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심측량자료를 사용한 해양수치모델 전용 수심 데이터 제작: BADA Ver.1
Development of Bathymetric Data for Ocean Numerical Model Using Sea-Floor Topography Data: BADA Ver.1 원문보기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v.31 no.3, 2019년, pp.146 - 157  

유상철 ((주)더해본) ,  문종윤 ((주)해양정보기술) ,  박웅 ((주)해양정보기술) ,  서광호 (국립해양조사원) ,  권석재 (국립해양조사원) ,  허룡 (국립해양조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해양예보/재해 등의 주요 분야에서 해양수치모델의 수행 및 연구결과에 대한 활용도가 증가함에 따라 정확도 높은 수심자료의 중요성이 크게 부각되고 있다. 해양수치모델에 주로 활용되는 국내 수심자료는 Choi et al.(2002), Seo(2008)의 자료가 있지만, 제작년도가 오래되고 해도를 기반으로 작성했다는 제한사항이 있다. 해도는 항해를 목적으로 제작되어 수심 측량자료 중 최천소 자료를 사용하므로 실제 해저지형을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다. 국립해양조사원은 매년 지속적인 수심측량을 통하여 해도를 생산하고 있지만, 수치모델을 목적으로 한 수심자료는 생산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원시 수심측량자료를 이용하여 수치모델을 위한 해양수치모델 전용 수심 데이터셋(BADA Ver.1)을 구축하고, 공개된 해양 수심자료와 비교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the importance of highly accurate bathymetric data is greatly emphasized by the increased use of the ocean numerical models and research results in major areas such as ocean forecasting and natural disaster. There are domestic bathymetric data mainly used in ocean numerical models of Choi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우리나라에서는 조위의 기준면으로 해당지역의 약최저저조위를 채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해양수치모델 전용 수심의 기준면도 약최저저조위를 채택하여 공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대표수심 추출 알고리즘을 사용해 20 TB (Tera Byte)에 달하는 초대용량의 원시 수심측량자료를 18 GB (Giga Byte)로 경량화 하고, 해양 예보 및 해양 재난 안전사고 등의 대처에 널리 이용되는 해양수치모델링을 목적으로 하는 대표수심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대표수심의 지형재현율을 검증하기 위해 전라남도 여수시에 위치한 연도항의 원시 수심측량자료와 대표수심을 검증평가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모든 사용자를 대상으로 한 해양수치모델 전용 수심 제작을 목적으로 하였기 때문에 “3.3 대표수심 제작”에서 제작된 해양수치 모델 목적의 대표수심을 이용하여 우리나라 관할해역을 대상으로 수평방향으로 150 m 간격의 해양수치모델 전용 수심 데이터(BADA Ver.1)를 구축하였다.
  • 대부분의 해양수치모델 연구진은 국내 · 외에서 공개된 수심자료의 제한사항을 인지하고 있지만,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마땅한 대한이 없어 해도 수심을 사용하거나 해도 기반의 수심자료를 사용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해양수치모델 전용 수심자료의 필요성을 느끼고, 이를 위해 원시 수심측량자료를 사용하여 해양수치모델 전용 수심 데이터(BADA Ver.1)을 구축하였다. 20 TB에 달하는 대용량의 원시 수심측량자료는 자료 운용이 거의 불가능하기 때문에, 대표수심 추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해저지형을 재현하면서 용 351 MB로 경량화 하여 사용자들의 접근과 운용성을 크게 높였다.
  • 본 연구에서는 해양수치모델을 주목적으로 하는 해저지형 정보의 필요성을 파악하고 대표수심 알고리즘을 사용해 원시 수심측량자료에서 대표수심을 제작하였다. 대표수심 추출 알고리즘은 대용량의 원시 수심측량자료의 경량화 및 수심 추출기준을 최천소, 평균, 최심소 선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목적의 수심자료로 구축할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DEM은 해저지형을 어떻게 표현하는가? 일반적으로 해저지형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은 DEM(Digital Elevation Model)이다. DEM은 그리드를 사용하여 지리적 사상(Geographic Feature)에 대한 위치와 높이 값의 속성 정보를 기록하고, 벡터 모델처럼 모든 객체를 점, 선, 면의 세가지 유형의 기하학적 공각 객체(Spatial Objects)로 단순화하여 표현한다. 이러한 레스터 자료는 구조가 간단하고 접근이 쉬워서 지형데이터 표현에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현재 해양수치모델에서 주로 쓰이는 수심자료는 무엇인가? 현재 해양수치모델에서 주로 사용되는 수심자료는 수치해도 또는 전자해도에 기록된 수심자료와 국외의 해저지형 정보 그리고 국내에서 선행된 해양수치모델을 위한 수심자료이다. 해양수치모델을 위해 작성된 수심자료는 국내의 경우 한반도 인근 해역과 황해와 동해 전역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1분 및 1초 간격으로 구축한 SKKU 1m, SKKU 1s(Choi et al.
해도에 입력된 수심에 해저지형의 왜곡이 존재하는 이유는? 이와 같이 해양수치모델에 사용되는 수심은 해도자료를 직접 사용하거나, 해도자료를 기초자료로 활용하여 구축된 수심자료이다. 하지만 해도는 “선박의 안전과 경제적인 항해에 필요한 사항을 표기한 항해용 지도”로 정의되므로, 수심측량 자료 중 최천소(最泉所) 위주의 D.L.(Datum Level) 기준으로 작성되었다. 따라서 해도에 입력된 수심은 해저지형의 왜곡이 존재하고, 해양수치모델에 입력할 경우 수괴 부피에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Fig.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10.1029/CO004p0001 

  2. Blumberg 66 1994 

  3. 10.1175/1520-0426(2003)020<0159:AUGFVT>2.0.CO;2 

  4. An unstructured grid, finite-volume coastal ocean model: FVCOM User Manual. Chen 183 2004 

  5. Digital Bathymetric Topographic Data for Neighboring Seas of Korea Choi 41 2002 

  6. 2004 

  7. Haidvogel, Dale B., Arango, Hernan G., Hedstrom, Kate, Beckmann, Aike, Malanotte-Rizzoli, Paola, Shchepetkin, Alexander F.. Model evaluation experiments in the North Atlantic Basin: simulations in nonlinear terrain-following coordinates. Dynamics of atmospheres and oceans, vol.32, no.3, 239-281.

  8. Hamrick 1996 

  9. Kantha, Lakshmi H.. Barotropic tides in the global oceans from a nonlinear tidal model assimilating altimetric tides: 1. Model description and result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JGR. C : Oceans, vol.100, no.c12, 25283-.

  10. 2012 

  11. A Sensitivity Test on the Minimum Depth of the Tide Model in the Northeast Asian Marginal Seas Lee 457 2007 

  12. Lefèvre, F., Le Provost, C., Lyard, F. H.. How can we improve a global ocean tide model at a regional scale? A test on the Yellow Sea and the East China Sea.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 JGR. C : Oceans, vol.105, no.c4, 8707-8725.

  13. 10.1145/800249.807444 

  14. Digital 30sec Gridded Bathymetric Data of Korean Marginal Seas - KorBathy30s Seo 110 2008 

  15. 200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