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악골 절제술 및 비골유리피판을 시행한 성장기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Oral rehabilitation using implant 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in a growing patient who underwent mandibulectomy and fibular free flap 원문보기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rosthodontics, v.58 no.3, 2020년, pp.268 - 274  

이학영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  김지환 (연세대학교 치과대학 치과보철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강암 등의 병소로 인해 하악골의 절제를 시행한 환자는 구강악안면계의 재건을 통한 기능적, 심미적 회복이 중요하다. 하악골의 재건에 많이 사용되는 비골유리피판은 임플란트 식립을 동반한 보철적 수복에 있어 용이하다. 그러나 성장기 환자는 비골의 크기가 작고 잔여 성장이 남아있을 수 있어 임플란트를 이용한 치료 시 어려움이 존재한다. 본 증례는 골육종으로 하악골 절제술 및 비골유리피판을 이용해 하악골의 재건을 시행한 11세 여성 환자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이용한 보철적 수복을 통해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도모하였다. 임플란트의 식립 부위 및 개수, 보철물의 형태적 고려를 하였으며, 성장기인 13세에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수복을 완료하였고, 추가로 1년간의 경과 관찰을 시행한 바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보고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후의 추가적인 검진을 통해 악안면계의 변화를 관찰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unctional and esthetic recovery through reconstruction of the oral and maxillofacial system is important for patients who underwent mandibulectomy due to lesions such as oral cancer. The fibula free flap, which is frequently used in the reconstruction of the mandible, is easy to prosthetic restora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증례는 하악골의 골육종으로 인해 하악골 절제술 및 비골 유리피판을 이용해 하악골을 재건한 성장기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을 이용하여 수복하였다. 본 환자는 치료 완료 후 1 년의 경과 관찰을 시행한 바, 안정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하악골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에게 이용할 수 있는 수복 방법은 어떤 종류가 있는가? 구강악안면 재건이 완료된 환자는 보철적 수복을 통해 기능적, 심미적 회복을 도모한다. 하악골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의 경우, 전통적인 의치를 이용한 보철적 수복, 임플란트를 이용한 가철성 보철, 혹은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을 통한 수복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재건된 하악골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보철적 수복은 전통적인 의치에 비해 지지 및 안정이 뛰어나 좋은 치료방법으로 선택된다.
비골유리피판의 장점은 무엇인가? 구강악안면 재건을 위한 유리피판을 이용한 다양한 수술법 중에서 비골유리피판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비골유리피판은 길이가 충분하고, 긴 혈관 경을 가지며, 하악의 모양을 따를 수 있도록 구부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1
재건된 하악골에서 안정이 뛰어나 좋은 치료방법으로 선택되는 방법이 성장기 환자에게는 어려운 점은? 그러나, 성장기 환자에 있어 임플란트를 이용한 수복은 성인에 비해 어려운 점이 있다. 임플란트는 주변의 뼈에 유착되어 기능을 하는 구조물이기에, 자연치와 달리 악골 성장에 따라 주변 치아와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독립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성장기 환자에서는 성장 가능성을 고려하여 임플란트를 수복해야 하며, 치료 후에도 주기적인 관찰이 필수적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2)

  1. Ferrari S, Copelli C, Bianchi B, Ferri A, Poli T, Ferri T, Gallesi P, Sesenna E, Brevi BC. Rehabilitation with endosseous implants in fibula free-flap mandibular reconstruction: a case series of up to 10 years. J Craniomaxillofac Surg 2013;41:172-8. 

  2. Wijbenga JG, Schepers RH, Werker PM, Witjes MJ, Dijkstra PU. A systematic review of functional outcome and quality of life following reconstruction of maxillofacial defects using vascularized free fibula flaps and dental rehabilitation reveals poor data quality. J Plast Reconstr Aesthet Surg 2016;69:1024-36. 

  3. Jackson RS, Price DL, Arce K, Moore EJ.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of osseointegrated dental implantation of fibula free flaps for mandibular reconstruction. JAMA Facial Plast Surg 2016;18:201-6. 

  4. Sozzi D, Novelli G, Silva R, Connelly ST, Tartaglia GM. Implant rehabilitation in fibula-free flap reconstruction: A retrospective study of cases at 1-18 years following surgery. J Craniomaxillofac Surg 2017;45:1655-61. 

  5. Cronin RJ Jr, Oesterle LJ, Ranly DM. Mandibular implants and the growing patient. Int J Oral Maxillofac Implants 1994;9:55-62. 

  6. Alexander AE, McNamara JA Jr, Franchi L, Baccetti T. Semi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of craniofacial growth in untreated Class III malocclusion. Am J Orthod Dentofacial Orthop 2009;135:700.e1-14; discussion 700-1. 

  7. Baccetti T, Franchi L, McNamara JA Jr. The cervical vertebral maturation (CVM) method for the assessment of optimal treatment timing in dentofacial orthopedics. Semin Orthod 2015;11:119-29. 

  8. Phillips JH, Rechner B, Tompson BD. Mandibular growth following reconstruction using a free fibula graft in the pediatric facial skeleton. Plast Reconstr Surg 2005;116:419-24. 

  9. Bidra AS, Hofstede TM, Skoracki RJ, Jacob RF. Maxillofacial rehabilitation of a 7-year-old boy with osteosarcoma of the mandible using a free fibula flap and implant-supported prosthesis: a clinical report. J Prosthet Dent 2009;102:348-53. 

  10. Anne-Gaelle B, Samuel S, Julie B, Renaud L, Pierre B. Dental implant placement after mandibular reconstruction by microvascular free fibula flap: current knowledge and remaining questions. Oral Oncol 2011;47:1099-104. 

  11. Bodard AG, Salino S, Desoutter A, Deneuve S. Assessment of functional improvement with implant-supported prosthetic rehabilitation after mandibular reconstruction with a microvascular free fibula flap: A study of 25 patients. J Prosthet Dent 2015;113:140-5. 

  12. Misch CE. Dental implant prosthetics. 1st ed. Mosby, 200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