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노인을 위한 보건진료소 중심의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Effectiveness of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 Primary Health Care Post for Rural Elders 원문보기

한국농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Rural Health Nursing, v.14 no.2, 2019년, pp.30 - 37  

김영숙 (충청남도 청양군 와촌보건진료소) ,  강영실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  하영미 (경상대학교 간호대학.건강과학연구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velop a comprehensive health promotion program based on the primary health care post, and then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for rural elders. Methods: A single group pre-test post-test design was used, for 3 months and the 51 participants received the...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왜냐하면 의료취약지약 지역에 설치된 보건진료소는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어 주민들의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농촌 지역 주민을 위한 신체적 정신적 건강 향상을 위한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행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 노인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진료소 중심의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생리적 지표(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 노인의 건강증진을 위해서 보건진료소를 기반으로 한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2018년 3~8월 사이에 실시되었다. 프로그램 수행결과 대상자의 인지기능과 우울, 다양한 생리적 지표(수축기 혈압, 혈당, 콜레스테롤)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농촌 지역의 노인을 위한 보건진료소 중심의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단일군 전후설계 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촌 지역에서 보건진료소 중심의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이 필요한 이유는? 의료취약지 농촌 노인들의 상당수가 보건의료 및 복지서비스 기관으로의 접근성이 어려운 점을 고려하여 보건진료소 중심의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수행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의료취약지약 지역에 설치된 보건진료소는 주민들이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장소에 위치하고 있어 주민들의 접근성이 높기 때문에 농촌 지역 주민을 위한 신체적 ․ 정신적 건강 향상을 위한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 수행이 용이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농촌 노인의 신체적 ․ 정신적 건강증진을 위한 보건진료소 중심의 포괄적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생리적 지표(혈압, 혈당, 콜레스테롤)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노년기 시기의 특징은? 노인의 우울은 인지기능 장애와의 관련성이 높고[6], 우울한 노인은 우울하지 않은 노인에 비해서 인지기능의 저하가 더 빠르게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졌다[7]. 노년기는 소득감소, 건강 악화, 사회적 ․ 심리적 고립감 증대, 소외와 죽음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인해 우울감을 경험하는 시기이다[8]. 특히 한국 고령화 연구패널 조사 분석 결과 대도시 거주 노인보다 농촌 거주 노인에게서 우울의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9] 농촌 노인들의 우울감 감소를 위한 관심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비약물적 중재의 장점은? 일반적으로 우울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은 크게 약물치료와 비약물적 중재로 나눌 수 있는데, 지역사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비약물적 중재는 음악치료, 신체활동증진 프로그램, 요가나 단전호흡, 미술치료, 인지행동치료, 여가활동 등이 있다[22]. 이러한 비약물적 중재는 약물치료에 비해 부작용의 위험이 적어서 노인들의 우울을 개선하기 위해서 안전하게 이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23]. 우울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표적인 단일 중재 프로그램으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13,14], 사회적 상호작용을 포함한 인지운동 또한 노인의 우울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15-1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법제처. 농어촌 등 보건의료를 위한 특별조치법.[Internet]. 서울: 국가법령정보센터. 2019[cited 2019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www.law.go.kr/lsInfoP.do?lsiSeq183551&efYd20161130#0000 

  2.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보건진료원의 일차보건의료. 청원군: 의학서원; 2011. 164 p. 

  3. 통계청. 고령인구 비율[Internet]. 서울: 한국 통계청. 2019 [cited 2019 November 15]. Available from: http://kosis.kr/search/search.do?query%EB%85%B8%EC%9D%B8%EC%9D%B8%EA%B5%AC 

  4. 신종각, 안준기, 김경희, 김은영, 권윤섭. 2016 고령화연구패널(KLoSA) 기초분석보고서. 한국고용정보원 보고서. 음성군: 한국고용정보원; 2017 12. 보고서 번호: 2017-18. 

  5. 정경희, 오영희, 강은나, 김경래, 이윤경, 오미애 등.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보건복지부 보고서. 세종: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11. 보고서 번호: 2017-53 

  6. Kok RM, Reynolds CF. Management of depression in older adults: a review. Journal of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17;317(20):2114-2122. https://doi.org/10.1001/jama.2017.5706 

  7. Wilson RS, De Leon CM, Bennett DA, Bienias JL, Evans DA.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decline in a community population of older persons. Journal of Neurology, Neurosurgery & Psychiatry. 2004;75(1):126-129. 

  8. 김은경. 도시와 농촌 거주 고령 독거노인의 우울증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2018;8(6):609-623. https://doi.org/10.21742/AJMAHS.2018.06.08 

  9. 정규형. 노인의 비동거자녀 관계망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종단 연구: 도시 ? 농촌 비교. 한국가족복지학. 2017; 55:5-30. https://doi.org/10.16975/kjfsw.2017..55.001 

  10. 주애란. 일 지역 농업 종사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농부증 및 영향요인.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2012;21(1):37-45. https://doi.org/10.5807/kjohn.2012.21.1.37 

  11. 정희정, 김수경, 김영신, 노웅래, 이용호. 농촌 여성노인의 신체수행력, 근력, 균형능력 향상을 위한 창작무용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검증.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17;25(4):109-132. 

  12. 박정숙, 오윤정. 노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이 농촌 노인의 자기효능감, 건강문제, 농부증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006;18(1):10-21. 

  13. 배종진, 박현철. 운동이 노인의 우울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14;53(3):549-567. 

  14. 한진희, 이재은, 박정환, 이상희, 강현식. 12주간 유산소운동이 노인의 체력과 우울증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2014;23(4):375-385. https://doi.org/10.15857/ksep.2014.23.4.375 

  15. 정범진, 최유진. 단기 집단 복합중재가 정상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재활치료과학. 2019;8(3):57-68. https://doi.org/10.22683/tsnr.2019.8.3.057 

  16. 이예진, 이주현, 김영조, 양노열, 박지혁. 복합 중재법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예비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4;22(3):85-97. https://doi.org/10.14519/jksot.2014.22.3.07 

  17. 김수은, 박상미, 정민예. 집단 복합 중재가 초기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17;25(1):45-55. https://doi.org/10.14519/jksot.2017.25.1.04 

  18. Sheikh VI, Yesavage VA (1986):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shorter version. In TL Brink (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Haworth Press. p. 165-174. 

  19.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등. DSMIII-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DS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지. 1999;38(1):48-63. 

  20. 정복례, 한지영. 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2016;27(5):1375-1387. https://doi.org/10.7465/jkdi.2016.27.5.1375 

  21. Larson EB, Wang L, Bowen JD, McCormick WC, Teri L et al. Exercise is associated with reduced risk for incident dementia among persons 65 years of age and older.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06;144(2):73-81. https://doi.org/10.1111/j.1600-0838.2006.00572.x 

  22. 박용천. 우울증의 비약물학적 치료. 대한의사협회지. 2011; 54(4):376-380. https://doi.org/10.5124/jkma.2011.54.4.376 

  23. 채명옥, 전해옥, 김아린. 한국 중년여성의 비약물적 우울중재연구: 체계적 문헌고찰. 산학기술학회지. 2016;17(3): 638-651. https://doi.org/10.5762/KAIS.2016.17.3.638 

  24. Steiner M. Serotonin, depression, and cardiovascular disease: sex-specific issues, Acta Physiologica. 2011;203 (1):253-258. https://doi.org/10.1111/j.1748-1716.2010.02236.x 

  25. Hanson S, Jones A. Is there evidence that walking groups have health benefit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ritish Journal of Sports Medicine. 2015; 49(11):710-715. https://doi.org/10.1136/bjsports-2014-094157 

  26. Ngandu T, Lehtisalo J, Solomon A, Levalahti E, Ahtiluoto S, Antikainen PR et al. A 2 year multidomain intervention of diet, exercise, cognitive training, and vascular risk monitoring versus control to prevent cognitive decline in at-risk elderly people (FINGER):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The Lancet. 2015;385(9984):2255-2263. https://doi.org/10.1016/S0140-6736(15)60461-5 

  27. Clare L, Nelis SM, Jones IR, Hindle JV, Thom JM, Nixon JA et al. The Agewell trial: a pilot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a behaviour change intervention to promote healthy ageing and reduce risk of dementia in later life. BMC Psychiatry. 2015;15:25. https://doi.org/10.1186/s12888-015-0402-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