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불면증에 대한 인식조사
Survey of Knowledge on Insomnia for Sleep Clinic Clients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6 no.1, 2019년, pp.23 - 32  

소민아 (국립정신건강센터 정신건강의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수면장애로 수면클리닉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하게 된 이유, 찾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을 찾게 되는 가장 흔한 증상이자 독립질환인 불면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향후 수면장애의 치료와 환자교육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 법 : 2018년 4월부터 10월 사이 6개월 간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외래환자들 중 만 19세 이상의 초진환자를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을 진행하였다. 이때, 지적장애, 치매 등 심한 인지기능을 동반한 환자등을 배제하였고, 총 44명(남성 24명, 여성 20명)이 연구에 참석하였다. 설문지는 자체개발한 설문지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이유, 수면클리닉을 알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 방문 이전 수면질환의 치료력, 불면증의 인식에 대한 질문, 불면증의 치료에 대한 인식, 불면증의 동반질환(comorbodity)에 대한 지식을 묻는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결 과 : 연구에 참가한 대상자들은 총 44명으로 평균 연령은 $54.11{\pm}16.3$세로 남성은 24명(54.5%), 여성은 20명(45.5%)였으며, 40대 이상의 중장년층이 전체의 77.3%를 차지했고, 81.8%(36명)가 고졸이상의 학력을 갖추고 있었다. 환자들의 72.7%(32명)가 공존질환을 갖고 있었으며, 22.7%에서 고위험음주를 보였다. 수면클리닉에 내원한 이유는 잠들기 힘들고 중간에 자주 깸, 낮에 피곤하고 졸림, 불규칙한 수면시간, 악몽을 자주 꿈, 코골이와 수면 중 숨막힘 등의 순서였고, 93.2%에서 불면증을 인식하고 있었고, 가족 친지, 방송, 인터넷 등을 통해 본인이 불면증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되었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에 대해서는 70.5%가 약물치료를 떠올렸고, 이에 대한 정보는 인터넷과 의료진을 통해 주로 얻고 있었으며 불면증의 비약물학적인 치료방법에 대해 52.3%가 들어본 적이 없다고 하였다. 불면증의 치료선호도를 묻는 질문에 45.5%가 특별한 선호도 없이 의사의 권유대로 따르겠다고 하였고, 불면증의 공존질환 중 우울증, 신체질환, 알코올사용장애을 알고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각각 75%, 50%, 38.6%의 응답률을 보였다. 수면제 복용 시 의사의 지침을 준수해야 한다는 것에 대해서는 75%에서 알고 있었지만, 전체 응답자의 68.2%가 수면제 처방에 대해 걱정을 하고 있었고 이들 중 70%가 약물의존에 대해 걱정된다고 하였다. 결 론 : 내원자의 56.8%가 내원전 타의료기관에서 수면장애로 치료를 받고 왔음에도 불구하고, 불면증의 치료, 특히 비약물학적인 치료에 대한 잘 알고 있지 못했으며, 본인의 수면제 복용여부와 상관없이 수면제에 대해서는 약물의존에 대한 걱정을 많이 하고 있었으나 상대적으로 불면증과 공존질환으로서의 알코올 사용문제에 대해서는 간과하고 있었다. 향후 일선 일차의료담당자의 불면증치료에 대한 이해증진 및 표준화된 불면증치료안의 개발이 시급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알코올 사용장애에 대한 구체적인 평가가 초기 면담에서 반드시 필요하다고 하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Insomnia is not only the most common sleep-related disorder, but also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Knowledge of the comorbidities of insomnia is essential for proper treatment including pharmacological and non-pharmacological methods to prevent disease chronification. This study aimed t...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일반 대중이나 병원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장애와 관련된 인식을 조사한 연구는 Kim 등(1997)이 서울 거주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수면위생에 대한 인식과 실행여부를 조사한 연구, Lee 등(2011)이 실시한 코골이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의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연구, Lee 등(2016)이 수면무호흡증 환자와 단순 코골이 환자군에서 증상과 질환인식도를 비교한 연구 정도로 드문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정신과 전문의료기관인 국립정신건강센터의 수면클리닉에 내원하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면클리닉을 방문하게 된 이유, 찾게 된 경로, 수면클리닉을 찾게 되는 가장 흔한 증상이자 독립질환인 불면증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의미를 해석하여 향후 수면장애의 치료와 환자교육에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수면장애를 갖고 있고 이의 치료를 위해 서울에 위치한 국립정신건강센터 수면클리닉을 방문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연구이다. 환자들이 병원에 오게 된 주소는 불면증상으로 인한 것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주간 졸림증상, 불규칙한 수면시간, 악몽, 코골이-무호흡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높은 공존질환율(72.

가설 설정

  • 다음으로 불면증의 공존질환에 대한 인식을 묻는 질문을 하였는데 “불면증은 우울증상을 동반할 수 있다는 것을 들어본적이 있습니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면장애란? 수면장애의 정의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본인의 나이에 맞는 정상적인 구조와 양의 건강한 수면을 취하지 못하거나, 충분한 시간을 잤음에도 불구하고 낮 동안 각성을 유지 하는데 어려움을 겪거나, 수면리듬의 이상으로 인해 잠을 자거나 깨어있을 때 일상생활의 지장을 주는 상태를 말한다 (Buysse 2013). 제3판 국제수면질환분류국제(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version-3, ICSD-3 2014) 는 수면장애를 ① 불면증, ② 수면관련호흡장애, ③ 과수면 의 중추장애(central disorders of hypersomnolence), ④ 일 주기리듬 수면장애(circadian rhythm sleep-wake disorders), ⑤ 사건수면(parasomnias), ⑥ 수면관련운동장애(sleep-related movement disorders)의 6가지 주요 수면장애와 기타수면장애로 나누고 있으며 이를 다시 59가지로 세분류하고 있다(Kryger 등 2017).
상기도양압술의 효과는 어떠한가? 불면증의 경우 인 지행동치료와 벤조디아제핀, 벤조디아제핀 수용체 길항제의 사용이 일차적인 치료법(Riemann 등 2015)이며, 수면무호흡 증 중에서 폐색성 수면무호흡증(obstructive sleep apnea)의 경우 무호흡/저호흡지수(apnea-hypopnea index, AHI)가 15 이상인거나 경우 지속적 상기도양압술(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nCPAP)로 치료하는데, 참고로 한 국의 경우 2018년 7월부터 이 치료방법이 급여화되면서 AHI 가 15이하이더라도 증상이 있으면 nCPAP의 사용이 가능 하다. 양압술을 쓰면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심혈관계 위험성을 낮출 수 있고, 주간졸림증상, 인지기능저하, 발기부전 등 증상을 개선시켜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McEvoy 등 2016 ; Antic 등 2011 ; Ferini-Strambi 등 2003 ; Taskin 등 2010). 이렇듯 흔하며 의학적으로 중요하지만 당장 생명에 지장을 주는 질환은 아니라는 이유로 방치할 경우 삶의 질을 떨어뜨리고 나아가 건강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수면장애의 진단과 치료의 성적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일반 대중 및 환자집단에서 수면장애에 대한 인식수준이 고양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국내에서 수면장애로 진료를 받는 환자의 수는 어느정도인가? 제3판 국제수면질환분류국제(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version-3, ICSD-3 2014) 는 수면장애를 ① 불면증, ② 수면관련호흡장애, ③ 과수면 의 중추장애(central disorders of hypersomnolence), ④ 일 주기리듬 수면장애(circadian rhythm sleep-wake disorders), ⑤ 사건수면(parasomnias), ⑥ 수면관련운동장애(sleep-related movement disorders)의 6가지 주요 수면장애와 기타수면장애로 나누고 있으며 이를 다시 59가지로 세분류하고 있다(Kryger 등 2017). 수면장애는 세계인구의 약 10%가 경험하고 있는 매우 흔 한 질환으로 최근 국내에서도 수면장애로 진료를 받는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추세를 보여 41만 4천명(2014년)에서 2018년 6월 발표된 보건의료 빅데이터에 따르면 51만 5천명 (2017년)을 넘었다고 한다(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2018). 그러나 수면장애의 의학적 중요성은 증가하는 유병률 외 에도 수면장애가 그 자체로서 일상생활의 불편함을 야기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것과 함께 각종 신체질환 및 정신 질환과의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것에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