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애주기단계에서 청년층은 그 사회적위치가 빠르게 변화하는 연령대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인구이동에 주목하고 주택시장요인을 포함한 지역특성요인과 청년층 인구이동의 관계를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의 이동은 거리와 일자리는 중요한 이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외에 주택시장에서의 전세가격이나 주택공급이 청년층 이동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울시내 개별 지역과 이동의 기원지간의 전세가격과 같은 가격의 차이가 커질수록, 주택공급 차이가 커질수록 서울시 청년층의 순전출이 지속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일자리의 경우, 청년층 유입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어 고용중심지 주변에서의 청년층 주거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 서울시나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가 많은 지역주변이나 역세권 주변에서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을 비롯한 민간의 주택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적 주택이나 민간임대 주택 공급이 지속된다면, 서울시 청년층 전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생애주기단계에서 청년층은 그 사회적위치가 빠르게 변화하는 연령대로, 본 연구는 청년층의 인구이동에 주목하고 주택시장요인을 포함한 지역특성요인과 청년층 인구이동의 관계를 서울지역을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청년층의 이동은 거리와 일자리는 중요한 이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외에 주택시장에서의 전세가격이나 주택공급이 청년층 이동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서울시내 개별 지역과 이동의 기원지간의 전세가격과 같은 가격의 차이가 커질수록, 주택공급 차이가 커질수록 서울시 청년층의 순전출이 지속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일자리의 경우, 청년층 유입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어 고용중심지 주변에서의 청년층 주거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 서울시나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가 많은 지역주변이나 역세권 주변에서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을 비롯한 민간의 주택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적 주택이나 민간임대 주택 공급이 지속된다면, 서울시 청년층 전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young generation in life cycle that social position is rapidly changing i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regional development because they can increase social and natural popula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and the regional charac...
The young generation in life cycle that social position is rapidly changing i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regional development because they can increase social and natural popula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in Seoul. As the results,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was influenced by commuting distance and location of jobs as the gravity model has suggested. In addition, housing supply and housing price (or Jeonse pri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re price gap such as Jeonse price and housing supply gap are increased, the more out-migration of young generation in Seoul is increased. However, the housing demand of young generation in employment centers will be increased because jobs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inflow of young people. Therefore, the policies of central and Seoul government that supply housing in job rich and high accessibility areas are needed for young generation. In addition, if public housing and affordable housing are supplied in the other areas, it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out-migration of young people in Seoul.
The young generation in life cycle that social position is rapidly changing is play an important role in a regional development because they can increase social and natural population in the reg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and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including housing market characteristics in Seoul. As the results,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was influenced by commuting distance and location of jobs as the gravity model has suggested. In addition, housing supply and housing price (or Jeonse price) is an important factor for the movement of young generation. It can be inferred that the more price gap such as Jeonse price and housing supply gap are increased, the more out-migration of young generation in Seoul is increased. However, the housing demand of young generation in employment centers will be increased because jobs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inflow of young people. Therefore, the policies of central and Seoul government that supply housing in job rich and high accessibility areas are needed for young generation. In addition, if public housing and affordable housing are supplied in the other areas, it can contribute to reduce the out-migration of young people in Seoul.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이에 이 연구는 개별가구의 이동결정에 의한 결과로 나타나는 한 지역의 순이동과 지역특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인구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설명, 즉 전입지와 전출지의 지역특성 차이가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이 연구는 개별가구의 이동결정에 의한 결과로 나타나는 한 지역의 순이동과 지역특성 간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한다. 특히 인구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설명, 즉 전입지와 전출지의 지역특성 차이가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인구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유를 설명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변수를 설정하여 지역특성과 인구이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특히 인구이동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설명, 즉 전입지와 전출지의 지역특성 차이가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한다. 이에 인구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유를 설명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변수를 설정하여 지역특성과 인구이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2017년 통계청의 인구이동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경기도 시·군과 타 시·도와의 관계, 경기도 시·군 간의 관계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지역별로 인구 전·출입에 대한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으며, 경기도 시·군간 인구이동에 대해서는 인구 성숙기도시, 인구 성장기도시, 사회적 인구증감이 없는 도시로 유형화하여 각 도시의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외 수도권에서 직장과 인구이동의 관계를 규명하고자한 연구로 마강래(2008)의 연구를 들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공간적 범위로 인구이동이 직장이동에 선행하는지, 아니면 직장이동이 선행하고 나서 인구이동이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수도권의 공간적 분산화 과정에서 고용과 인구 이동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수도권에서는 인구고용의 분산화가 진행되었고, 인구의 교외화가 고용의 교외화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두 지역 간의 순이동량과 지역 간 변수의 차이의 관계와 지역 간 차이에 의한 인구이동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이동의 분석대상을 청년층의 이동에 주목하고 분석하였다. 청년에 대한 정의는 개별 법령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국토부의 주거정책대상인 39세 이하라는 점을 감안하였으며, 2017년 서울시 인구이동에서 20대는 총전입인구의 23%, 전출인구의 20%, 30대는 총전입인구의 23%, 총전출인구의 24%를 차지하는 등 20대와 30대의 비중이 타 연령층에 비해 높게 나타난 점을 감안해 청년층을 20대와 30대로 설정하였다.
제안 방법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2017년 통계청의 인구이동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울시 25개 구의 서울시 내부이동, 서울-경기도 간의 지역 간 이동, 수도권 전체로 확대한 서울-수도권 간의 인구이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인구이동과 지역특성간의 관계와 지역 간의 특성차이가 순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서울시 25개 구의 서울시 내부이동, 서울-경기도 간의 지역 간 이동, 수도권 전체로 확대한 서울-수도권 간의 인구이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인구이동과 지역특성간의 관계와 지역 간의 특성차이가 순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 연구결과를 종합하고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홍성효·유수영(2012)은 연령별 시군구 간 인구이동의 결정요인을 분석하고, 시군구별 순이동과 지역특성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한 지역의 순이동과 해당지역의 지가, 복지예산, 인구밀도, 공원면적, 사설학원, 보육시설 등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각 요인의 순이동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지역특성 차이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분석의 공간 범위를 다음과 같이 구별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서울시 내부이동으로 서울시 내부의 개별구간에 이루어진 이동으로 해당 지역 간 차이가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서울시내 개별 구별로 경기도내 시군구의 지역 간 특성차이가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첫째, 서울시 내부이동으로 서울시 내부의 개별구간에 이루어진 이동으로 해당 지역 간 차이가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둘째, 서울시내 개별 구별로 경기도내 시군구의 지역 간 특성차이가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서울시 개별 구의 수도권 전체 시군구 간의 지역특성 차이의 이동 영향을 검토하였다.
둘째, 서울시내 개별 구별로 경기도내 시군구의 지역 간 특성차이가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서울시 개별 구의 수도권 전체 시군구 간의 지역특성 차이의 이동 영향을 검토하였다.
분석방법은 지역 간 특성차이가 이동과 관련이 있는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차이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서울시 25개 구의 각각의 특성요인 값과 이외 지역의 각각의 특성요인의 값의 차이를 구한 다음에 서울시 개별구와 이외 지역의 각 요인별 차이와 순이동량 간의 관계와 영향을 확인하였다.
지역특성차이의 이동에 대한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이동의 공간적 범위를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내부이동(서울시 25개 개별 구의 서울시 내 타 구간의 내부이동, n=600)을 분석하였다.
지역특성차이의 이동에 대한 영향을 분석함에 있어 이동의 공간적 범위를 3개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첫째, 내부이동(서울시 25개 개별 구의 서울시 내 타 구간의 내부이동, n=600)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내 부이동과 상관, 영향이 있는 지역특성차이는 무엇인지 분석하였으며, 서울시 개별구와 이외 24개 구 간의 순이동과 개별구와 이외 지역의 특성차이간의 관계와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첫째, 내부이동(서울시 25개 개별 구의 서울시 내 타 구간의 내부이동, n=600)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내 부이동과 상관, 영향이 있는 지역특성차이는 무엇인지 분석하였으며, 서울시 개별구와 이외 24개 구 간의 순이동과 개별구와 이외 지역의 특성차이간의 관계와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서울-경기도 간 이동(서울 25개구와 경기도 31개 시군구 간의 이동, n=775)을 분석하였으며, 서울시와 인접한 경기도 간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서울시 25개와 경기도내 31개 시군구 간의 이동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서울시 내 부이동과 상관, 영향이 있는 지역특성차이는 무엇인지 분석하였으며, 서울시 개별구와 이외 24개 구 간의 순이동과 개별구와 이외 지역의 특성차이간의 관계와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둘째, 서울-경기도 간 이동(서울 25개구와 경기도 31개 시군구 간의 이동, n=775)을 분석하였으며, 서울시와 인접한 경기도 간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서울시 25개와 경기도내 31개 시군구 간의 이동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수도권 전체이동으로 구분하여 서울시 내의 개별구와 인천,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내 65개 시군구간(n=1,625)의 지역특성차이와 순이동 간의 관계와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변수의 설정은 인구이동 관련 이론을 중심으로 최근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를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인구이동의 대표적인 고전적 모형인 Ravenstein(1885)의 중력모델(gravity model)에서 중요하게 고려한 지역 간 거리(인접성), 인구규모를 포함하였다.
인구이동의 대표적인 고전적 모형인 Ravenstein(1885)의 중력모델(gravity model)에서 중요하게 고려한 지역 간 거리(인접성), 인구규모를 포함하였다. 또한 경제적 요인에 의한 인구이동의 원인의 측면에서 신고전적 모델(Lewis, 1954; Todaro, 1969 가설 참조)을 참조해 지역별 사업체(종사자), 재정자립도, 지방세 징수액 등을 설정하였다. Tiebout(1956)의 지역 공공재나 조세가 이동의 중요한 이유라는 가설에서, 생애 주기와 관련된 특성을 고려해 지역별 복지시설, 병상 수(의사 수), 교육시설, 영유아 관련 시설 등 청년층의 생애주기 단계에서 필요한 시설을 고려하였다.
이외 기타 지역 특성요인으로 지역별 주택가격(매매, 전세), 주택공급(준공), 노인/청년층 비율 등을 포함하였다. 지역 간 특성요인 차이의 인구이동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는데, 지역 간 특성차이는 전입지의 개별 특성 요인 값에서 전출지의 개별 특성요인 값을 뺀 값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데이터
이에 인구 이동이 이루어지는 이유를 설명한 다양한 이론을 검토하고 이를 토대로 변수를 설정하여 지역특성과 인구이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설명하도록 한다. 연구에 활용한 자료는 2017년 통계청의 인구이동 마이크로데이터를 활용하였고, 공간적 범위는 서울을 포함한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서울시 25개 구의 서울시 내부이동, 서울-경기도 간의 지역 간 이동, 수도권 전체로 확대한 서울-수도권 간의 인구이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는 지역 간 특성차이와 인구이동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으로, 2017년 통계청의 인구이동 마이크로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두 지역 간의 순이동량과 지역 간 변수의 차이의 관계와 지역 간 차이에 의한 인구이동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데이터처리
한 지역의 순이동과 해당지역의 지가, 복지예산, 인구밀도, 공원면적, 사설학원, 보육시설 등 특성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각 요인의 순이동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대 중반의 생애주기 초기 가구의 경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경계를 넘는 이주를 하는 경우 문화적 기회가 많은 지역을 선호하는 반면, 수도권 내에서는 주거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으로 이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방법은 지역 간 특성차이가 이동과 관련이 있는 확인하기 위해 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차이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활용하였다. 서울시 25개 구의 각각의 특성요인 값과 이외 지역의 각각의 특성요인의 값의 차이를 구한 다음에 서울시 개별구와 이외 지역의 각 요인별 차이와 순이동량 간의 관계와 영향을 확인하였다.
이론/모형
변수의 설정은 인구이동 관련 이론을 중심으로 최근 연구에서 활용한 변수를 고려하여 설정하였다. 인구이동의 대표적인 고전적 모형인 Ravenstein(1885)의 중력모델(gravity model)에서 중요하게 고려한 지역 간 거리(인접성), 인구규모를 포함하였다. 또한 경제적 요인에 의한 인구이동의 원인의 측면에서 신고전적 모델(Lewis, 1954; Todaro, 1969 가설 참조)을 참조해 지역별 사업체(종사자), 재정자립도, 지방세 징수액 등을 설정하였다.
성능/효과
수도권 내부인구이동을 분석한 결과, 서울시는 송파구, 인천시는 서구, 남동구, 경기도는 용인시, 화성시 등으로 인구가 집중하고 있으며, 수도권 시ㆍ군ㆍ구 간 전출입 현황에서 수원시에서 화성시, 성남시에서 용인시로 이동하는 인구가 많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방법은 회귀분석을 활용하여 각 요인의 순이동에 대한 영향을 분석하였다. 20대 중반의 생애주기 초기 가구의 경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경계를 넘는 이주를 하는 경우 문화적 기회가 많은 지역을 선호하는 반면, 수도권 내에서는 주거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으로 이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전입지와 전출지 간의 지역특성 차이의 영향을 분석하지 못한 점은 지역 간 흡입-배출 요인 규명에 한계가 있다.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을 공간적 범위로 인구이동이 직장이동에 선행하는지, 아니면 직장이동이 선행하고 나서 인구이동이 이루어지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는 수도권의 공간적 분산화 과정에서 고용과 인구 이동의 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수도권에서는 인구고용의 분산화가 진행되었고, 인구의 교외화가 고용의 교외화를 주도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종합하면, 첫째, 인구이동이 생애주기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선호하는 지역이 차별적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20대나 30대의 경우는 문화적 기회가 많은 지역, 주거비용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고용기회가 높은 지역 등을 선호하는 특성을 보인다.
20대나 30대의 경우는 문화적 기회가 많은 지역, 주거비용이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고용기회가 높은 지역 등을 선호하는 특성을 보인다. 둘째, 어느 지역의 순이동과 인구증가는 주택시장의 여건으로, 재고주택이나 주택의 가격 수준이 인구이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지불가능한 주거가 얼마나 존재하느냐에 따라서 해당 가격수준에 맞는 인구가 이동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서울-경기도 간 이동(서울 25개구와 경기도 31개 시군구 간의 이동, n=775)을 분석하였으며, 서울시와 인접한 경기도 간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감안하여 서울시 25개와 경기도내 31개 시군구 간의 이동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셋째, 수도권 전체이동으로 구분하여 서울시 내의 개별구와 인천, 경기도를 포함한 수도권 내 65개 시군구간(n=1,625)의 지역특성차이와 순이동 간의 관계와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서울시 내부이동은 전세가격, 의사 수, 교원당 학생 수, 사설학원 수 차이는 순이동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고 있다. 반면 매매가격과, 인구, 재정자립도의 차이와 순이동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서울-경기지역 간 이동의 상관분석결과 거리와 서울시 순이동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성이 나타났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순전출량이 많고 거리가 멀수록 순전입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기지역 간 이동의 상관분석결과 거리와 서울시 순이동량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상관성이 나타났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순전출량이 많고 거리가 멀수록 순전입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기 순이동량과 전세가격의 관계는 정(+)의 관계로 서울보다 전세가격이 낮은 경기도내 시군일수록 서울시로 전출한 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순전출량이 많고 거리가 멀수록 순전입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기 순이동량과 전세가격의 관계는 정(+)의 관계로 서울보다 전세가격이 낮은 경기도내 시군일수록 서울시로 전출한 인구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년층의 이동에 대한 주요 변수의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표 3>과 같다. 우선 서울시 내부이동 모형에서는 인구 차이, 사설학원 수 차이, 교원 1인당 학생 수 차이 이외에 천 명당 의사 수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는 정(+)의 영향을 주며, 이외 교육관련 여건의 차이는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경기 지역 간 이동모형 분석결과 전세가격은 부(-)의 영향을 주며, 거리와 사업체수의 차이, 보육시설의 차이는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의 높은 전세가격은 순전출을 높이는 인구배출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며, 사업체 수는 더 많을수록 순전입량을 증가시키는 인구 흡인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수도권 전체모형에서 인구 차이, 사업체수 차이, 공급수준의 차이는 서울시 순전입량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지역의 인구, 사업체 수, 공급수준이 더 높을수록 순전입량을 증가시키지만, 그렇지 않고 서울지역의 인구나 사업체수, 공급수준이 낮다면, 순전출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지역의 인구, 사업체 수, 공급수준이 더 높을수록 순전입량을 증가시키지만, 그렇지 않고 서울지역의 인구나 사업체수, 공급수준이 낮다면, 순전출량을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반면, 교사 1인당 학생 수나, 사설학원 수, 보육시설은 부(-)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 보육시설이 더 낮은 지역으로 순전출량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서울시 인구의 경기도지역으로의 순전출 지속되는 상황에서 서울-경기 지역 간 청년층이동과 관련이 있는 요인은 인구와 거리가 관련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서울시 청년층의 이동이 서울과 인접한 경기도 지역일수록 또는 인구차이가 적은 지역일수록 청년층의 전출이 높게 나타나는 것이다.
반면, 서울시 내부이동에서는 지역 간 거리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전세가격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지만, 교육여건의 차이는 부(-)의 영향을 나타났다. 지역 간 교육여건의 작을수록 순전입이 높아지고 있어, 지역에서 제공하는 교육수준차이가 적은 지역에서 서울로 전입이 이루어지고 있다.
종합해보면 기존의 이론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청년층의 이동에 있어 거리와 일자리는 중요한 이동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외에 주택시장에서의 전세가격이나 주택공급이 청년층 이동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 주택시장에서의 전세가격이나 주택공급이 청년층 이동에 유의한 영향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분석결과를 통해 서울시와 이외 지역의 전세가격 등 가격의 차이가 커질수록, 경기도를 포함한 서울이외의 주택공급이 증가할수록 서울시 청년층의 전출이 지속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그리고 서울의 일자리는 청년층 유입에 유효한 영향을 주고 있다는 점에서 고용 중심지 주변에서의 청년층 주거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 청년층의 수도권 내 이동의 상관분석결과, 매매가격, 전세가격, 인구, 재정자립도, 의사 수, 교원당 학생 수, 사설학원의 차이와 서울시 순이동량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에서 인구, 재정자립도차이는 서울시 순이동량과 정(+)의 관계로 나타났다.
후속연구
20대 중반의 생애주기 초기 가구의 경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경계를 넘는 이주를 하는 경우 문화적 기회가 많은 지역을 선호하는 반면, 수도권 내에서는 주거비가 낮을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으로 이주하는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연구는 전입지와 전출지 간의 지역특성 차이의 영향을 분석하지 못한 점은 지역 간 흡입-배출 요인 규명에 한계가 있다.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일자리가 많은 지역주변이나 역세권 주변에서 청년층을 대상으로 민간의 주택공급이 원활히 이뤄져야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또한 서울시내 개별 지역과 이동의 기원지간의 전세가격과 같은 가격의 차이가 커질수록, 주택공급 차이가 커질수록 서울시 청년층의 순전출이 지속될 수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분석 결과 일자리의 경우, 청년층 유입을 증가시키는 데 기여하고 있어 고용중심지 주변에서의 청년층 주거수요는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현재 서울시나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일자리가 많은 지역주변이나 역세권 주변에서의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공공주택을 비롯한 민간의 주택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저렴한 가격으로 거주할 수 있는 공적 주택이나 민간임대 주택 공급이 지속된다면, 서울시 청년층 전출을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중력모델은 무엇인가?
인구이동의 이유를 설명한 대표적인 고전적 모형으로는 Ravenstein(1885)이 제시한 중력모델(gravity model)을 들 수 있다. Ravenstein은 지역 간 전·출입의 인구와 양은 각 지역의 인구규모에 비례하고 지역 간의 거리에 반비례 한다고 설명하였다.
어느 한 지역의 인구는 어떤 요인에 의해 결정되는가?
어느 한 지역의 인구는 출산과 사망과 같은 자연적 요인에 의한 인구변화와 전입, 전출과 같은 사회적 인구변화에 의해 결정된다. 통계청의 통계에 따르면, 서울시 인구는 2010년 103만 명으로 정점을 기록한 후 인구감소가 지속되어, 2018년 기준 976만 명으로 감소하였다.
이 논문을 인용한 문헌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