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강설특성과 강설시간을 고려한 강설지역의 유형 구분에 관한 연구
The Study for Classifying Snowfall Area Types with Consideration of Snowfall Characteristics and Times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6 no.1 = no.47, 2020년, pp.21 - 33  

김근영 (Department of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Kangnam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229개 기초지자체 권역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지역 제설 대응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과거의 지역별 강설특성과 강설시간을 이용하여 강설지역 유형을 구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를 위해 우선적으로 기상관측소 기준의 강설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연속 강설 시간을 이용하여 지역유형을 구분하였다. 마지막으로 GIS분석기법을 적용하여 강설지역 유형에 대한 정보를 GIS지도로 제작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유형을 분류한 결과 '눈이 자주 많이 오는 지역', '눈이 자주 조금 오는 지역', '눈이 가끔 많이 오는 지역', '눈이 보통 오는 지역', '눈이 희박한 지역' 등 총 5개의 강설 지역유형이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효율적인 제설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제설 장비, 자재, 차량, 인력의 지역별 수요를 추정하는데 기초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classify snowfall area types with consideration of past regional snowfall characteristics and times for the effective local snow removal response systems of 229 local government districts. Method: This research first collected snowfall data of South Kor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눈이 적게 또는 많이 내릴 때 모두 제설이 실시되기 때문에 얼마나 많이 눈이 오는지에 대한 정보가 중요하지만 얼마나 길게 오는지도 제설대응에 중요한요소가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존의 강설량을 기준으로 하는 강설지역 구분을 보완하기 위하여 연속 강설시간을 기준으로강설지역의 특성을 파악해 이를 지역유형 구분에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지역유형에 대한 구분 결과는 지자체에서 제설대응체계를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기상청의 방재기상정보시스템을 이용해 연속 강설시간 자료를 구축하였다. 연속 강설시간 자료는 2006년에서2015년 사이에 전국90개 관측소에서 관측된 각 시간대별 누적 적설 데이터를 이용하여 구축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229개 기초지자체 권역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을 고려한 제설 대응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기초연구로과거의 지역별 연속 강설시간을 활용하여 강설지역에 대한 유형을 구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각 지자체 소속 기상관측소의 과거 10년의 시간대별 강설 데이터를 구축하였고, 둘째, 구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연속 강설 시간을 이용하여 유형구분을 하여 이를 바탕으로 시간을 고려한 강설지역 유형 지도를 작성하였다.
  •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229개 기초지자체 권역을 대상으로 지역특성을 고려한 효과적인 지역 제설 대응체계를 구축할 수있도록 과거의 지역별 강설특성과 강설시간을 이용하여 강설지역 유형을 구분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적으로 기상관측소 기준의 강설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연속 강설시간을 이용하여 지역유형을 구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Anselin, L. (1995). "Local indicator of spatial association-LISA." Geographical Analysis, Vol. 27, pp. 93-115. 

  2. Choi, J.-S. (1990). "The Classification of Snowfall Area and its Reginal Characteristics of South Ko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 Society, Vol. 25, No. 1, pp. 35-48. 

  3. Chung, K.-Y., Jung, Y.-S., Hwang, B.-J. (1999). "Classification of Snowfall Regions using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sia-Pacific Journal of Atmospheric Sciences, Vol. 35, No. 3, pp. 466-473. 

  4. Han, W.-S., (2014). "Increase and Countermeasures for Vulnerable Areas due to Climate Change." KRIHS Policy Brief, No. 450. 

  5. Jenks, G.F. (1967). "The Data Model Concept in Statistical Mapping." International Yearbook of Cartography Vol. 7, pp. 186-190. 

  6. Kim, H.-J., Oak, Y.-S., Kim, G.-Y. (2017a). "Regional snows scenario for the support systems 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3, No. 2, pp. 163-172. 

  7. Kim, H.-J., Kim, S.-Y., Kim, G.-Y. (2017b). "Estimating Equipment and vehicle Demands for Snow Removal Tasks by Road Snow Removal Scenarios",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3, No. 2, pp. 199-212. 

  8. Kim, S.-B., Shin, H.-J., Ha, R., Kim, S.-J. (2012). "Spatio-temporal Analysis of Snowfall for 5 Heavy Snowfall Areas in South Korea." Journal of KSCE, Vol. 32, No. 2B, pp. 103-111. 

  9. Lee, J.-S., Shin, C.-D., Kim, B.-C. (2010). "A Study on the Regionalization of Snowfall using Multivariate Analysis in Korea."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pp. 1591-1595. 

  10. Lee, K.-M., Lee, S.-H. (2006). "The Spatial Distribution of Snowfall and its Development Mechanism over the Honam Area." Journal of Korean Geographic Society, Vol. 41, No. 4, pp. 457-469. 

  11.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7). The Establishment of Tailored Snow Removal Correspondence System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MPSS-Nature-2014-72, Sejong, Korea. 

  12.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2018). Statistical Yearbook of Natural Disaster 2017. Ministry of the Interior and Safety, 11-1741000-000002-10, Sejong, Kore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