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등학교 과학동아리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 개발 - 소형 망원경을 활용한 산개성단의 거리 탐구 -
The Development of an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 Program for High School Science Club Activities - Inquiring Distances of Open Clusters Using Small Telescopes - 원문보기

한국지구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40 no.3, 2019년, pp.300 - 312  

최동열 (대전과학고등학교 지구과학연구실) ,  윤마병 (전주대학교 과학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육에서 쉽게 다룰 수 있는 소형 망원경과 DSLR 카메라를 활용하여 산 개성단을 관측하고, 이를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활용하여 천문학자들과 같은 연구 방법으로 산개성단까지의 거리를 탐구할 수 있는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2015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고등학교 지구과학 교과 교육에 적합한 과학 동아리 활동 수업 자료와 교사용-학생용 학습 콘텐츠를 개발했다. 지구과학 교육과 천문학 분야의 전문가(교사) 6명이 패널로 참가하였고, 패널들 간의 상호간 신뢰도를 구축한 후, 프로그램의 타당도를 검증했다. 총 10차시 수업자료로 개발된 프로그램은 내용타당도(CVI. .89)와 현장 적합성 정도(리커트 5점 척도, 4.17) 검사에서 매우 만족스러운 검증 결과를 받았다. 프로그램에 대한 패널들의 의견 반영과 델파이 분석으로 개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수정-개선하여 완성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천체 동아리 학생들(N=9)을 대상으로 시범적 예비수업에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수업 만족도가 4.48로 매우 높았다. 본 연구의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천체 탐구의 융합교육 활동으로 활용한다면 학생들의 우주와 천체에 대한 관심과 호기심, 탐구 능력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astronomical observing education program that enables high school students to inquire the distance of astronomical bodies based on the research methods (observing open clusters and exploring collected big data) using small telescopes and DSLR cameras. Aft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통해 성단의 색과 등급과의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Webda의 H-R도와 주계열의 개형을 비교해 보고 그 차이점을 논의해 보았다. Fig.
  • 본 연구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현장에서 다루기 쉬운 소형망원경과 DSLR 카메라를 이용하여 산개성단을 측광 관측하고, 성단의 거리, 진화 과정 등을 탐구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 프로그램은 과학 동아리나 천체 동아리의 탐구활동,R&E 주제 등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고등학생들의 천문학과 우주에 대한 관심, 과학적 태도, 융합적 탐구역량을 함양하기 위한 것이다.
  • 첫째, 소형망원경과 DSLR을 활용하여 산개성단을 촬영 후 측광을 통해 데이터를 얻어낼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고, 둘째, 이를 활용해 산개성단의 H-R도 작성을 위한 탐구활동이 가능한 융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다. 셋째, 개발된 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천체 동아리 학생들의 교육에 적합하고 타당한가를 검증하고자 한다.
  • 2015개정교육과정의 비전은 ‘미래 사회에서 요구하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과 ‘학습경험의 질 개선을 통한 행복한 학습의 구현’이라고 할 수 있다(MOE,2015). 이러한 비전을 달성하기 위한 핵심역량의 도입은 기존의 지식 이해 중심의 교육에서 배운 지식을 실제의 삶으로서 일상생활과 관심있는 분야인 천체관측 등에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고자 함이다. 천체관측 활동은 창의융합교육에서 기능과 태도의 총체로서 지식정보처리 역량, 창의적 사고 역량,심미적 감성 역량, 의사소통 역량 등을 함양하도록 해야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교에 구비되어 있는 소형망원경과 DSLR 카메라로 촬영 후 측광을 통해 학생들이 H-R도를 작성해 보고, 나아가 성단의 거리를 추정하는 연구 과정을 경험해 볼 수 있는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 프로그램은 중고등학교 과학 동아리나 천체 동아리뿐만 아니라, 지구과학 영재반 학생들을 위한 천체 관측 탐구 활동으로도 확장되어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 이후 성단들의 물리적 특성을 알아보는데 H-R도가 매우 중요함을 인지시킨다. 천체 관측부터 측광을 거쳐 H-R도 작성까지 이어지는 10차시 수업에 대한 전체적인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고 천체 측광 관측을 통한 H-R도 작성 방법에 관한 학습목표를 제시한다. 별자리 관측 프로그램(Stellarium)을 이용하여 밤하늘 별자리에 대한 예비 지식을 쌓은 후 학교 옥상에 올라가 별자리에 대한 육안관측을 한 다음 별자리 관찰 탐구 활동을 실시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천문학이란 무엇인가? 천문학은 2015개정과학과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과학을 즐기고 누리고 나누는 행복한 과학교육에 가장 근접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Song and So, 2018). 천문학은 우주의 생성과 진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천체들의 구조와 다양한 현상들을 관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우주의 질서와 원리를 찾고자 하는 학문이다(Han and Choi, 2005). 또한, 천문학을 통해 과학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여 학생들에게 올바른 우주관과 비전을 키울 수 있는 중요한 학문 영역이다(Lightman et al.
본 연구에서 서술하는 천문학의 특징은 무엇인가? 천문학은 2015개정과학과교육과정에서 추구하는 과학을 즐기고 누리고 나누는 행복한 과학교육에 가장 근접한 분야라고 할 수 있다(Song and So, 2018). 천문학은 우주의 생성과 진화를 총체적으로 이해하고자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천체들의 구조와 다양한 현상들을 관측하고 이를 분석하여 우주의 질서와 원리를 찾고자 하는 학문이다(Han and Choi, 2005).
국내 천문 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 2007). 현행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천체관측 교육은 망원경을 이용한 안시 관측과 기초적인 사진 관측 정도이며 천체 동아리 학생들도 이러한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천체 관측 활동으로 데이터를 획득하고 이를 통해 과학자와 같은 방법으로 탐구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이 거의 없다(MOE, 2015). 따라서 천문학에 관심을 갖고 있는 학생들을 위하여 천체 관측 교육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Baek, Y.S. , Park, H.J. , Kim, Y.M. , Noh, S.G. , Park, J.Y. , Lee, J.Y. , Jeong, J.S. , Choi, Y.H. and Han, H.S. ,2011, STEAM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1(4), 149-171 (in Korean). 

  2. 10.15737/ssj.7.3.201310.182 Boo, K.W. , Gil, Y.S. , Sohn, J.J. , and Kim, S.Y. ,2013, Sunspots observation using DSLR and measuring the differential rotation period.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7(3), 182-192 (in Korean). 

  3. Chae, D.H. ,2004, The change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cepts of the solar system based upon their exposure to the earth motion centric solar system model.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4(5), 886-901 (in Korean). 

  4. Choi, Y.H. , Moon, D.Y. , Kang, K.K. , Lee, J.W. and Lee, J.H. ,2008, The Development and the effect of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STEM for the inventively gifted.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8(2), 143-164 (in Korean). 

  5. Han, J.Y. , Choi, S.U. ,2005, Development of astronomical observation program using CCD. Proceeding of the spring meeting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005, 188-195 (in Korean) 

  6. Kim, H.B. and Yoo, K.H. ,1997, Concept mapping based on chapter 「III. Universe」of high school earth science textbook.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17(4), 461-479 (in Korean) 

  7. Kim, J.S. ,2011, A cubic model for STEAM education. The Korea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1(2), 124-139 (in Korean). 

  8. 10.5467/JKESS.2008.29.6.495 Kim, S.H. , Lee, H.Y. , Lee, H.D. , and Jeong, J.H. ,200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n after-school program for an astronomy observation club in a highschool: standardized coefficient decision program in consideration of the observation site’s environment. Journal of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29(6), 495-505 (in Korean). 

  9. 10.1080/09500690600909091 Kind, P.M. , Jones, K. , and Barmby, P. ,2007, Developing attitudes towards science measur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7), 871-893. 

  10. Lee, Y.R. , Kwak, Y.S. , and Kim, D.Y. ,2007, Research article: Research on ways to improve the 7th national earth science 1, 2 curriculum.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27(4), 328-336 (in Korean). 

  11. Lightman, A.P. , Miller, J.D. , and Leadbeater, B.J. ,1987, Contemporary cosmological beliefs, Proceedings of the second international seminar: Misconceptions and educational strategies in science and mathematics. Cornell University, NY, USA, 309-321. 

  12. 10.1123/jsep.16.1.43 Marsh, H.W. and Redmayne, R.S. ,1994, A multidimensional physical self-concept and its relations to multiple components of physical fitness. Journal of Sport and Exercise Psychology, 16, 43-55. 

  13. MOE (Ministry of Education),2015, 2015 revised science national curriculum (in Korean). 

  14. 10.1016/j.asr.2015.08.004 Park, W. , Pak, S. , Shim, H. , Le H.A.N., Im, M. , Chang, S. , and Yu, J. ,2016, Photometric transformation from RGB bayer filter system to Johnson-Cousins BVR filter system. Advances in Space Research, 57(1), 509-518. 

  15. Song, I.O. , Baek, C.H. , Lee, J.J. , and Hwang, I.J. ,2012, Spectroscopic observation and educational application system using a small telescope. The Bulletin of the Korean Astronomical Society, 37(2), 94 (in Korean). 

  16. 10.21796/jse.2018.42.2.230 Song, Y.H. and So, K.H. ,2018, The effect of science classes using astronomical observation software on scientific learning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elementary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42(2), 230-241 (in Korean). 

  17. Strauss, A. and Corbin, J. ,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Procedures and techniques for developing grounded theory. Thousand Oaks, CA: Sage. 

  18. 10.15737/ssj.7.2.201306.77 Yang, J.W. , Kim, H.M. , and Kim, H.S. ,2013, Development of internet-based automated telescope system.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7(2), 77-84 (in Korean). 

  19. 10.15737/ssj.8.3.201410.222 Yang, J.W. and Kim, H.S. ,2014, Development of the spectroscopic observation system using a small telescope. The Korean Society for School Science, 8(3), 222-233 (in Korean). 

  20. 10.5467/JKESS.2011.32.7.902 Yoon, M.B. ,2011, Investigating the effects of teaching based on an analysis of high school students’knowledge state of concepts associated with astronomical observation. The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32(7), 902-912 (in Korean). 

  21. 10.21796/jse.2012.36.2.263 Yoon, M.B. and Hong, J.Y. ,2012, The application of a science camp and the development of experiment and practice program based on STEAM for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2), 263-278 (in Korean). 

  22. Webda,2019, The database for open cluster: Receive valuable open cluster data. https://webda.physics.muni.cz/navigation.html (May 15, 201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