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단일엽 회전 피판술을 이용한 당뇨병성 전족부 궤양의 치료: 5예 보고
Treatment Using a Single-Lobed Rotation Flap in Diabetic Forefoot Ulceration: Five Case Reports 원문보기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Journal of Korean Foot and Ankle Society, v.23 no.4, 2019년, pp.208 - 211  

김준범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  이봉주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  김철우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  정덕희 (대전선병원 정형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abetic foot ulcers can progress to the point where amputation is needed, and so these ulcers require active treatment. Skin grafts or flaps can be performed for coverage of this type of ulcer. Local flap surgery is relatively easy to perform and good results have been previously reported. We perf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단일엽 회전 피판술을 이용하여 전족부의 당뇨병성 궤양을 치료하고 모든 피판이 생존하고 체중부하 보행이 가능해져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었다. 이 술식은 간단한 방법으로 당뇨가 잘 조절되고(당화 혈색소, 6.
  • 저자들은 전족부 제 1중족 족지 관절부에 발생한 비교적 작은 크기의 당뇨병성 족부 궤양 5예에 대해 국소 단일엽 회전 피판술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였고 문헌 고찰과 함께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본 증례 보고는 대전선병원 윤리위원회의 심의를 통과하였다(IRB No.

가설 설정

  • 4) 궤양 변연부를 다듬어서(undermining) 피판 회전을 보다 용이하게 하고 피부의 장력이 감소되게 하였다. 나일론 4-0을 이용하여 상처를 봉합한 후 무균 거즈로 소독하고 단하지 석고고정하였다. 수술 후 2일 간격으로 무균 거즈를 이용한 단순 소독(simple dressing)을 하였고 수술 후 1주째부터 상처 부위를 고려하여 단하지 석고고정 상태에서 부분 체중부하 보행 을 시행하게 했으며 첫 4주간은 1주 간격으로, 이후엔 1개월 간격으로 수술 부위 평가를 시행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당뇨병성 족부 병변이란 무엇인가  당뇨병성 족부 병변은 당뇨병과 관련되어 족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적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진단으로 당뇨환자의 약 절반이 일생에 적어도 한 번 이상 경험하게 되며 비외상성 절단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1,2) 회복 가능성이 없는 괴사 조직이나 감염 조직에 대해 절단술을 시행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당뇨병성 족부 궤양은 혈류 개선, 철저한 변연 절제술, 습윤 소독, 적절한 항생제 치료, 과도한 압력 제거, 음압 치료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적절한 치료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당뇨병성 족부 궤양은 약 10년 이상 장기간의 유병 기간을 가진 당뇨환자에게 흔히 발생하는 합병증으로 좋지 못한 하지 혈관 상태, 감염, 불량한 혈당 조절, 불량한 전신 상태로 인해 치유가 더디고 악화와 재발이 원인이 되어 족부 궤양 환자의 14%∼24%는 하지 절단을 하게 된다.5) 족부 궤양은 당뇨발 절단의 시작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며 환자에게 신체적, 정신적으로 치명적이므로 적절한 치료가 필요하다.1,6) 본 연구의 경우 모든 예에서 무지 주변 궤양이 있었는데 특히 무지의 경우 당뇨병성 족부 궤양으로 인한 절단 시 추가 변연 절제 및 추가 절단의 빈도가 높아 되도록 보존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알려져 있다.
당뇨병성 족부 궤양의 치료방법에는 무엇이 있는가  당뇨병성 족부 병변은 당뇨병과 관련되어 족부에 발생하는 다양한 병적 상태를 모두 포함하는 진단으로 당뇨환자의 약 절반이 일생에 적어도 한 번 이상 경험하게 되며 비외상성 절단의 가장 흔한 원인이 된다.1,2) 회복 가능성이 없는 괴사 조직이나 감염 조직에 대해 절단술을 시행하게 되지만 일반적으로 당뇨병성 족부 궤양은 혈류 개선, 철저한 변연 절제술, 습윤 소독, 적절한 항생제 치료, 과도한 압력 제거, 음압 치료 등 다양한 치료 방법이 적용되고 있다. 특히 궤양으로 인한 조직 결손이 광범위하여 이차적 창상 치유나 일차성 봉합이 불가능할 경우 피부 이식, 또는 피판술을 시행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1)

  1. Seo DK, Lee HS. Management of diabetic foot ulcer. J Korean Foot Ankle Soc. 2014;18:1-7. doi: 10.14193/jkfas.2014.18.1.1. 

  2. Kwon DJ, Lee YB, Ahn HC. Use of acellular allograft dermal matrix ( $Alloderm^{(R)}$ ) and split-thickness skin graft for treatment of diabetic foot ulcer. J Kor Musculoskelet Transplant Soc. 2007;7:86-91. 

  3. Wagner FW. A classification and treatment program for diabetics, neuropathic and dysvascular foot problems. Instr Course Lect. 1979;28:143-65. 

  4. Schrudde J, Petrovici V. The use of slide-swing plasty in closing skin defects: a clinical study based on 1,308 cases. Plast Reconstr Surg. 1981;67:467-81. doi: 10.1097/00006534-198104000-00008. 

  5. Kim JM, Kim DY, Woo JT, Kim SW, Yang IM, Kim JW, et al. A clinical study on the diabetic foot lesions. J Korean Diabetes Assoc. 1993;17:387-94. 

  6. Song JY, Kim KS, Ko SH, Choi YS, Chung YR, Kim HD, et al. Reconstruction of diabetic foot ulcers by regional flap surgery. J Korean Orthop Assoc. 2003;38:301-4. doi: 10.4055/jkoa.2003.38.3.301. 

  7. Kadukammakal J, Yau S, Urbas W. Assessment of partial first-ray resections and their tendency to progress to transmetatarsal amputations: a retrospective study. J Am Podiatr Med Assoc. 2012;102:412-6. doi: 10.7547/1020412. 

  8. Steed DL, Donohoe D, Webster MW, Lindsley L. Effect of extensive debridement and treatment on the healing of diabetic foot ulcers. Diabetic Ulcer Study Group. J Am Coll Surg. 1996;183:61-4. 

  9. Randon C, Vermassen F, Jacobs B, De Ryck F, Van Landuyt K, Taes Y. Outcome of arterial reconstruction and free-flap coverage in diabetic foot ulcers: long-term results. World J Surg. 2010;34:177-84. doi: 10.1007/s00268-009-0250-9. 

  10. Laing PW, Cogley DI, Klenerman L. Neuropathic foot ulceration treated by total contact casts. J Bone Joint Surg Br. 1992;74:133-6. doi: 10.1302/0301-620X.74B1.1732242. 

  11. Nam SC, Han SH, Lim SH, Hong YS, Won JH, Bae JI, et al. Factors affecting the validity of ankle-brachial index in the diagnosis of peripheral arterial obstructive disease. Angiology. 2010;61:392-6. doi: 10.1177/000331970934829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