌고 작은 강설입자의 수도 많았다. 강설입자의 수농도에 비례하는 보편특성수농도와 강설입자의 직경에 비례하는 보편특성직경 둘 다 풍상측에서 상대적으로 큰 값을 보였다. 또한, 얼음수함량과 강설강도 비교에서도 풍상측 지점에서 큰 평균값을 가졌다. 이 결과가 나타난 원인은 태백산맥 산사면에서 공기덩어리의 강제적 상승효과로 풍상측 지점 상공에 새로운 강설입자의 생성이 활발했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또한, 풍상측은 따뜻하고 습한 동풍이 불어오므로 이로 인해 지상기온이 $0^{\circ}C$ 근처에 머무르며 강한 부착과정이 일어나기 좋은 조건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vy snowfall events frequently occur in the Gangwon province, and the snowfall amount significantly varies in space due to the complex terrain and topographical modulation of precipitation. Understanding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heavy snowfall and its prediction is particularly challenging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동풍 상태에서 강설이 발생 할 때 태백산맥의 풍상측과 풍하측에 설치된 강설입자크기 분포를 분석하였다. 2017년 겨울 동풍조건 강설시 관측된 2개의 강설사례에 대해 각 관측지점별 강설입자 크기 분포 및 강설입자 크기 분포 특성변수를 계산하였다.

가설 설정

  • ΔD는 채널 간 직경차이(Di+1− Di)로부터 계산되었으며 32번째 직경채널의 ΔD는 31번째 직경채널의 ΔD와 같다고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강원지역에서 집중관측망의 필요성이 증대된 이유는 무엇인가? , 2004). 또 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기간 동안 예보지원 및 강설연구를 위하여 집중관측망의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이에 따라 2016년부터 2018년까지 평창군을 비롯한 강원지역에 다양한 지상관측장비와 원격탐사장비 등의 집중관측망을 구축하고 이를 활용하여 강설연구를 진행한 ICE-POP 2018 (International Collaborative Experiments for Pyeongchang 2018 Olympic and Paralympic winter games) 프로젝트가 진행되었다 (Lee et al.
강설입자 크기 분포의 특성변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또한 이러한 특성변수를 이용하여 강설의 정량적 특성, 지형과 연관된 강설의 미세물리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강설입자 크기 분포의 특성변수는 강설강도(snowfall rate), 얼음수함량(ice water content), 보편특성수농도(generalized characteristic number concentration), 보편특성직경(generalized characteristic diameter) 등이 있다. 강설강도와 얼음수함량은 강수량과 관련된 특성변수로 눈의 밀도를 고려하기 때문에 습설 또는 건설의 특성이 나타난다.
파시벨이란 무엇인가? 파시벨은 강수입자의 낙하속도와 직경을 측정하는 관측장비로, 강수입자크기분포 이해에 도움이 되어 강우뿐만 아니라 강설연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Cha, 2014; Heo et al., 20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10.1029/RG011i001p00001 Atlas, D. , Srivastava, R. C. , and Sekhon, R. S. ,1973, Doppler radar characteristics of precipitation at vertical incidence. Reviews of Geophysics, 11, 1-35. 

  2. 10.1175/2009JTECHA1332.1 Battaglia, A. , Rustemeier, E. , Tokay, A. , Blahak, U. , and Simmer, C. ,2010, PARSIVEL snow observations: A critical assessment,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27, 333-344. 

  3. 10.1175/JAM2489.1 Brandes, E. A. , Ikeda, K. , Zhang, G., Schönhuber, M., and Rasmussen, R. M.,2007, A statistical and physical description of hydrometeor distributions in Colorado snowstorms using a video disdrometer.,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6, 634-650. 

  4. Cha, J. -W. ,2014, Characteristics of hydrometeors and vertical profiles of precipitation at a mountain and a coastal site in Korea observed by ground-based measurements. Ph. D. Thesis, Yonsei University, 176 pp. 

  5. Cho, K.-H. , Cho, Y.-J. , and Kwon, T.-Y. ,2004, Characteristics of air mass related with precipitation events in Yeongdong region.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e Sciences, 40, 381-393. (in Korean) 

  6. Cheong, S. -H. , Byun, K. -Y. , and Lee, T. -Y. ,2006, Classification of Snowfalls over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Developing Mechanism. Atmosphere, 16, 33-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Heo, S. -I. , Nam, K. -Y. , Lee, S. -Y. , Choi, B. -C. ,2014,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nowfall at Daegwallyeong region by using ground observation data. Proceedings of the Fall Meeting of KMS, 781-782. (in Korean) 

  8.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17, Meteorological Information Portal Service System [http://afso.kma.go.kr/afsOut/rsw/emg/rswMain.jsp.]. 

  9. KMA,2017, Nalssi-nuri [http://www.weather.go.kr/weather/climate/past_cal.jsp.]. 

  10. 10.14191/Atmos.2013.23.3.245 Kwon, T.-Y. , Kim, J.-S. , and Kim, B.-G. ,2013, Comparison of the properties of Yeongdong and Yeongseo heavy rain. Atmosphere, 23, 245-264. (in Korean) 

  11. 10.1175/1520-0450(2004)043@@ @@2.0.CO;2 Lee, G. -W. , Zawadzki, I. , Szyrmer, W. , Sempere-Torres, D. , and Uijlenhoet, R. ,2004, A general approach to double-moment normalization of drop size distributions.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3, 264-281. 

  12. Lee, G. -W. , K. -I. Kim, Ahn, G. -D. , and Joo, S. -W ,2016, ICE-POP 2018 microphysical observation network and observation plan. Proceedings of the Fall Meeting of KMS, 364-365. (in Korean) 

  13. 10.1007/s00376-015-4234-4 Lee, J. -E. , Jung, S. -H , Park, H. -M. , Kwon, S. -H , Lin, P. L. , and Lee, G. W. ,2015, Classification of precipitation types using fall velocity-diameter relationships from 2D-video distrometer measurements. Advances in Atmospheric Sciences, 32, 1277-1290. 

  14. Lee, J.-S. , Kwon, T.-Y. , and Kim, D.-R. ,2006, Statistical verification of precipitation forecasts from MM5 for heavy snowfall events in Yeongdong region. Atmosphere, 16, 125-139. (in Korean) 

  15. 10.1175/1520-0426(2000)017@@ @@2.0.CO;2 Löffler-Mang, M. , and Joss, J. ,2000, An optical disdrometer for measuring size and velocity of hydrometeors. 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 17, 130-139. 

  16. 10.1175/1520-0450(2001)040@@ @@2.0.CO;2 Testud, J. , Oury, S. , Black, R. A. , Amayenc, P. and Dou, X. ,2001, The concept of “normalized” distribution to describe raindrop spectra: A tool for cloud physics and cloud remote sensing,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40, 1118-1140. 

  17. 10.1175/JAM2406.1 Yuter, S. E. , Kingsmill, D. E. , Nance, L. B. and Löffler- Mang, M. ,2006, Observations of precipitation size and fall speed characteristics within coexisting rain and wet snow.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and Climatology, 45, 1450-146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