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를 보이는 불면증 환자에서 일반적 불안에 비해 불면증 관련 자극으로 인한 뇌활성에 관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 연구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of Brain Reactivity to Insomnia-Related vs. General Anxiety-Inducing Stimuli in Insomnia Patients with Subjective-Objective Discrepancy of Sleep 원문보기

수면·정신생리 = Sleep medicine and psychophysiology, v.27 no.1, 2020년, pp.24 - 31  

김남범 (가천대학교 의용생체공학연구소) ,  이재준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  조서은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  강승걸 (가천대학교 의과대학 길병원 정신건강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의 차이는 불면증의 흔한 증상이자 주요한 유형이다. 본 연구는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있는 불면증군,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군, 건강대조군을 대상으로 전반적 불안-유발 자극에 대비하여 불면-관련 자극에 대한 뇌활성의 군간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방 법 : 모든 피험자들은 수면일기와 임상척도로 주관적 수면상태를, 수면다원검사와 활동기록기로 객관적 수면상태와 불면증 외의 수면장애를 확인하였다. 기능적 뇌영상 촬영동안 불면증-관련 문장 자극과 일반 불안-유발 문장자극을 피험자들에게 주어 유발되는 뇌활성의 세 군간 차이가 있는지를 비교하였다. 뇌활성은 전체 불면증군(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의 차이 여부에 상관없이)과 건강대조군 두 군간에도 비교되었다. 결 과 :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 군에 비해 차이가 있는 불면증 군에서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 대비 불면-관련 자극에 대해 우측 설전부와 보조운동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blood oxygen level dependent (BOLD) 신호를 보였다. 또한, 같은 자극에 대해 통합 불면증군이 대조군 보다 좌측 앞 대상회 영역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BOLD 신호를 보였다. 결 론 : 본 연구의 결과는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를 가지는 불면증이 주관적-객관적 수면시간 차이가 없는 불면증에 비해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보다 불면-관련 자극에 대해 더 선택적인 집중과 불안을 가지고 증가된 뇌활성을 보인다는 결과로 수면상태 오지각이 증가된 불면증 자극에 선택적인 불안을 보임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Subjective-objective discrepancy of sleep (SODS) is a common symptom and one of the major phenotypes of insomnia. A distorted perception of sleep deficit might be related to abnormal brain reactivity to insomnia-related stimuli. We aimed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brain activation to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야간 수면다원검사는 Embletta MPR sleep system (Natus, Pleasanton, CA, USA)에 의해서 시행되었다. 검사는 수면무호흡증 등의 불면증 외의 수면장애가 있는지와 객관적 수면시간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미국수면의학회 판독기준 2.
  • 본 연구는 수면시간의 주관적-객관적 차이를 가지는 불면증 환자들이 차이를 가지지 않는 불면증 환자에 비해,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에 대비 불면증 관련 자극에 대해 뇌의 특정 영역에서 증가된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 수면시간의 오지각을 동반한 불면증 환자들은 일반적 불안-유발 자극 보다 불면-관련 자극에 보다 선택적으로 집중하여 뇌의 과활성이 유발됨이 증명되었다.

가설 설정

  • 불면증과 대조군의 공통된 배제기준은 1) 증상과 병력상 불면장애 외의 다른 주요 수면장애가 의심, 2) 한국판 베를린 설문지에서 수면무호흡증의 고위험군(Kang 등 2013) 또는 심한 주간 졸음(엡워스 수면척도 17점 이상), 3) 수면다원 검사에서 중등도 이상의 수면무호흡증(무호흡-저호흡지수 15 이상), 4) 수면다원검사에서 다른 수면장애가 의심되는 경우[주기적 사지운동 지수(periodic limb movement during sleep index, PLMSI) 15회 이상 또는 rapid eye movement (REM) sleep without atonia가 나타남], 5) 교대근무자 또는 시간차가 나는 해외여행을 자주 하는 사람, 6) 체질량지수 30 이상, 7) 현재 또는 과거의 주요 정신질환의 병력 (불면증 외), 8) 해밀턴 우울척도[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17 (HDRS-17) 총점에서 수면관련 점수 (4, 5, 6번항목)를 뺀 점수가 20점 이상(Zimmerman 등 2013)인 심한 우울증, 9) 주요한 내과 질환 또는 신경질환, 10) 체내 금속 물질, 심박동기, 폐쇄공포증 등의 MRI 촬영의 금지사유가 있는 경우, 11) 수유, 임신, 또는 연구기간 중 임신계획이 있는 경우, 12) 뇌 MRI에서 구조적 이상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1) SODS를 동반한 불면증, SODS를 동반하지 않은 불면증, 건강대조군(healthy control, HC)군 간에 일반적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에 비해 불면증-관련 자극에 대한 뇌활성의 변화에 차이가 있는지 연구, 2) 일반적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에 비해 불면증-관련 자극에 대한 뇌활 성의 변화를 불면장애 환자(ID)와 대조군간 비교이다. 본 연구의 가설은 SODS를 동반한 불면증 군 또는 ID군이 SODS 를 동반하지 않은 불면증 군이나 대조군에 비해 일반적인 불안을 유발하는 자극보다 불면증-관련 자극에 과도한 뇌활성을 보일 것이라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 Diagnostic and Coding Manual 2005:51-55. 

  2. 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Sleep Disorders-Third Edition (ICSD-3). AASM Resource Library 2014. 

  3.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DSM-5(R)), American Psychiatric Pub;2013. 

  4. Baglioni C, Spiegelhalder K, Regen W, Feige B, Nissen C, Lombardo C, et al. Insomnia disorder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amygdala reactivity to insomnia-related stimuli. Sleep 2014;37:1907-1917. 

  5. Benjamins JS, Migliorati F, Dekker K, Wassing R, Moens S, Blanken TF, et al. Insomnia heterogeneity: characteristics to consider for data-driven multivariate subtyping. Sleep Med Rev 2017;36:71-81. 

  6. Berry RB, Brooks R, Gamaldo C, Harding SM, Lloyd RM, Quan SF, et al. AASM scoring manual updates for 2017 (version 2.4). J Clin Sleep Med 2017;13:665-666. 

  7. Cavanna AE. The precuneus and consciousness. CNS Spectr 2007;12:545-552. 

  8. Cho YW, Song ML, Morin CM. Validation of a Korean version of the insomnia severity index. J Clin Neurol 2014;10:210-215. 

  9. Clark DM. Anxiety disorders: why they persist and how to treat them. Behav Res Ther 1999;37 Suppl 1:S5-27. 

  10. Coleman RM, Roffwarg HP, Kennedy SJ, Guilleminault C, Cinque J, Cohn MA, et al. Sleep-wake disorders based on a polysomnographic diagnosis: a national cooperative study. JAMA 1982;247:997-1003. 

  11. Edinger JD, Fins AI, Glenn DM, Sullivan RJ Jr, Bastian LA, Marsh GR, et al. Insomnia and the eye of the beholder: are there clinical markers of objective sleep disturbances among adults with and without insomnia complaints? J Consult Clin Psychol 2000;68:586-593. 

  12. Fletcher PC, Frith CD, Baker SC, Shallice T, Frackowiak RS, Dolan RJ. The mind's eye--precuneus activation in memory-related imagery. Neuroimage 1995;2:195-200. 

  13. Harvey AG. A cognitive model of insomnia. Behav Res Ther 2002;40:869-893. 

  14. Harvey AG, Tang NK. (Mis)perception of sleep in insomnia: a puzzle and a resolution. Psychol Bull 2012;138:77-101. 

  15. Kang K, Park KS, Kim JE, Kim SW, Kim YT, Kim JS, et al. Usefulness of the Berlin Questionnaire to identify patients at high risk for obstructive sleep apnea: a population-based door-to-door study. Sleep Breath 2013;17:803-810. 

  16. Kay DB, Karim HT, Soehner AM, Hasler BP, James JA, Germain A, et al. Subjective-Objective Sleep Discrepancy Is Associated With Alterations in Regional Glucose Metabolism in Patients With Insomnia and Good Sleeper Controls. Sleep 2017;40:zsx155. 

  17. Kim N, Kang SG, Lee YJ, Kim SJ, Kim S, Choi JW, et al. Decreased regional brain activity in response to sleep-related sounds after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for psychophysiological insomnia. Psychiatry Clin Neurosci 2019;73:254-261. 

  18. Kim SJ, Lee YJ, Kim N, Kim S, Choi JW, Park J, et al. Exploration of changes in the brain response to sleep-related pictures after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psychophysiological insomnia. Sci Rep 2017;7:12528. 

  19. Lou HC, Luber B, Crupain M, Keenan JP, Nowak M, Kjaer TW, et al. Parietal cortex and representation of the mental Self. Proc Natl Acad Sci U S A 2004;101:6827-32. 

  20. Matsuoka T, Imai A, Fujimoto H, Kato Y, Shibata K, Nakamura K, et al. Neural correlates of sleep disturbance in Alzheimer's disease: role of the precuneus in sleep disturbance. J Alzheimers Dis 2018;63:957-964. 

  21. Moon HJ, Song ML, Cho YW. Clinical Characteristics of Primary Insomniacs with Sleep-State Misperception. J Clin Neurol 2015;11:358-363. 

  22. Morin CM, Belanger L, LeBlanc M, Ivers H, Savard J, Espie CA, et al. The natural history of insomnia: a population-based 3-year longitudinal study. Arch Intern Med 2009;169: 447-453. 

  23. Ohayon MM. Epidemiology of insomnia: what we know and what we still need to learn. Sleep Med Rev 2002;6:97-111. 

  24. Park S, Kang I, Edden RAE, Namgung E, Kim J, Kim J. Shorter sleep duration is associated with lower GABA levels in the anterior cingulate cortex. Sleep Med 2020;71:1-7. 

  25. Salin-Pascual RJ, Roehrs TA, Merlotti LA, Zorick F, Roth T. Longterm study of the sleep of insomnia patients with sleep state misperception and other insomnia patients. Am J Psychiatry 1992;149:904-908. 

  26. Spiegelhalder K, Baglioni C, Regen W, Kyle SD, Nissen C, Hennig J, et al. Brain reactivity and selective attention to sleep-related words in patients with chronic insomnia. Behav Sleep Med 2018;16:587-600. 

  27. Sugerman JL, Stern JA, Walsh JK. Daytime alertness in subjective and objective insomnia: some preliminary findings. Biol Psychiatry 1985;20:741-750. 

  28. Vogt BA, Laureys S. Posterior cingulate, precuneal and retrosplenial cortices: cytology and components of the neural network correlates of consciousness. Prog Brain Res 2005;150:205-217. 

  29. Winkelman JW, Plante DT, Schoerning L, Benson K, Buxton OM, O'Connor SP, et al. Increased rostral anterior cingulate cortex volume in chronic primary insomnia. Sleep 2013;36:991-998. 

  30. Zimmerman M, Martinez JH, Young D, Chelminski I, Dalrymple K. Severity classification on the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J Affect Disord 2013;150:384-38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